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ing plants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19초

Preliminary screening to asses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of evergreen woody species from South Korea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 Jang, Bo Kook;Chi, Lai Won;Cho, Ju Sung;Lee, Cheol He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90-99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screen for plants with antimicrobial potential among the evergreen woody species of South Korea that are used for horticulture and landscaping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plants with proven antimicrobial activity to underpin future research. The plant materials were extracted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were evaluated by agar diffusion assay. The screening tests demonstrated that the crude extracts of 43 species had inhibitory effects against S. aureus.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four species (Elaeocarpus sylvestris, Camellia japonica, Cleyera japonica, and Quercus salicina)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synthetic antimicrobial agents methylparaben and phenoxyethanol.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was observed with the leaf extracts (extracted with methanol for 30 minutes) of E. sylvestris, based on induction of the largest inhibition zone of 23.3 mm in size. In addition, solvent fractions of E. sylvestris were evaluated. The largest inhibitory zone of 23.1 mm was observed for the n-butanol fraction, which is likely to contain effective compounds that exhibi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S. aureus. In contrast, n-hexane and residual aqueous fractions showed no antimicrobial activity. Overall, our findings confirm that evergreen woody plants native to South Korea have potential antimicrobial activity.

식생기반 바이오필터의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개선효과와 실내쾌적지수 분석 (Particulate Matter and CO2 Improvement Effects by Vegetation-based Bio-filters and the Indoor Comfort Index Analysis)

  • 김태한;최부헌;최나현;장은숙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68-276
    • /
    • 2018
  • 본 연구는 일반인에게 안전한 실내공기질 개선수단으로 인식되는 공기정화식물의 효율적 적용을 위해 실내공조에 요구되는 총풍량 확보가 가능한 식생기반 바이오필터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했다. 시스템의 정량적 성능평가는 강의실형태의 실험실 체적 $332.73m^3$ 내 16명의 재실자 조건에서 목업단위 시스템의 공조 성능, 실내공기질 및 쾌적지표 개선효과에 대한 시계열 분석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시스템 구동을 통해 총 $1,411.22m^3/h$의 유출 총풍량을 확보하여, 4.24 ACH의 환기율을 제공할 수 있었다. 실내온도는 $1.6^{\circ}C$, 흑구온도는 $1.0^{\circ}C$ 감소가 확인되었으며, 상대습도는 24.4% 상승한 최대 82.0%까지 증가하였다. 상대습도 급증에 따른 쾌적도 감소현상은 송풍기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실내기류로 상쇄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시스템 가동에 따른 공기질 개선지표 중 $PM_{10}$은 39.5% 감소한 평균 $22.11{\mu}g/m^3$을 기록하였다. 반면, $CO_2$는 최대 1,329 ppm까지 지속적으로 농도가 상승했는데, 이는 광도조건이 광보상점을 만족하지 못해 적용 식물과 재실자에서 방출되는 $CO_2$가 처리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실내쾌적지표의 경우 PMV는 평균 83.6 % 감소된 -0.082, PPD는 평균 47.0% 감소된 5.41%에 수렴하여 식생기반 바이오필터 구동에 의해 높은 쾌적범위의 실내공간조성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는 소수 참여인원과 단기간 실험으로 인하여 시스템의 성능 규명이 제한적인 부분이었으며, 보다 장기간의 실험을 통해 바이오필터에 도입된 식생의 생육상태에 따른 압력손실 변화, 미세먼지 저감에 대한 구체적인 메커니즘 규명 등의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조경용 주요 지피식물의 생장 특성을 고려한 식재조합 및 혼식 적합성 평가 (Evaluation of optimal planting combination consider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major landscaping groundcover plants)

