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anguage Convergence

Search Result 77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n AI Service to support communication and language learning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발달장애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과 언어 학습 증진을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

  • Park, Chan-Jun;Kim, Yang-Hee;Jang, Yoonna;Umadevi, G.R;Lim, Heui-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6
    • /
    • pp.51-57
    • /
    • 2020
  •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isabilities often struggle through their lives from a lot of challenges in everyday life and social activities. They're often easily deprived of the opportunity to engage in social activities, because they fin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or using language, a core means of communication. With regard to this issue,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can be an effective communication tool for children who are suffering from language disabilit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ep learning-based AI service to make full use of the pictogram as an AAC tool for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improve not only the ability to interact with others but the capacity to understand language. Using this service, we strive to help these children to more effectively communicate their intention or desire and enhance the quality of life.

Extension of Code Refactoring Technique to Support Energy Efficiency and Language Conversion of Embedded Software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에너지 효율성과 언어 변환 지원을 위한 코드 리팩토링 기법 확장)

  • Nam, Seungwoo;Hong, Jang-Eui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2
    • /
    • pp.91-103
    • /
    • 2018
  • Refactoring is an engineering technique for securing the quality of existing legacy code, improving the internal structure without changing the functionality of the software. Along with the reuse of open source software, reuse of source code through programming language conversion is increasingly required due to technical or market requirements. In this situation, the refactoring technique including language conversion as well as energy efficiency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means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the quality of embedded software development. This paper proposes a code refactoring technique that converts the grammar and structure of a programming language into those of a different language through comparison and mapping, in addition to the existing energy efficient refactoring technique. The use of the proposed refactoring technique can expect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through rapid software development and quality improvement by coping with the environment change of the software development language and enhancing the reuse of the existing code.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Model utilizing Scratch for Introductory Programming Classes of SW-Major Students (SW전공자 프로그래밍 입문 수업의 스크래치 활용 수업 모형 연구)

  • KO, Kwangil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8 no.2
    • /
    • pp.59-67
    • /
    • 2018
  • The programming language is a core education area of software tha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ut it requires mathematical knowledge and logical thinking skills, so that many local private university and college students with low basic skills are having difficulties learning it. This problem occasionally causes SW-major students to lose interest and confidence in their majors during the introductory course of programming languages; making them change their majors, or give up their studies. In this study, we designed an instructional model using Scratch for educating C-language which is a typical programming introductory language. To do this, we analyzed the concepts that can be trained by Scratch among the programming concepts supported by C-language, and developed the examples of Scratch for exercising the concepts. In addition, we designed an instructional model, by which the programming concepts are first learned through Scratch and then C-language is taught, and conducted an experiment on the SW-major freshman students of a local private universit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In the situation where SW education is becoming common,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help programming language education of security IT students.

  • PDF

Verification of educational goal of reading area in Korean SAT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대학수학능력시험 독서 영역의 교육 목표를 위한 자연어처리 기법을 통한 검증)

  • Lee, Soomin;Kim, Gyeongmin;Lim, Heui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1
    • /
    • pp.81-88
    • /
    • 2022
  • The major educational goal of reading part, which occupies important portion in Korean language in Korean SAT, is to evaluated whether a given text can be fully understood. Therefore given questions in the exam must be able to solely solvable by given text.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datatset based on Korean SAT's reading part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a deep learning language model can classify if the given question is true or false, which is a binary classification task in NLP. In result, by applying language model solely according to the passages in the dataset, we were able to acquire better performance than 59.2% in F1 score for human performance in most of language models, that KoELECTRA scored 62.49% in our experiment. Also we proved that structural limit of language models can be eased by adjusting data preprocess.

A Method of Constructing Large-Scale Train Set Based on Sentiment Lexicon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Deep Learning Model (딥러닝 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감성사전 기반 대용량 학습데이터 구축 방안)

  • Choi, Min-Seong;Park, Sang-Min;On, Byung-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106-111
    • /
    • 2018
  • 감성분석(Sentiment Analysis)은 텍스트에 나타난 감성을 분석하는 기술로 자연어 처리 분야 중 하나이다. 한국어 텍스트를 감성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기계학습 기법이 많이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 딥러닝의 발달로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감성분석도 활발해지고 있다. 딥러닝을 이용해 감성분석을 수행할 경우 좋은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학습데이터가 필요하다. 하지만 감성분석에 적합한 학습데이터를 얻는 것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감성사전을 활용한 대용량 학습데이터 구축 방안을 제안한다.

  • PDF

OWL-Based Semantic Search using SPARQL (OWL 기반의 SPARQL을 이용한 시맨틱 검색)

