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degradation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8초

우리나라 해안림조성과 관리의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Review on the Planting and Management of Coastal Forests in Korea)

  • 김용식;김도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0-123
    • /
    • 2017
  • 본 연구는 한반도 해안림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해안림의 조성과 관리에 대한 역사, 목적, 주체, 대상지, 규모, 조성방법, 식재수종, 식재지반, 층위구조, 관리제도 등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해안가의 주민들은 삶의 터인 정주지에 당면한 바닷가의 잦은 자연재해로부터 안전과 풍수지리학적 경관의 비보를 위하여 해안림을 조성하였고, 관청은 자연재해나 군사목적으로 조성하고 관리하였다. 한반도의 해안림은 기록상으로 고려시대와 이조시대에는 민간과 관청이 주도적으로 조성하고 관리하였으나 1970년대 후부터는 민간, 관청, NGO단체, 종교단체, 기업 등이 참여하고 있다. 해안림의 조성과 관리는 기본적으로 해안가의 재난방지, 풍수적 비보, 군사적 이용, 목재생산을 위하여 조성되었지만, 부대적으로 신앙의 장소, 질병감소, 화재의 감소, 임산물 생산성의 증가, 어류의 증가, 풍치 경관 쾌적성의 향상, 관광객과 이주자의 증가, 문화예술의 동기부여, 휴식, 심신단련의 장, 공동체 결속, 전통문화의 계승, 교육, 생물의 서식처, 생물이동통로, 생물다양성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안가로부터 재난의 경험이 많은 사람들은 해안림 보전에 대한 인식이 강하고, 해안림을 자자손손 대대로 물려주어야 할 유산으로 생각하고 있다. 해안림은 학술적 측면에서 인문, 사회, 문화, 생물, 생태, 풍치적 이용 등에 대한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한반도 해안림은 한번 훼손되면 다시 회복되기 어려운 환경압이 높으므로 자자손손 후대에 온전하게 물려주어야 할 사명으로 관리하고 보전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반도 해안림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 국한된 것으로 실상을 면밀하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우리나라 해안림에 대한 조성과 관리 그리고 민속과 문화 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현장조사를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

내성천의 수문, 하도 형태, 경관 및 식생 특성에 관한 장기모니터링 자료 (I) (Dataset of Long-term Monitoring on the Change in Hydrology, Channel Morphology, Landscape and Vegetation Along the Naeseong Stream (I))

  • 이찬주;김동구;지운;김지성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1호
    • /
    • pp.23-33
    • /
    • 2019
  • 내성천은 경북 북부지역을 흐르는 모래하천으로 계절적 변동이 큰 수문학적 특성에 반응하여 발달하는 모래 하상의 역동성과 이른바 '화이트 리버'라고 하는 경관상 고유성으로 대표되는 하천이다. 하지만 2010년부터 영주댐이 건설되기 시작하고 2015년 전후로 식생이 광범위하게 활착하는 등 하천 변화가 발생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하천 변화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기후, 수문, 수질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하천 변화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함이다. 분석 결과, 2015년에 1982년 다음으로 적은 강우량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여름철 첨두유량은 50년래 최저를 기록하였다. 내성천의 유사량 특성은 상하류가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댐 건설과 무관하게 내성천의 연 최저수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간헐적 가뭄과 수질의 변화가 하천식생의 활착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이에 따른 물리적 변화가 하도 및 식생 활착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하천 변화의 원인 분석을 위해서는 하천 식생 변화와 연계한 다각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Rehabilitation Ecology by Revegetation: Approach and Results from Two Mediterranean Countries

  • Martin, Arnaud;Khater, Carla;Mineau, Herve;Puech, Suzett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1호
    • /
    • pp.9-17
    • /
    • 2002
  • Human activities greatly affect the environment causing its degradation. Urban development and road networks construction cause main impacts on ecosystems and particularly on vegetation cover: road constructions induce complete degradation of the vegetation cover and often leaves a hare land, sometimes without even a soil cover. Reconstitution of vegetation cover is necessary to limit superficial erosion and land slipping on the road, towards a reintegration of the site in the neighbouring landscape. Many approaches have been studied over the last 30 years aiming at this reconstitution of vegetation cover. At frost, the main purpose of land reclamation was to create a new ecosystem. At this time, the environment created was rather a "garden" with a new soil adapted to the plantation of "decorative" species. Then, in early 90′s many studies on the restoration ecology concept rather focused on adapting the vegetation to the existing conditions on the site, as in a side road embankment for example. Nowadays, we notice a large tendency towards the use of such adapted native species instead of industrially produced seeds. In southern France, our team have led research on the potentials of those local species for their use in revegetation processes with hydro-seeding. We therefore developed an approach combining the use of different types of species: Industrially produced, native and wild cultivated species. This method integrates the benefits of using available low costing seeds that are already used on large scale projects with better adapted species, issued form the cultivation of native species and seed production for their use on smaller scale and more costly but more effective results. The use of wild cultivated species seeds was developed in order to limit the cost and reduce harsh natural seed withdrawal in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e case of the use of native species. Besides, the use of such seeds allowed a larger geographical scale of use than with local native seeds. In addition, our team began two years ago a research project in Lebanon aiming at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revegetation techniques in Lebanon. In fact, this country bared since 20 years the consequences of urban pressure on its environment especially by the development of quarries and road networks. Therefore, pioneer work is necessary to aim at the adaptation of these techniques to the local environment.