  • 한승원;장하경
    • 환경생물
    • /
    • 제38권1호
    • /
    • pp.197-205
    • /
    • 2020
  • 본 연구는 경관식재용 지피식물의 혼식 설계를 위하여 생활형이 다른 9종의 식물의 연중 생장 특성을 파악하고 식물들 간의 피복 특성을 분석하여 생활형에 따른 적정 식재조합을 도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단립형으로 초장 20 cm 이상 생장하는 둥굴레, 맥문동, 일월비비추는 4월 식재 후 60일 이내 생육이 증가한 후 형태를 유지하였다가 9월 이후 지상부가 퇴화하며 휴면기에 들어가는 경향을 보였고, 분지형으로 20 cm 이하로 생장하는 바위취, 패랭이꽃, 애기기린초는 4월 식재 후 9월까지 지속적으로 생장하다가 9월 이후 생장이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포복형으로 지면에 붙어서 생장하는 리시마키아는 식재 후 3개월 경과부터 급속한 생장을 보였으며 돌나물은 8월까지 서서히 생장하다가 온도가 하강하는 9월부터 지상부가 퇴화하는 특성을 보였다. 꽃잔디는 초반 생장은 좋았으나 개화기가 지나고 난 후에는 전반적인 생육발달이 더뎌져 식재 후 7개월 동안 11.0%의 낮은 생장 특성을 보였다. 이와 같이 각기 다르게 생장하는 9종의 식물들을 혼식하였을 때 피복하는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각 식물의 생장 특성이 피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초장이 10~20 cm 자라며 로제트형으로 자라는 형태와 포복형 식물들의 조합이 높은 피복률을 나타냈다. 식물별로는 포복형인 돌나물이 맥문동, 일월비비추, 패랭이꽃, 애기기린초, 꽃잔디 등이 가장 많은 식물들과 혼식하였을 때 생장이 증가하는 종이었다. 로제트형 중에서는 일월비비추가 애기기린초, 바위취, 리시마키아, 돌나물과 동반생장이 가능한 종이었고, 지표면에서 분지가 밀생하여 자라는 패랭이꽃은 잎이 밀생하지 않는 맥문동, 바위취, 리시마키아, 돌나물과 혼식이 유리한 경향을 나타났다. 이 결과는 식물의 생장형 분류 중 근경이 분지하는 종보다 땅위로 뻗는 줄기로 번식하거나 무근경으로 영양 생장하는 종이 다른 종들과 혼식하기에 좋은 유형이라고 사료되었다.

도시녹지면적 확보를 위한 조경수목선정 및 식재지 조성방안 연구 - 건축물 옥상, 지하주차장 상부를 중심으로 - (Planting Methods and Selecting the Landscape Woody Plants for the Expanding Urban Greenary Area - Focused on the Rooftops and Artificial Ground of Underground Parking Lots -)

  • 황경희;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6-60
    • /
    • 1997
  • 본 연구는 인공지반 녹화에 적합한 수종의 선정과 식재기법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실험식재와 사례조사이 두가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식재를 토한 자연토양과 인공토양의 수목생육상태 관찰결과 두 지역의 생육이 비슷하거나 인공토양에서 더 양호하게 나타났다. 인공토양 식새지에서 생육상태가 더 좋게 나타난 수종은 옥상실험구에서는 서약측백, 살구나무, 단풍나무, 불두화, 회양목, 지하주차장 상부 실험구에서는 수수꽃다리, 무궁화, 자산홍이었다. 인공토양의 토층별 수목생육상태 관찰결과 관목은 토층에 따른 새육상의 차이가 거의 없어, 토층 30cm에 관목식재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또한 교목식재지는 45~60cm 토층의 인공토양으로 조성하여도 수목생육이 가능함을 알 수있었다. 인공지반 조경녹화지역 사례분석결과 수도권 지역에서는 감나무, 무궁화, 수수꽃다리, 목련, 신나무, 희말채나무, 남부지역에서는 남천, 주목, 꽝꽝나무, 아왜나무, 식나무, 사철나무가 인공토양을 사용한 인공지반에 적합수종으로 분석되었고 그 밖에 향나무, 느티나무, 가이즈까향나무 등은 지역에 관계없이 적정수종을 판단되었다. 인공지반 녹화공간의 관리는 건조가 장기화 될 경우 관수를 해야 하며 또한 연 1회 이상의 시비가 수목 생육에 유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인공지반 녹화와 관련한 토심규정 세분화와 조경면적으로의 인정기준 등 관련법규 개정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국내 유통 관상용 그라스의 현황 및 특징 분석 (The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Ornamental Grasses in South Korea)

