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Units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9초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조경분야 교육과정 개발 (A Methodology to Develop a Curriculum of Landscape Architecture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변재상;신상현;안성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3-39
    • /
    • 2017
  • 산업체 수요를 대학의 교육과정 속에 효율적으로 수용해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라는 질문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NCS라는 거시적인 흐름을 어떻게 하면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대처할 수 있는가에 대한 방법론을 고민하고 제시한 연구이다. 대학 내 개별학과에서 NCS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산업계 인사들과 함께 합리적 절차에 따라 교육과정을 개편해야 한다. 즉, 대학에서 NCS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용을 위한 타당한 절차를 따라야 할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에서는 관련 산업 전망 및 대학 내 교수자원과 지역 산업과의 관련성이나 향후 취업전망, 산업인력수요 등을 고려하여 적용하고자 하는 NCS 세분류를 명확히 선정해야 한다. 둘째, 대학의 교육목표와 선정된 NCS 분류체계상의 세분류 목표를 절충하여 학과의 인재양성유형을 설정하고, 직무모형을 작성한다. 이 과정에서 NCS 세분류 상의 능력단위 뿐만 아니라, 학과에서 필요로 하는 NCS 기초과목과 응용과목 등에 해당하는 대학자체 능력단위를 추가하여 작성해야 한다. 셋째, NCS 세분류별 직무모형 검증 단계에서 각각의 능력단위요소에 대한 교육과정 적용 여부를 파악하여 학과의 직무모형을 완성한다. 넷째, 직무모형 내 능력단위에 대응하여 교과목을 도출하고, 학칙에 따른 시수 및 학점과 함께 해당 교과목들이 어떠한 내용을 어떠한 방식으로 운영하고 평가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과목 명세서를 명확히 작성한다. 다섯째, NCS 기반 교과목들의 교육 시기에 따른 전후 관계를 파악하고, 각 학기 혹은 학년별로 교과목을 어떻게 배치하고 운영할 것인지에 대한 로드맵을 작성한다. 해당 로드맵을 통해 추후 과정평가형 자격제도의 도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직무능력성취도의 기본틀이 완성될 수 있다. 대학 내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대학 내 구성원들 즉, 교수와 학생, 직원들이 NCS의 필요성에 대하여 공감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기존의 교수자 중심의 교육과정과 달리 수요자 중심의 NCS 교육과정은 처음부터 끝까지 대학 구성원들의 많은 희생과 헌신을 담보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보상 예컨대 과정평가형 혹은 과정이수형 국가기술자격의 부여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Feasibility Study for Remodeling Apartment House)

  • 유인근;김천학;윤여완;양극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63-17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헤도닉 모델을 활용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성 평가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동주택 헤도닉 모델을 구성하기 위하여 공동주택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위치, 평형, 평면, 조경, 주차, 설비성능, 인테리어, 경과년수, 단지규모 등 9개의 독립변수를 설정하고 서울시내 25개구의 공동주택가격을 평형으로 나누어 평가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성한 공동주택 리모델링사업성 평가모델을 이용하여 기 시행된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례에 적용한 결과 실제상황과 유사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계획을 위한 거주자 의식조사연구 (A Study on Inhabitants' Mental Survey for Apartment House's Underground Parking Lots)

  • 정영석;조성우;오세규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3-117
    • /
    • 2009
  • By statistics in August, 2007, currently Korean motors registration number broke through 16 million units. The demand of motors is being increased as time goes on and the demand of parking lot within apartment complex is increased together.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expand underground parking lots. Underground parking lots have relatively weaker environment than the ground and physical/psychological problems as distance far away from the main building, fear for vehicle damage and crimes, impure air, darkness and closed feeling take place. Underground parking lots also occupy a lot of area ratio within apartment complex and have a lot of effects on other facilities. Therefore, underground parking lots are neglected for all that underground parking lots have deep relations with satisfaction for public space within apartment complex.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ake reference materials when underground parking lots are planned by grasping satisfaction of underground parking lots through inhabitants'mental survey and surveying preferential location and requirements of parking lots.

  • PDF

대학종합평가인정제 실시에 따른 대학도서관의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Academic Libraries in the Context of Accrediting Universities in Korea)

  • 서혜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34
    • /
    • 1996
  • 현행 대학종합평가인정제의 실시배경과 목적, 평가절차, 평가영역 및 부문별 가중치를 개관하였다. 대학교육협의회에서 설정한 대학종합평가 기준 가운데 대학도서관에 관련된 평가항목 및 가중치, 평가지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외국에서의 대학 도서관 평가의 최근 경향을 살펴보고 그것에 기초하여 현행 평가기준 중 도서관 평가와 관련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단 평가 항목에 대한 정량적 평가척도 문제는 제외하였다.

