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lide Dam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7초

지질구조자료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기법 개발 및 적용 연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andslide Analysis Technique Using Geological Structure)

  • 이사로;최위찬;장범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247-261
    • /
    • 2002
  •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으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계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특히 댐, 교량, 도로, 터널, 공단 등 국가 주요 시설물에 대한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 대한 산사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산사태 취약성 분석 및 검증 결과를 이용하여 주요 시설물인 울산석유화학단지 및 금강철교 주변 지역에 대해 GIS를 이용한 광역적 산사태 취약성 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취약성 평가를 위해 산사태 발생에 중요한 요인인 지질구조 자료를 현장 조사하였고, 기존의 지형, 토양, 임상, 토지 이용 등 공간 자료를 이용하였다. 산사태 취약성 평가를 위해 사용된 요인은 지형 DB에서는 경사, 경사방향, 지형곡률 등을, 토양 DB에서는 토질, 모재, 배수, 유효토심 등을, 임상 DB에서는 임상종류, 영급, 경급, 밀도 등을, 토지이용 DB에서는 토지이용 등이다. 지질구조는 금강철교 주변지역에서는 단층 밀도가 이용되었으며, 울산석유화학단지 주변지역에서는 지질구조선을 지형의 경사방향과 비교 분석하여 이용하였다. 산사태 취약성 평가는 이러한 각 요인의 등급 값을 모두 더해 최종 산사태 취약성도를 작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설물 보호를 위한 지반 안정성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이 평가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RUSLE 모형으로 토사유실에 따른 사방댐 적정성 분석 (Analysis of the Adequacy Check Dam according to Soil Loss using RUSLE)

  • 최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15-524
    • /
    • 2016
  • 산사태와 같은 피해는 집중 호우 등의 자연현상에 원인이 있다. 적절한 대응책으로는 사방댐 설치와 계류보전 등의 방식을 사용한다. 사방댐은 산비탈 붕괴지의 골이나 이에 접속된 계류의 최상류부에 설치하는 소규모의 댐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가 난 후에 추가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사방댐이 설치된 지역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사방댐 최적지 분석을 위한 기존에 설치된 사방댐을 중심으로 접근성과 규모 등을 고려하여 GIS로 토사유실량을 검토하였다. RUSLE 모형으로 연구대상유역의 토사유실량을 검토한 결과 유역 I에서는 약 2%정도의 토양유실 감소효과가 있었고, 유역 II에서는 1% 미만의 토양유실 감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역 III에서는 5% 대의 토사유실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TI 경보모델을 이용한 강원도 인제지역의 산사태 가능성 및 발생시간 분석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Analysis of Landslide Potential and Triggering Time at Inje Area using a RTI Warning Model)

  • 채병곤;;조용찬
    • 지질공학
    • /
    • 제18권2호
    • /
    • pp.191-196
    • /
    • 2008
  • 이 연구는 집중호우시 산사태의 발생가능성과 발생시간을 사전에 예측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존에 개발된 RTI 경보모델을 우리나라에 적용 분석한 사례이다. RTI(Rainfall Triggering Index)는 강우강도(I) 유효 누적강우량($R_t$)의 곱으로 정의되는 것으로서, 강우기간 동안 특정 시간(t)에서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RTI의 상부임계값($RTI_{UC}$)과 하부임계값($RTI_{LC}$) 과거 산사태 발생시 강우자료 분석을 통해 각 지역별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강우강도가 상부임계값을 초과할 때 실제 산사태가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궁극적으로 향후 집중호우가 내릴 경우 특정지역의 산사태 발생가능성은 물론 산사태 발생시기를 예상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사전에 산사태 발생경보를 발령하는데 중요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론을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해 2006년 7월 13일부터 7월 19일까지 강원도 인제군 일대에 내린 강우자료와 산사태 발생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실제 산사태가 발생한 7월16일 오전 11시경을 기준으로 23시간, 11시간, 9시간 전에 강우강도가 RTI의 상부임계값을 초과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와 같은 세 차례에 걸친 산사태 경보의 발령이 필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921 Taiwan Earthquake

  • Chow, Ting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 /
    • pp.17-17
    • /
    • 2000
  • A magnitude of 7.3 in Richter scale earthquake the strongest in-land earthquake in hundred years struck central Taiwan on September 21, 1999. It caused over 2,400 deaths and 30 some trillion won losses. To give an overview of this devastating earthquake this presentation will cover the following topics: 1) Introduction to Taiwan historical and 921 earthquake. 2) Damages to people landslide building dam bridge tank power facility etc. 3) Strong motion data and its characteristics. 4) Some changes to the building code triggered by the experience of the earthquake. Finally a concluding remark will be made.

  • PDF

경남지역 야계사방사업지의 산림환경특성 분석 - 사방댐 및 계류보전사업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on Torrent Erosion control work area in Gyeongsangnam-do - Focus on Erosion Control Dam and Stream Conservation -)

