• 제목/요약/키워드: Language.society.culture

검색결과 391건 처리시간 0.025초

관광정보와 언어전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urists Information and Language Transference)

  • 이승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451-45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관광의 1차적인 정보원으로서의 홈페이지와 관광홍보물의 언어학적 전환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관광관련 사이트의 한국어 원문과 영어 번역물을 비교하면서 관광정보 텍스트가 올바르게 언어전환 되었는지 점검하고 나아가 전환된 영어번역물과 한국어 원문을 대조하면서 번역물에서 발생하는 언어규약과 의사소통의 특징을 살펴본다. 특히 한국어와 영어는 언어유형에서 대조적인 언어로서 번역을 통해 전환되었을 때 특이한 담화의 양상을 보인다. 즉 한국어에 비해 영어표현은 직설적이고 우회적인 표현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영어번역본에서는 영어 화자위주로 언어가 변형되어 표현됨을 주시할 수 있다. 이것은 영어를 사용하는 언어군에서 흔히 발생하는 양상으로 광의의 문화간의 차이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외국관광객의 1차적 정보원으로서의 관광웹사이트는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목적지의 문화를 간접적인 형태로 표현함으로써 사회적 이미지 형성과 문화간 차이를 대변하며 커뮤니케이션의 일환으로서 공손의 원칙과 Grice의 원칙을 준수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의 성격강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adaption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students' Character strengths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 유지형;이주희;박순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511-52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성격강점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G시와 N시에 소속된 외국인 유학생 26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외국인 유학생의 성격강점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성격강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지속적인 상담과 전문상담사를 대학 내에 두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황성신문의 '동양(東洋)'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Orient in Huangseong-Shinmun(皇城新聞))

  • 박정심
    • 한국철학논집
    • /
    • 제59호
    • /
    • pp.425-453
    • /
    • 2018
  • 이 논문은 황성신문의 '동양' 인식에 관한 분석이다. 이질적 보편성과의 만남은 전통적 가치 체계와 지배 구조를 붕괴할 만큼 강력했다. 비서양으로서의 '동양'은 중화주의의 해체 및 일본중심주의의 생성을 담지한 지리개념이었다. 황성신문은 아한은 동양의 일원으로서 중국과 일본과는 순치보거(脣齒輔車)의 정족(鼎足)관계에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 황인종인 동양 삼국은 서양 백인종의 제국주의 침략에 대항할 문명적인 지역 권역으로 보았다. 특히 문명 선진국인 일본을 동양 평화를 실현할 맹주로 용인하였다. 황성신문은 근대를 인종대결시대로 파악하고 백인종인 서양의 이문(異文)에 대항하여 동종동주동문론(同種同洲同文論)을 이론화하였다. 하지만 서양중심주의를 재생산하고자 했던 동양주의는 일본이 자국을 중심으로 지역질서를 재편하고 제국주의적 침략을 정당화하려는 수단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황성신문은 일본 중심의 연대를 통해 독립과 동양평화를 실현할 수 있다고 파악하였다.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침략이 본격화되었지만, 황성신문은 일본이 동종상수(同種相愛)와 인국(隣國)의 우의(友誼) 및 동양 맹주로서의 덕의(德義)를 실천하지 않는다고 비판하는데 그쳤다. 이는 황성신문이 일본의 동양주의가 제국주의 침략을 은폐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이었음을 간파하지 못한 한계를 노정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제국주의침략에 대한 통절한 자기비판 없이 반복되는 일본의 동양주의는 아시아공동체를 가로막고 있는 가장 근본적인 걸림돌이다. 자국중심주의에 대한 성찰 없이 아시아공동체를 논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본 중심의 군국적(軍國的) 동양주의와 중국의 자국 우월적 중화주의가 궁극적으로 팽창적 민족주의의 다른 이름이라면 그것은 유학적 본질인 인(仁)에 위배된다.