  • PDF

Study of Urban Land Cover Changes Relative to Demographic and Residential Form Changes: A Case Study of Wonju City, Korea

  • Han, Gab-Soo;Kim, Minta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4호
    • /
    • pp.288-296
    • /
    • 2015
  • In many very high density cities in Asia in which there is limited area to expand, growth is forced upward as well as outward. Densely packed detached houses and low-rise buildings are replaced by lower density high-rises, leaving open spaces between high-rise buildings. Through this process, areas that formerly did not have much green space gain valuable green spaces, and new ecological corridors and patches are created. In this study, the demographic and housing-type changes of Wonju City were delineated using land use maps, aerial images, census data, and other administrative data. Green area changes were calculated using land cover data derived from multi-year Landsat TM satellite imagery. The values were then compared against demographic and housing-type changes for each administrative unit. The overall results showed a decrease of forested area in the city and an increase of developed area. Urban sprawl was clearly visible in many of the suburban areas. However, as expected, we also detected areas in which greenness did not decrease when the population greatly increased. These areas were characterized by residential building complexes of ten or more stories. If an equal number of housing units had been built as detached houses, these areas would not have kept as much green space. Our research result showed that high-density and high-rise residential structures can offer an alternative means to protect or create urban green spaces in high-density urban environments.

자연환경에 대한 주민의 평가와 평가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sident's Evaluation on Natural Environment and the Evaluation Factors)

  • 이동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6권1호
    • /
    • pp.67-7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idents' evaluation on valuable animal and vegetation and the naturality of vegetation seen near regional environment. With this purpose, Questionnaire research and vegetation survey focusing on area of types of vegetation and species of big trees were made in 30 points of midstream of Tama River, Tokyo, Japan.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based on basin environment units in order to be reflective of regional natural environment. The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5 types according to its flora and observed the covering area of each points and types through the aerial photograph. In addition, the species of big trees in habitat were listed by the survey. Results as below came out by analyzing the outcome of the questionnaire research and vegetation survey by multiple regression. First, residents are most likely not to distinguish precisely betwee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vegetation. Both of the researches are apt to be influenced by quantitative factors of vegetation. Second, residents are assumed to consider forest of big trees, inhabitant of groups of big trees, highly natural.

  • PDF

주택성능등급 인정 사례의 부문별 평가 결과 분석 (Analysis on Results evaluated by "Housing Performance Grading System" in Korea)

  • 이성옥
    • KIEAE Journal
    • /
    • 제10권6호
    • /
    • pp.55-66
    • /
    • 2010
  • The government is enacted "Housing Performance Grading Indication System" from qualitative housing supply policy and performance of housing under the background of looking for new plan to secure good housing stock and housing performance. This system consists of 5 main performance section, 14 performance categories and 20 detailed performance items. 5 main performance parts are sound insulation related grading(Light-weight impact sound insulation, heavy-weight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noise emission in bathroom, airborne sound insulation for wall between units), Long-life housing related grading(flexibility, remodeling & maintenance, durability), environment related grading(landscape, indoor air quality and ventilation, energy performance), Living environment related grading(common resident facilities such as playground and consideration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such as the aged), Fire fire prevention grading(fire fire preven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results of 20 detailed performance items on "Housing Performance Grading Indication System" which was enforced 240 cases from Jan 9th, 2006 to Sep 30th, 2010. The analysis of approval condition of detailed performance items will be important comments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domestic level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공간단위 수정가능성 문제(MAUP)를 고려한 빈집 발생지역의 특성 분석 - 부산광역시 원도심 일대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Vacant House in Consideration of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MAUP) - Focused on the Old Downtowns of Busan Metropolitan City -)

  • 설유정;김지윤;김호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0-132
    • /
    • 2022
  • 최근 도시지역에서 급격하게 발생하는 빈집의 증가는 도시경관 악화, 안전사고 유발, 범죄 사고 발생, 위생 문제 등 다양한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다. 통계청 장래인구 추계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인구 및 가구의 증가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빈집 발생의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빈집 발생으로 인한 문제를 방치할 경우, 주거환경 악화와 같은 물리적 쇠퇴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 지역의 쇠퇴를 야기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적 특성 및 공간적 영향력의 존재를 고려한 국지적 차원에서의 빈집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역적 공간적 자기상관을 측정하기 위해 Moran's I와 지리가중회귀모델(GWR)을 통해 빈집발생이 많은 부산광역시 원도심 일대를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공간 분석단위가 달라짐에 따라 공간분석의 결과값에 차이가 나타나는 공간단위 수정가능성에 관한 문제(MAUP)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읍면동과 집계구의 상이한 공간단위에 대한 빈집 발생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산광역시 원도심 일대의 읍면동별 빈집 발생은 공간적 이질성이 존재하였으며 공간분석단위를 달리함에 따라 빈집 발생의 공간분석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에 빈집 발생의 정확한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GWR 모델을 이용한 공간적 차원을 고려하여야 하며, 공간단위 수정가능성 문제(MAUP)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비도시 정주지의 탄소중립 기여도 분석 - 농촌지역 그린인프라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Contribution to Net Zero of Non-Urban Settlement - For Green Infrastructure in Rural Areas -)