  • 김장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151-162
    • /
    • 2021
  • 관상용 그라스는 오늘날 세계적으로 정원분야에 나타나고 있는 자연주의식재 경향의 영향과 함께 현대 정원에서 중요한 조경식물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감소, 도시생태계 서비스 회복 등 오늘날 인류가 마주한 환경 문제의 해결이라는 시대적인 요구가 조경 분야에도 높아짐에 따라 그라스가 가진 생태적인 가치가 더욱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활용되는 관상용 그라스의 종류와 양이 크게 늘고 있는 추세다. 관상용 그라스를 도시 정원 및 녹지 환경에서 보다 잘 활용할 수 있으려면 최근 급속히 더 다양하게 보급되고 있는 그라스들에 대해 각각의 특성을 잘 이해하는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정원서식처에 따른 적절한 활용법을 강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통 중인 관상용 그라스를 조사하여 목록화하고, 서식처 등 생육 환경과 생태적, 재배적 생육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21년 8월 현재 총 40속 104종 264분류군의 그라스가 국내 정원용 식물 시장에 유통 중에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중 벼과가 69.7%, 사초과가 28.4%이었으며, 골풀과와 부들과는 매우 비중이 낮았다. 레스티오과는 활용되는 것이 없었다. 벼과 관상용 그라스는 양지의 오픈된 환경을 선호하는 종류들이 주를 이루었으나, 숲가, 물가 등을 포함한 비교적 폭넓은 환경에서 기원한 것들이 활용되고 있었다. 사초과는 숲, 숲가, 물가 등에 사는 것이 많았다. 한지형 그라스는 14개 속, 난지형 그라스는 16개 속이 활용되고 있었다. 생활형에 따라 상록성 혹은 반상록성 38종, 낙엽성 34종, 여름휴면형 7종이 유통되고 있었다. 생장 방식에 따라 기는줄기형 그라스 33종과 포기형 그라스 51종이 활용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 자생 그라스 중에 총 15분류군이 10년 이내의 근래에 선발되어 관상용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를 통해 본 전통조경공간 설계 시공방법 (A Study on the Design & Construction Method of Traditional Landscape Space through the 『Imwongyeongjeji』 「Seomyongji」 and the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 이정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10
    • /
    • 2019
  • 본 연구는 과거 전통조경공간의 설계 및 시공과 오늘날 이를 유지 계승하기 위한 문화재수리 및 정비 등의 시공방법을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를 토대로 서술방식, 전통조경 분야 관련 공정 추출, 시공방법을 상호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의 서술방식 및 전통조경 분야 관련 공정을 살펴본 결과 임원경제지 섬용지는 생활공간 전반의 시공방법을 집대성한 백과사전서로 구성요소별 시공방법의 사용처, 효과, 장·단점을 서술하고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여 전통조경공간 시공의 제도의 보급을 목적으로 삼았다.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는 문화재 수리의 공정 전반을 제시하였으며, 문화재 수리 현장에서 참고할 수 있는 일종의 지침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중 기초공사, 지붕공사, 조경공사, 담장공사 등이 전통조경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주요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전통조경공간 시공방법을 기초공사와 지붕공사, 조경공사, 담장공사 등의 공정으로 구분하여 분석해보면, 기초공사는 지반을 다지는 과정을 반복하는 방식이다. 지붕공사 중 기와지붕 조성은 서까래 위에 산자를 설치하고 기와를 쌓았으며, 초가지붕은 볏짚을 여러 다발로 묶어 차례로 지붕을 덮었다. 석판지붕은 기와 대신 얇고 넓은 돌을 사용하였으며, 너와지붕은 나무판자를, 굴피지붕은 건조시킨 굴피를 여러 겹으로 깔아 조성하였다. 조경공사는 주로 잡석다짐을 통한 포장기법과 여러 단을 조성하고 상부에 석물이나 화초나 관목 등을 식재하는 화계 시공이 주를 이루고 있고 담장공사는 쌓는 재료에 따라 흙을 다져 쌓은 토담, 돌과 진흙을 사용한 돌담, 기와로 무늬를 만든 영롱담, 널판을 벽면으로 사용하는 판장 시공 등이 도출되었다. 셋째,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의 시공방법을 비교해보면, 임원경제지 섬용지는 전통공간의 신규 조성을 위한 시공방법의 표준화에 중점을 두고,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는 문화재 수리 현장의 다양성을 고려한 전반적인 시공 절차를 제공하여 시공의 범위 설정에 차이가 있다. 또한 과거 전통조경공간은 일상거주공간이었으나 오늘날에는 문화재로 지정된 곳으로서 기 구축된 시설의 유지관리 공정이 이루어지며, 관람환경 조성을 위한 시공방법이 추가되었다. 전통지식의 계승 차원에서 과거의 시공방식은 오늘날 문화재 수리에도 일정 부분 유사한 방법들이 확인되며, 일부 소재나 배합방식, 후대 추가된 시설의 구분, 효율적인 시공방식의 도입 등 전통기술을 재구성한 사례도 확인되었다.

초등학교내 식물 식재현황 조사연구 -충주시 10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Field Survey of Plant Species of Elementary School -The Case Study on 10 Elementary Schools in Chungju City-)

  • 윤용한;김원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1-11
    • /
    • 2004
  • 본 연구는 충주시 10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식물 식재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 초등학교의 건물과 토지이용에 따른 기능적이고, 생태적인 식물이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충주시 10개 초등학교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은 목본류 89종, 초본류 108종, 기타식물 2종으로 총 199종이었다. 평균적으로 학교당 약 60종이 식재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재된 목본류를 성상별로 보면 낙엽활엽교목이 40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낙엽활엽관목 18종, 상록침엽교목 15종 등의 순이었다. 상록수와 낙엽수의 비율(만경목, 기타 제외)을 수종별로 보면 상록수는 23개 수종으로 전체 수종의 27.7%이며, 낙엽수는 60개 수종에 72.3%를 나타내 각 초등학교의 식재 수종 패턴이 낙엽수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목과 관목의 비율(만경목, 기타 제외)을 수종별로 보면 교목은 59개 수종으로 71.1%, 관목은 24개 수종으로 28.9%를 나타내 교목에 편중된 경향을 보였다. 조사된 구역별 식물 식재현황은 진입부 75종, 본관주변 83종, 정면부 63종, 측면부 128종, 후면부 95종이었다. 가장 많은 식물종이 식재된 구역은 측면부로 다양한 초본류와 목본류가 식재되어 있었으며, 정면부의 경우 가장 적은 식물종이 식재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학교의 교목과 교화를 조사한 결과 교목으로는 느티나무가 4개교, 은행나무가 3개교, 향나무, 주목, 소나무가 각각 1개교이며, 교화로는 목련(백목련 포함)이 6개교, 장미가 2개교, 모란과 개나리가 각각 1개교였다.