섬에서 에코톤으로-경계중첩지대로서의 자연인식과 생태비평적 함의 (From Island to Ecotone: Nature Recognition as Boundary Crossed and Ecocritical Implication)

  • 신두호
    • 영어영문학
    • /
    • 제57권2호
    • /
    • pp.237-264
    • /
    • 2011
  • Based on its geophysical feature, the island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 separate and self-sustaining space independent of neighboring continent or other islands. Literary tradition has used the island as a metaphor for a utopian alternative to mundane human society with its various kinds of wrongdoings. Recent nature writings have taken up this island metaphor to emphasize the wholeness of the ecosystem in specifically designated natural community or landscapes such as national parks or wilderness preservation areas. Human-nature relations as border-divided area is also recognized as the island. Modern island biogeography, however, has disproved such a concept of islands as autonomous, revealing the contrasting fact that the richness of species on an undisturbed island is determined largely by species immigration from and emigration to a source of colonists. This scientific finding has posited the island as the interconnected nature, but the public and metaphoric use of it still resorts to the old concept of it as isolated and autonomous nature, because this image has been ingrained deeply in our consciousness and culture. Considering the negative consequences from the recognition of nature and nature-humans as isolated space, we need a new nature metaphor that embodies interconnectedness in nature and of human-nature relations. Such feature of interconnectedness is best embedded in the concept of ecotone. Some ecotones are created and maintained through human participation in nature, and this human induced nature of ecotone denotes the possibilities of a constructive relation between them. The substitution of the island with the ecotone as the concept of nature and the image of human-nature relations is expected to correct ecocritical practices of reading of nature writing, which has been predominantly interpreted within the orientation of nature itself and nature-human relations as an isolated and self-autonomous island. Adopting the ecotone in literary study enables ecocriticism to dig out cultural elements embedded in nature writing and reveal socio-political, ideological factors hidden behind the writers' portrayal of nature as islands.

History, Trauma, and Motherhood in a Korean Adoptee Narrative: Marie Myung-Ok Lee's Somebody's Daughter

  • Koo, Eunsook
    • 영어영문학
    • /
    • 제55권6호
    • /
    • pp.1035-1056
    • /
    • 2009
  • Korean adoptee narratives have proliferated over the last ten years as adopted Koreans have begun to represent their own experiences of violent dislocation, displacement and loss in various forms of literary and artistic works, including poems, autobiographical works, novels, documentaries and films. These narratives by Korean adoptees have intervened in the current diaspora discourse to question further the traditional categories of race, ethnicity, culture and nation by representing the unique experiences of the forced and involuntary migration of adopted Koreans. For a long time, the adoption discourse has been mostly constructed from the perspectives of adoptive parents. Therefore the voice of adoptees as well as that of the birth mothers have not been properly heard or represented in adoption discourse. According to Hosu Kim, the U. S. adoption discourse, feeling pressured to deal with the stigma of the commodification of children, changed from viewing the adoptees as children who had been rescued from poverty and abandonment to considering them as a gift from the birth mothers. With the emergence of the gift rhetoric in transnational adoption, the birth mothers erased from adoption discourse have begun to be acknowledged as one of the central characters in the adoption triad. If Korean adoptees are the "the ghostly children of Korean history," the birth mothers are their "ghostly doubles" who "bear the mark of a repressed national trauma." Somebody's Daughter represents the female experiences of becoming an adopted child and of being a birth mother. In particular, the novel makes a birth mother, the forgotten presence in adoptee narratives, into a central figure in the triangular relationship created by international adoption. The novel historicizes the experiences of a Korean adoptee growing up in America as well as those of a mother who had suffered silently from feelings of unbearable loss, guilt, grief and from unforgettable memories. In addition, narrating the birth mother's story is a way to give humanity back to these forgotten women in Korean adoption history. Revisiting the site of loss both for a mother and a daughter through the novel is an act of collective mourning. The narratives about and by Korean adoptees force Korean intellectuals to reflect seriously upon Korean society and its underlying ideology which prevents a woman from mothering her own baby, and to take an ethical and political stand on this current social and political issue.