  • 강민정;김기대;오강산;박진원;박재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5호
    • /
    • pp.111-120
    • /
    • 2016
  • 본 연구는 경남지역 야계사방사업지의 적지적소를 판정하기 위해 사방댐 총 526개소와 계류보전시설 총 230개소의 기시공지 및 시공예정지를 대상으로 입지 및 임상, 수문조건을 분석하였다. 사방댐 시공지과 계류보전시설은 입지환경인자 중 퇴적암, 표고 201~400m, 경사 21~30°, 산사태위험등급 2등급인 곳에 가장 많이 시공되었고, 임상환경인자인 임상, 경급, 영급, 밀도 중 소경급, III영급 임분에서만 시공빈도가 유사하였다. 또한 사방댐의 크기 및 개소수를 결정하는 수문환경인자 중 유역면적의 경우 50ha 이하, 수계밀도 2.1~4.0km/㎢, 종장형 수계, 1시간당 최대강수량 61~90mm, 1일 최대강수량 201~300mm인 곳에서 가장 많이 시공되었다. 따라서 사방댐 시공지와 계류보전시설지 간의 입지 및 수문조건이 다소 유사한 것으로 추후 야계사방사업을 실시할 경우 산각붕괴 및 침식 발생위험이 높은 지역에 한해서는 사방댐과 계류보전시설의 병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사방시설의 안전점검에 관한 연구(I) - 강원지역의 사방댐 점검결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afety Inspection of Erosion Control Facilities (I): In Case of Check Dams Located in the Gangwon Region)

  • 이진호;전근우;이상명;박주환;김봉기;김석우;서정일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226-236
    • /
    • 2013
  • Recently check dam construction number have been increased by becoming known that effectiveness in the control of the landslide and debris flow. However, check dam management standards are not setting yet.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by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check dam management and inspection in the Gangwondo.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safety inspection on the 274 check dams, which are located in mountain streams, Gangwondo, Republic of Korea. 1. It was determined that, of 274 check dams inspected, 267 check dams (97.4%) generally had a safe condition but 7 check dams (2.6%) had a bad condition that repair and/or complementary measures are required. 2. The check dams with a bad condition had the ages greater than approximately 20 years. This result should be reflected to future stream management strategy including a timing of the specific inspection for durability of check dams. 3. Our finding suggests that the safety inspection of check dams is able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required to maintain their own functions, and thus it should be widely applied to stream management strategy against to sediment-related disasters in the future.

댐 주변지역 광역적 지반 안정성 평가를 위한 공간 정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patial Information System for Regional Ground Stability Assessment near Dam area)

  • 장범수;이사호;최위찬;최재원;오영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125-135
    • /
    • 2001
  •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낙석, 지반침하 등으로 인한 지반붕괴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계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특히 댐, 교량, 도로, 터널, 공단 등 국가 주요 시설물에 대한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 대한 지반 안정성 평가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이러한 평가에 근거에 대책마련을 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산사태 취약성 분석 및 검증 결과를 이용하여 주요 시설물인 전국 40개 댐 주변지역에 대해 지형, 지질, 토양, 임상, 토지 이용, 확률강우량도, 인공위성 영상 등 공간자료를 수집, 공간 DB로 구축하였다. 그리고 구축된 공간 DB를 검색 및 안정성 분석을 할 수 있는 공간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ArcView 3.2의 스크립트 언어인 Avenue를 이용하여 개발되었고 풀다운 메뉴 및 아이콘 메뉴방식을 사용하여 사용하기 쉽게 개발되었다. 개발된 시스템의 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안동댐 주변 지역의 광역적 지반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축된 DB 및 개발된 시스템은 광역적 지반 안정성 평가 및 관리에 활용될 수 있으며, 지반 안정성 평가 결과는 댐 등 주요 시설물의 지반 안정성을 평가함으로서 재해예방 및 지반관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토석류·유목 대책에 관한 설계인자 분석 (Evaluation of Design Factor For Debris Flow Dam Design)

  • 김운형;송병웅;이국현;김범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69-76
    • /
    • 2009
  • 기존의 토석류 방지대책을 보다 더 합리적으로 설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토석류 유목 대책에 관한 설계방법을 분석하였다. 국내지형 및 기후조건이 유사한 일본의 경우 지진 이외에 토석류, 산사태 및 절벽붕괴에 의한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토석류에 의한 피해사례가 태풍이나 집중호우 보다는 장마철에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토석류의 흐름은 물과 흙의 중간적 성질을 나타내므로 역학적 규명이 불분명하여 일본에서도 경험에 기초한 설계 방법을 마련하여 사용하고 있다. 시공사례 분석 결과 일본에서 사용되는 현재의 설계방식은 일부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암석과 토층 경계면의 전단강도 특성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hear Strength in Rock-soil Contacts)

  • 이수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49-54
    • /
    • 2001
  • It is common that the soil layer is a few meters below the earth's surface and the rock mass is below the soil layer in the view of 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Korea. And the boundary between rock and soil is clearly divided. When dealing with the stability of rock masses, as in the case of rock slopes or dam foundations, the majority of the collapses is not within the soil layer, but within the soil-rock boundar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between soil-rock boundary. And then in the method of reinforcement on landslide this chose a cut slope near Daemo elementary school in Seoul, surveyed shear strength between soil-rock contacts and considered a large scale collapse using a limit equilibrium method.

  • PDF

홍수시 유송잡물 이동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vement Characteristics Analysis of Debris Accumulation at Flood)

  • 오채연;전계원;윤영호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707-710
    • /
    • 2008
  • Recently, a rivers' bridge that locate on among the mountains area is destroyed by debris accumulation and debris flow, because of frequent occurrence of typhoon and a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therefore a river make a part of dam's effect. Actually, this situation gives damages like inundation of a bridge upper stream area's. Generally, It the main cause of the occurrence route of the debris accumulation is that outbreaks of driftwood and debris flow because of landslide, that occurred by severe rain storm. Also, a lot of debris are occurred when big flood come up during long period at this time, this kind of debris accumulation remove to other place, in several, and specially, debris accumlation move to the place where the depth of water is deep and velocity is fast river center. According to these kind of fact, this research put in effect and analyze that movement characteristic's numerical simulations of debris accumulation at flood according to a domestic outside literature investigation, on-site monitoring survey and parameter scenario which comes out through the hydraulic modeling an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