UN-REDD 기회비용 산정에서 위성영상 기반의 MRV 여건평가: 금강산을 사례로 (Evaluating MRV Potentials based on Satellite Image in UN-REDD Opportunity Cost Estimation: A Case Study for Mt. Geum-gang of North Korea)

  • 주승민;엄정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47-58
    • /
    • 2014
  • 삼림전용 축소를 통한 온실가스 흡수량의 검증 및 인증(MRV: Measurement, Reporting, Verification)이 REDD의 기회비용 산정과정에서 핵심요건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금강산을 사례지역으로 UN-REDD 기회비용 산정과정에서 위성영상을 활용한 MRV의 잠재력을 파악하고, MRV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입증책임에 관련된 쟁점들을 사전에 점검하는 데 있다. UN-REDD 기회비용을 산정하는 과정에서, MRV에 필요한 지표를 도출하고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역사적 벌채율, 토지이용, 토지피복, 탄소저장량 등에 대한 정보의 수집여부를 평가하였다. 위성영상의 육안판독은 금강산의 MRV 여건(산림면적, 산림의 황폐화 추세 등)을 대, 중, 소 3단계의 분류체계에 의거하여 가시적인 기록으로 제시하였다. 위성영상이 국제사법재판소, UN, UN-REDD 등에서 증거자료로 인정되기 때문에 기회비용 산정과정에서 법적으로 구속력을 가진 증빙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지조사와 문헌조사를 활용한 MRV에 대해서도 측정자료 확보에 대한 불확실성과 불안으로 인하여 북한의 REDD에 대한 활발한 투자가 어렵게 되고, 북한의 산림보전에 관련된 정부 기업 개인들과 거래하는 것을 꺼려할 정도로 대안이 없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북한에서 REDD사업을 하려는 남측 기업과 GCF(녹색기후기금, Green Climate Fund)를 비롯한 탄소무역 분야에서 실무를 수행하는 관계자들에게 구체적인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버섯폐골목의 흡음성능과 구조적 특징 (Sound Absorption Capability and Anatomical Features of Oak Mushroom Bed Log)

  • 강춘원;강욱;정인수;박희준;전순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54-60
    • /
    • 2008
  • 버섯종균에 의해 열화된 신갈나무 버섯폐골목의 흡음성능과 구조적 특징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버섯폐골목을 원반형으로 채취하여 무처리 목재와 구조적 특징의 변화를 비교하고, 전달함수법을 이용하여 흡음률을 측정 비교하였다. 측정주파수범위에서 버섯폐골목의 시험편이 보통의 시험편보다 높은 흡음률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2~6 KHz의 주파수영역에서는 보통 목재보다 2~3배 정도 높은 흡음률을 나타내었다. 버섯폐골목은 무 처리 목재보다 중량이 70% 정도 감소하였으며, 3단면에서 다수의 공극이 관찰되어 이들이 흡음공극으로 작용하여 측정주파수영역에서 흡음률이 증가된 것으로 사료된다.

Secondary human impacts on the forest understory of Ulleung Island, South Korea, a temperate island

  • Andersen, Desire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2호
    • /
    • pp.202-211
    • /
    • 2019
  • Oceanic islands are biologically important for their unique assemblages of species and high levels of endemism and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hange because of their isolation and small species source pools. Habitat destruction caused by human landscape development is generally accepted as the main cause of extinction on islands, with exotic species invasion a secondary cause of extinction, especially on tropical islands. However, secondary impacts of human development (e.g., general degradation through resource use and exotic species introduction) are understudied on temperate islands. To determine secondary impacts of human development on the understory vegetation community, 90 field sites on Ulleung Island, South Korea, were sampled during the summer of 2016. Understory vegetation was chosen as it is a proxy for ecosystem health. Diversity and percent cover of introduced, native, and endemic species were tested against proximity to developed areas and trail usage using a model selection approach. Diversity was also tested against percent cover of three naturalized species commonly found in survey plots. The main finding was that distance to development, distance to town, and trail usage have limited negative impacts on the understory vegetation community within best-supported models predicting native and introduced cover and diversity. However, endemic species cover was significantly lower on high usage trails. While there are no apparent locally invasive plant species on the island at the time of this study, percent cover of Robinia pseudoacacia, a naturalized tree specie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lot diversit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orests on Ulleung Island are not experiencing a noticeable invasion of understory vegetation, and conservation efforts can be best spent preventing future invasions.