전문가 집단의 글쓰기 담론 연구: 유튜브(YouTube)를 중심으로 (Writing Discourse Study in a Group of Professionals: Focusing on YouTube)

  • 조영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331-341
    • /
    • 2021
  • 이 논문은 유튜브(YouTube) 영상에 나타나는 작가와 소설가, 글쓰기 강사 등 전문가들의 글쓰기에 관한 담론을 서사 분석 방법으로 연구했다. 분석 결과 글쓰기 담론을 구성하는 다섯 가지 핵심 주제는 첫 번째가 글쓰기를 위한 적극적 독서, 두 번째 쉼 없이 쓰고 더 많이 쓰기, 세 번째 재능보다 열 번 고쳐 쓰기, 네 번째 1인 미디어 시대, 구어체로 글쓰기, 다섯 번째가 소셜 미디어에서 피드백 나누기였다. 전문가들의 글쓰기 담론은 소셜 미디어 시대의 글쓰기의 변화를 잘 보여주고 있었다. 첫째는 읽기 중심에서 쓰기와 고쳐 쓰기 중심으로 글쓰기 문화의 중심이 이동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소셜 미디어 시대의 글쓰기는 자연스럽게 말하듯 글을 쓰는 구어체가 지배적인 코드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소셜 미디어 시대 글쓰기는 공개적으로 피드백을 나누는 협력과 공유의 사회적 글쓰기인 점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미디어와 글쓰기에 관한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패션 속성기반 혼합현실 시각화 서비스 (Fashion attribute-based mixed reality visualization service)

  • 유용민;이경욱;김경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
    • /
    • 2022
  • 딥러닝의 등장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의 급속한 발전으로 정치, 경제, 문화 등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기술은 자연어 처리, 영상 처리, 음성 처리, 추천 시스템 등 다양한 영역으로 세분화된다. 특히,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시장 동향 및 개인의 특성을 분석하여 소비자에게 추천하는 추천 시스템의 필요성이 점점 더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에 발맞추어,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 '언어처리지능' 과 '영상처리지능'의 기술개발을 통해 정형 또는 비정형 텍스트 및 이미지 빅데이터로부터 속성 정보를 추출 추출하고, 분류하여 패션시장의 트랜드나 신규소재 등을 분석하고 소비자의 취향 분석을 통하여 '시장-소비자' 인사이트를 발굴하여, 스타일 추천, 가상 피팅, 및 디자인지원 등이 가능한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패션 어드바이저' 서비스 통합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3D C.G. 애니메이션에 반영된 문화적 이데올로기 - <슈렉>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ural ideology of narrative in 3D C.G. Animation )

  • 고은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6호
    • /
    • pp.7-22
    • /
    • 2002
  • Animation constitutes the core of the media industry, which in turn lies at the center of the cultural industry. It is considered one of the industries where South Korea has the competitive edge over other countries. With the pool of customers getting wider, the genre of animation has become more and more diverse, forming a great market for it. Aware of this trend, this study focused on animation as a part of the pop culture, and on providing corresponding various viewpoints for future cultural studies. This researcher measured the practicality and persuasiveness of this study through Shreck, a three-dimensional C.G. animation which is acclaimed for its success in dismantling the old grammar of animation movies that represent the anti-Disney ideas. This researcher felt it imperative to heed the unique language of Shreck, which contains discourses on various cultural ideologies such as paradoxical structure that pits entertainment that is shown through dismantling of the canon, feminism and antifeminism against each other. This study analyzed the entertaining element of the animation genre by means of the Semiotics of Keith Moxey, thereby attempting to establish a legitimate social status of the genre, whose artfulness has been depreciated in the art society. In chapter II, this researcher examines the chronological development of three-dimensional C.G. animation that has shown a rapid advancement. Chapter III defines the cultural ideology of Shreck by exploring basic theories and texts employed in analysis of art works.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ssumption that defines, from the viewpoint of symbology, the animation text as an aggregate of discourses on entertainment, and competitive and paradoxical ideologies. Then,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text and the generation process of meanings in Shreck. Consequently, this study has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hreck induces changes of concepts about the canon by means of distorting and reversing the existing animation movies, which seems to reflect in the contemporary tendency of seeking new interpretations of entertainment. Second, Shreck shows up the cognitive changes of our age as to feminism by competing feminism against antifeminism. Although Shreck serves as a venue of competition between the two opposing ideas, it stops short of brushing off women as outsiders in society. Rather, it represents the resistance to the male chauvinism existing in the structures of animation and culture. As shown in the text analysis, Shreck presents an advent of a new ideology critical of the previous animation films. In addition, it reflects in the struggle between the pro-feminism on the part of the viewers and the anti-feminism that lies in the social and culture structure. This study, however, is limited in its scope and selection of subject. First, although this researcher has stressed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animation as part of the pop culture and conducting researches within the historic paradigm, this study fails to provide an in-depth insight in the impacts that the changes in the C.G. industry and the systematic conditions may have on the three-dimensional C.G. animation genre. Furthermore, this study runs the risk of being understood as pro-American due to its selection of Shreck as its research subject.