  • Ha, Sang-Bum;Han, Eun-Young;Choi, Ho-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706-708
    • /
    • 2005
  • 시맨틱 웹의 등장으로 시맨틱 검색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맨틱 웹 환경의 자원들을 이용하여 시맨틱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SPARQL(Simple Protocol and RDF Query Language) 시맨틱 질의언어는 추론의 기능 없이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에서 제공하는 SPO(subiect, predicate, object) 형태의 트리플 패턴 매치만을 제공한다. 본 논문의 시스템은 기존의 SPARQL질의 시스템에 시맨틱 추론기능을 추가하여 검색 결과에 효율성을 증가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시맨틱 웹 환경의 온톨로지 구축을 위해서 W3C에서 온톨로지 언어로 표준화된 OWL(Web Ontology Language)를 사용하여 검색 환경을 구축한다. 둘째, 온톨로지와 메타데이터를 추론하여 시맨틱 검색을 유도하는 OWL추론기를 사용한다. 시맨틱 추론은 온롤로지의 공리(Axiom)을 충분히 활용하는 온톨로지기반 시맨틱 추론과 검색 도메인에 맞는 규칙을 활용하는 사용자 컨텍스트 기반의 시맨틱 추론으로 이루어진다. 셋째, 다양한 시맨틱 검색을 위해 W3C에서 제안되어 차세대 시맨틱 검색 질의언어로 연구중인 SPARQL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특징은 시맨틱 검색 시스템이 시맨틱 웹 환경의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 PDF

Expansion of Feature Information for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한국어 의미역 결정을 위한 자질 정보 확장)

  • Jo, Byeong-Cheol;Seok, Mi-Ran;Kim, Yu-Seo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184-186
    • /
    • 2015
  • 의미역 결정은 주어진 술어와 의존 관계에 있는 여러 논항들과 그 술어간의 의미 관계를 결정하는 것이다. 의미역 결정은 보통 대량의 말뭉치를 이용하여 분류의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구문 표지 부착된 말뭉치에 구축한 의미역 표지 부착 말뭉치 10,000 문장을 이용한 자동 의미역 결정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한국어는 그 특성상 조사와 어미가 문법 관계뿐만 아니라 의미 관계 설정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존의 의미역 결정 연구에서 미비했던 부분인 조사와 어미 정보를 개선하여 새로운 자질 (features) 로 설계하여 의미역 결정을 시도하였다. 기존의 다른 언어에서의 의미역 결정 연구에서 사용된 자질에 본 논문에서 제시된 접사 정보에 기반한 자질을 추가하게 되면 약 77.9%의 F1 점수를 얻을 수 있었는데, 이는 기존 연구에 비하여 약 10% 포인트 향상된 결과이다.

  • PDF

Pretraining Dense retrieval for Multi-hop question answering of Korean (한국어 다중추론 질의응답을 위한 Dense Retrieval 사전학습)

  • Kang, Dong-Chan;Na, Seung-Hoon;Kim, Tae-Hyeong;Choi, Yun-Su;Chang, Du-Se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588-591
    • /
    • 2021
  • 다중추론 질의응답 태스크는 하나의 문서만 필요한 기존의 단일추론 질의응답(Single-hop QA)을 넘어서 복잡한 추론을 요구하는 질문에 응답하는 것이 목표이다. IRQA에서는 검색 모델의 역할이 중요한 반면, 주목받고 있는 Dense Retrieval 모델 기반의 다중추론 질의응답 검색 모델은 찾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검색분야에서 좋은 성능 보이고 있는 Dense Retrieval 모델의 다중추론을 위한 사전학습 방법을 제안하고 관련 한국어 데이터 셋에서 이전 방법과의 성능을 비교 측정하여 학습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식 베이스, 엔터티 링킹, 개체명 인식모듈을 비롯한 다른 서브모듈을 사용하지 않고도 다중추론 Dense Retrieval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Dependency parsing applying reinforced dominance-dependency constraint rule: Combination of deep learning and linguistic knowledge (강화된 지배소-의존소 제약규칙을 적용한 의존구문분석 모델 : 심층학습과 언어지식의 결합)

  • JoongMin Shin;Sanghyun Cho;Seunglyul Park;Seongki Choi;Minho Kim;Miyeon Kim;Hyuk-Chul K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289-294
    • /
    • 2022
  • 의존구문분석은 문장을 의존관계(의존소-지배소)로 분석하는 구문분석 방법론이다. 현재 사전학습모델을 사용한 전이 학습의 딥러닝이 좋은 성능을 보이며 많이 연구되지만, 데이터셋에 의존적이며 그로 인한 자료부족 문제와 과적합의 문제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언어학적 지식에 기반한 강화된 지배소-의존소 제약규칙 에지 알고리즘을 심층학습과 결합한 모델을 제안한다. TTAS 표준 가이드라인 기반 모두의 말뭉치로 평가한 결과, 최대 UAS 96.28, LAS 93.19의 성능을 보였으며, 선행연구 대비 UAS 2.21%, LAS 1.84%의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적은 데이터셋으로 학습했음에도 8배 많은 데이터셋 학습모델 대비 UAS 0.95%의 향상과 11배 빠른 학습 시간을 보였다. 이를 통해 심층학습과 언어지식의 결합이 딥러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Qualitative Exploration on Children's Interactions in Telepresence Robot Assisted Language Learning (원격로봇 보조 언어교육의 아동 상호작용 질적 탐색)

  • Shin, Kyoung Wan Cathy;Han, Jeong-Hy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3
    • /
    • pp.177-18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ildren and robot interaction in distant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using three different video-conferencing technologies-two traditional screen-based videoconference technologies and a telepresence robot. One American and six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our case study. We relied on narratives of one-on-one interviews and observation of nonverbal cues in robot assisted language learning. Our findings suggest that participants responded more positively to interactions via a telepresence robot than to two screen-based video-conferencings, with many citing a stronger sense of immediacy during robot-mediated commun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