북송시대 정원에 식재된 모란의 심미적 의미 고찰에 대한 연구 - 소식(蘇軾)의 시 『봉상해우소원 (鳳翔廨宇小園)』을 중심으로 - (Investigation on the Aesthetics and Meaning of the Garden Plant Peony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 Centered on Su Shi's Poem 'Fengxiang Xieyu Xiaoyuan' -)

  • 유혜원;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12
    • /
    • 2024
  • 본 연구는 북송시대의 정원식물 운용에 대한 심미성과 그 의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당시 문인들은 자연 속에 진리가 내포되어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정원과 가까이 생활하며, 정원 속에서 인생의 진리를 깨달았다. 본 연구는 시인 소식(소동파)의 모란꽃에 대한 심미적 취향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조경 사상을 밝혀내고자 한다. 동양의 미학적 측면에서 모란꽃은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관념과 감정을 포함하고 있는 식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의 일부로 무한한 깨달음과 심미적 정취를 선사하는 정원식물인 모란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소식의 문학적 특성과 미학 관념을 이해할 수 있으며, 송나라 선비들의 미학적 특색과 정원식물의 심미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식의 모란 문화를 분류하고 탐구하고, 이를 통해 중국 전통 정원의 꽃과 나무 재배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에 대중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식물문화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정원 경관을 조성하기 위한 강력한 이론적 뒷받침을 제공하며, 정원 내 식물 배치 및 설계를 위한 유용함 참고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서로 다른 정원의 역사적, 문화적 함의를 발견함과 동시에 관련 식물의 미적, 문화적 경관을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대구 불로동 고분군 일대의 관속식물상 및 관리방안 (The Management Plan and Vascular Plants of Ancient Tombs in Bullodong, Daegu)

  • 유주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7-41
    • /
    • 2024
  • 본 연구는 특이하고 특수한 경관과 생태계가 형성된 대구 불로동 고분군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문화유산과 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생태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관속식물은 76과 237속 326종 4아종 17변종 3품종 1잡종 1재배변종의 352분류군이며, 식재종은 45분류군으로, 주차장 및 주변 시설지는 11분류군, 자연마당은 12분류군, 농경지 및 기존 재배수목은 13분류군, 과거 경관식재된 것은 10분류군이다. 희귀식물은 솜양지꽃, 애기자운, 모감주나무, 개지치, 멱쇠채, 솔붓꽃 6분류군이며, 한국특산식물은 외대으아리, 백운산원추리 2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8분류군으로, V등급 1분류군, IV등급 2분류군, III등급 3분류군, II등급 1분류군, I등급 10분류군이다. 침입외래식물은 54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 생물은 환삼덩굴, 애기수영, 도깨비가지, 돼지풀, 가시상추, 미국쑥부쟁이 6분류군이다.

주민참여를 통한 환경영향평가 항목선정에 관한 연구 : 원자력발전소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Selec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actors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 김귀곤;윤소원;성현찬;박병원
    • 환경영향평가
    • /
    • 제4권1호
    • /
    • pp.25-35
    • /
    • 1995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produce preferential impact assessment factors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y considering regional features and public participation in the initial stages of EIA. In order to produce preferential impact assessment factor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a survey of public awareness as a ways to reflect public participation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The survey of public awareness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an interview to review the impact which the construction of atomic power plants at Hyo-am village, Jang-an, Kyungsang Province and Bi-hak village, Suhsang-myon, Ulsan-Kun will have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reflect public participation on deciding preferential assessment: and to determine the extent of alternatives of the proposed project.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were identified as preferential assessment factors in the settlement and surrounding areas cultivation marine products, change of temperature of seawater due to flow of warm water, land use(negative), noise vibration during construction, existing plants, erosion accumulation, influx of manpower for construction(negative), recreation landscaping during construction and operation, change in flow of transportation during construction, the quality of seawater during construction and operation were produced as preferential assessment factors in both settlement area and neighboring areas. In the settlement area, the educational environment(negative & positive) and positive aspects of the influx of manpower for construction were also identified as preferential assessment fact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