  • 이동규;안병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9-34
    • /
    • 2022
  • 본 연구는 비도시 정주지에 해당하는 농촌지역 그린인프라에 대한 탄소중립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비도시 정주지에 대한 탄소중립 정책 및 이행방안 수립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주요 목적은 첫째, 농촌지역 그린인프라를 체계화하고, 둘째, 그린인프라 요소별 원단위를 도출하며, 셋째, 이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탄소중립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조사 및 분석을 통해 도출된 농촌지역 그린인프라 요소에 대한 적정성 검증을 위하여 내용 타당도(CVR)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린인프라 요소별 탄소감축량 원단위는 관련 분야 연구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지역 핵심기능(Hubs)의 그린인프라는 마을숲, 습지, 농경지, 스마트팜, 연결기능(Links)은 하천, 마을녹지, 빗물 재활용시설이 .500 이상의 CVR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적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그린인프라 요소별 원단위는 선행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최소값, 최대값, 중간값으로 구분 제시하여 탄소중립을 위한 공간적 계획, 설계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농촌지역 그린인프라를 우리나라 비도시지역 정주지에 적용할 경우 최소 70.76 백만 톤, 최대 141.16 백만 톤에 달하는 CO2 를 간접적으로 감축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2019년 농업부문 탄소배출량의 3.4배에서 6.7배에 달하는 양으로 탄소중립 기여도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경제적 가치는 최소 약 1조 6천억 원에 달하여 농촌지역 활성화, 녹색일자리 창출, 농촌 산업생태계 전환 등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비도시지역의 정주지에 대한 탄소중립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으며, 농촌지역 그린인프라 각 요소별 탄소감축 원단위를 도출함에 따라 마을단위의 탄소중립을 위한 공간적 계획, 설계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 의의를 가진다. 특히, 그린인프라 요소별 탄소감축 원단위는 마을단위 탄소중립 정책, 계획 수립 시 정량적 목표제시 및 달성 여부 점검 등에 활용가능할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시군구 등 지역단위와 도시단위의 탄소중립화에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강릉지역 팔경의 내용 및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and Distribution of Palgyeong in Gangneung Area)

  • 권지영;김성균;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26
    • /
    • 2016
  • 본고에서는 여러 문헌에 흩어진 강릉지역의 팔경을 수집하고, 팔경과 역사문화와의 관계 팔경의 지역적 분포 경관구성 요소 및 내재적 의미를 다각도로 분석 및 해석하였다. 강릉지역의 팔경은 고려에서 근현대까지 오랜 시간 동안 축적 확장되어 왔으며, 단순히 자연경관의 아름다움뿐 아니라 이 지역을 배경으로 한 역사적인 사실과 그 정서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강릉지역 팔경의 형식과 분포를 종합하여 볼 때, 가장 많은 형식을 차지하는 것은 소상유사형(瀟湘類似型)이다. 그 중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저녁밥 짓는 연기'나 '고기 잡기' 등은 당시 강릉지역민들의 생활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마을단위로 이루어진 팔경이라는 사실을 말한다. 강릉지역의 팔경은 넓게는 시(市) 전체, 좁게는 누정(亭)까지 다양한 범위에 분포되어 있다. 대부분의 팔경은 현재 강릉시의 동쪽, 그리고 강동면과 구정면이 접하는 지역에 몰려있다. 강릉 지역의 팔경이 대부분 이곳에 분포되어 있는 상황으로 볼 때, 이 지역이 강릉경관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강릉지역 팔경은 자연요소 60%, 인문요소 36%, 기타 4%로 나타났으며 자연요소에서는 대상 그 자체의 아름다움을, 인문요소와 기타에서는 대상 속에 담긴 전설이나 역사를 담고 있다. 팔경이 표현하는 경관들은 별개의 대상이 아니다. 남대천과 죽도봉, 군선강과 풍호 등 하나의 풍경이 되었다. 또한 신라의 화랑의 이야기가 얽힌 풍호, 군선강 등은 강릉지역의 대표적인 역사경관이 되었으며, 강릉지역의 팔경은 견조도, 한송정, 한송사 등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강릉의 유적 및 전통경관을 유추해 볼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강릉지역의 팔경은 미적대상인 동시에 역사 문화적 장소이고 더 나아가 심상적(心象的) 공간으로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