  • PDF

국내거주 외국인을 위한 한국형 치과정보 이해능력 평가도구의 개발 (Development of test for Korean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dentistry)

  • 김현경;노희진;정임희;정원균;이윤;문소정;전현선;한선영;최은희;기준성;구민지;정주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55-362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ool for assessing foreigners' understanding of oral health information in Korea called the Test of Korean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Dentistry(TOKFHLiD) and examine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ool. The TOKFHLiD consists of two literacy assessment parts: Dental Information Sentence(DIS) aims to assess one's literacy of sentences containing oral health information. Dental Information Document(DID) aims to assess one's numeracy and literacy of documents containing oral health information. Methods: Twenty eight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various medical care literature such as the agreement to diagnosis and treatment and the treatment precautions. DID using 14 preliminary questions was developed based on the appointment card, the treatment schedule, and labels on oral care products. The 42 preliminary questions in the DIS and the DID were subsequently put through four separate expert reviews, in which questions with content validity score of less than 0.8(13/15 points) were corrected and modified by five dental experts and then were corrected for language errors by two Korean language experts. The preliminary assessment tool was tested on 153 Koreans, and ${\chi}^2$ test was performed on the ratio of respondents who comprehended each question, the ratio of respondents who chose the correct answer for each question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05. Results: Of the 42 preliminary questions, 1 question in DIS and 1 question in DID, for which the ratio of Korean respondents who chose the correct answers did not exceed the acceptable level of 80%, were excluded and a final assessment tool was completed with 40 questions. Conclusions: Following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tool, examination of the TOKHLi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revealed that this assessment tool is adequate for assessing oral health information literacy of foreigners who are using oral hygiene medical services in Korea.

무당굿의 마임 - 서울굿을 중심으로 - (Mime of Mudang gut - based on Seoul gut -)

  • 홍태한
    • 공연문화연구
    • /
    • 제18호
    • /
    • pp.73-100
    • /
    • 2009
  • 이 글은 무당굿에서 마임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고찰한 글이다. 실제로 무당굿은 마임이 중심이 될 수 없고 마임적 요소만이 활용된다. 따라서 마임을 중심에 두고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무당굿의 또 다른 의미망을 도출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먼저 무당굿의 구성 요소를 살폈다. 하나의 굿판은 다양한 여러 요소들이 결합된 것이다. 신을 몸에 실은 무당은 재가집을 향하여 굿을 하며 공수를 주고, 악사는 악기로 음악을 담당하고 장구잽이는 장구로 굿을 지휘한다. 굿상에는 다양한 의미의 음식이 있어 신령을 대접하고, 무당은 굿거리의 성격에 따라 무복을 바꿔 입고 무구를 번갈아 들면서 굿을 진행한다. 시봉자와 마당쇠, 공양주는 굿판의 원활한 진행에 도움을 주는 존재이다. 다음으로 무당굿을 연행하는 무당의 연행양상을 고찰하여 두 가지 의미망을 도출했다. 첫째, 일반적인 굿거리에 등장하는 상위 신령은 음악에 맞춰 마임으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며 굿청에 들어온다. 이때 상산장단, 굿거리 장단 등이 사용되고 신명이 나 뛸 경우에는 당악 장단을 사용한다. 둘째, 그러나 뒷전에 등장하는 하위 신령은 음악 장단 없이 마임으로만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낸다. 동작과 표정으로 자신이 누구인지를 드러낸 후 굿을 진행한다. 따라서 서울굿판에서 마임은 신령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역할을 하고 있는 매우 신성한 연행 요소임을 제시했다. 그리고 무당굿 연행방법을 언술과 동작으로 나눈 후 동작에서는 마임이 주로 활용됨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마임을 활용한 굿거리를 살폈다. 이를 통해 진오기굿에서는 망자를 저승으로 보내기를 반복적으로 보여줄 때 마임을 활용했고, 일반적인 굿거리에서는 액을 물리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마임을 활용하고 있음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