Uniconazole 및 Free Radical Scavenger처리가 양버즘나무의 $SO_2$ 피해경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Uniconazole and Free Radical Scavenger Treatments on Reduction of $SO_2$ Injury in Platanus occidentalis)

  • 조정희;구자형;최종명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18
    • /
    • 1997
  • $SO_2$에 대한 양버즘나무의 내성을 증대시키고자 uniconazole, sodium benzoate 또는 ascorbic acid를 단용 또는 복합처리한 후 $SO_2$에 의한 가시피해정도, 엽록소함량 및 유리기 제거제로 활성산소의 독성을 중화시킬 수 있는 superoxide dismutase(SOD) 및 peroxidase(POD)의 활성변화를 조사하였다. Uniconazole처리에 의한 $SO_2$ 피해경감 효과는 SOD불활성제인 diethyldithiocarbamate(DDTC)를 다시 처리하므로써 가시피해가 증가하였고 SOD와 POD의 활성도 감소하였다. 유리기 제거제인 sodium benzoate와 ascorbic acid처리는 SOD나 POD 활성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SO_2$의 피해를 경감시키고, DDTC의 $SO_2$피해증가 효과를 ascorbic acid 처리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uniconazole은 식물체내에서 산화방지물질의 역할을 하는 SOD의 활성을 증대시켜 $SO_2$가스의 피해를 경감시키는 효과가 인정되며, ascorbic acid와 sodium benzoate의 내성 증대 효과는 식물체내의 SOD나 POD 활성 증진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식생(植生)이 비탈면의 안정(安定)에 미치는 영향 (Vegetation Influences on the Slope Stabilization)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7-55
    • /
    • 1977
  •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에 고도의 경제성장(經濟成長)으로 인(因)한 국토개발사업(國土開發事業)이 전국토(全國士)에서 시행(施行)되고 있다. 특(特)히 경부고속도로(京釜高速道路)를 비롯한 각종(各種) 고속도로(高速道路)의 건설(建設)과 산업기지(産業基地) 및 택지(宅地) 공장부지(工場敷地)의 조성공사(造成工事) 등으로 자연(自然)비탈면이 많이 파괴(破壞) 훼손(毁損)되었으므로 이를 복구(復舊) 녹화(綠化)하기 위한 녹화공법(綠化工法)으로서 주로 식생공법(植生工法)이 채용되고 있으나 절토(切土)나 성토공사(盛土工事)로 인하여 인위적(人爲的)으로 만들어진 인공(人工) 비탈면의 안정에 미치는 식생(植生)의 영향에 관한 문제가 아직 종합적으로 보고(報告)된 바 있다. 그러므로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우선 비탈면의 피해형태(被害形態)를 분석(分析)하고, 식생(植生)이 비탈면의 물 수지(收支)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分析)하였으며, 또 식생(植生)이 표면침식방지(表面浸蝕防止) 및 표층붕괴(表層崩壞)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分析)하였다.

  • PDF

벤젠의 광촉매분해반응에 대한 음이온효과 (Anionic Effect on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Benzene)

  • 김영희;김태균;이춘식
    • 청정기술
    • /
    • 제6권2호
    • /
    • pp.107-111
    • /
    • 2000
  • $TiO_2$를 광촉매로 사용한 벤젠의 광촉매분해반응에서 근자외선과 가시광 또는 원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 수용액속에 공존하는 음이온들에 의한 영향을 확인해 보았다. 근자외선과 가시광을 조사하였을 때, 광증감제로 작용할 수 있는 $S_2O{_8}^{2-}$ 또는 $NO{_3}^-$$TiO_2$와 공존하는 경우에는 $TiO_2$만 사용하였을 때에 비해 벤젠의 분해효율이 약간 증가되었으나 $NO{_2}^-$ 또는 $Cl^-$의 경우에는 이들 이온에 의한 활성화학종의 생성이 억제되어 벤젠의 광분해효율이 크게 감소되었다. 반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에는 $S_2O{_8}^{2-}$ 또는 $NO{_3}^-$가 공존하는 경우에는 이들 이온에 의한 활발한 광증감작용으로 벤젠의 광분해효율이 크게 증가되었으며, $NO{_2}^-$$Cl^-$이 공존할 때에는 벤젠의 광분해효율이 약간 감소되었는데 근자외선과 가시광을 조사하였을 때와는 달리 그 감소폭이 그다지 커지지 않았다.

  • PDF

목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유지류 코팅제의 방수 성능 평가 (Water Resistance Evaluation of the Oils Coating for Conservation of Wooden Cultural Heritage)

  • 나원주;조소영;김도래;정우양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20
    • /
    • 2015
  • 목조문화재는 수분의 영향으로 열화의 가속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표면을 수분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들기름 및 동유와 같은 유지류를 도포하였다. 그러나 목조문화재에 적합한 유지류 코팅 방법 및 성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천연 유지류 3종과 오일스테인 2종의 목재의 방향별, 공시재의 시간 경과 및 유지류의 중탕 여부에 따른 방수 성능을 평가하여 현장 적용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건전 목재의 섬유방향에서 상온의 천연유지류 코팅제 방수성능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79.2%를 차단하였으며, 특히 동유는 90.5%의 수분을 차단할 정도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2년간 실내에서 컨디셔닝을 실시한 경우 유지류의 방수 성능은 약 8.8% 감소하였다. 유지류를 중탕하여 사용할 경우 약 5.0%의 방수 성능이 향상되며, 특히 아마인유는 중탕하여 사용할 경우 약 9.6%의 방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