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Materials

검색결과 518건 처리시간 0.026초

지형호칭에 의한 하천 미지형경관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Microtopography of Stream by Topographic Names)

  • 강영주;김현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1-123
    • /
    • 1997
  •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atial forms of stream, this study aimed to typify stream microtopography through the collection of common names of topography determined by fishermen and to describe stream landscapes by using these typology. The seventeen stream microtopography names were sorted out and divided into three types : the streamside space which includes Kaeul-jari, Hapsu-mori, Cholpyok-jidae, Kyekok-jidae and Korpuri, stream plate which includes Youl, Mulgol, So and Ungdongi, and streambed materials which includes Ampan-jidae, Pawi-jidae, Dolpat-jidae, Chagal-jidae, Chanchgal-jidae, Moraetop, Kamtang-padak and Suchoda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tream microtopography landscape were describ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landform, the support of fishing, accessibility, viewpoint and eye-catching degree. The tipification of stream microtopography and their symbolization will offer a rich vocabulary to describe diverse spatial forms of stream.

  • PDF

都市公園 利用者의 動線類型 및 그 發生要因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Visitor's Use Route Patterns in Urban Parks)

  • 김동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3호통권39호
    • /
    • pp.155-169
    • /
    • 1990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undamental materials and a guideline for design through grouping of the users' use route patterns and analyzing determinants to choose those route patterns in urban parks. Study sites were Jungang, Dlseong, and Beomeo park, where located Taegu city-Key results obtained through a series of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 When Users come in and out urban parks, most orientations of their use routes were counterclockwise, and not in such cases, greatly affected by facilities arrangement.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users in the main route placed the principal facilities. Users' use route patterns were grouped by their characteristics, which were circulation, semi-circulation, irregular, and piston type. And all the types except piston type can be subdivided into spoon and loope type. Factors analysis to the types produced five meaningful patterns of variables. Five factors were named as dimension of characteristics : Park composition factor, facilities use factor, users' personal factor, park use behavioral factor, routes choice factor.

  • PDF

조경용 투수성 블록포장의 열특성 (Thermal Characteristics of Permeable Block Pavements for Landscape Construction)

  • 한승호;류남형;윤용한;김원태;강진형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73-580
    • /
    • 2008
  • This study aims to measure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rmal environment of the various permeable pavement materials such as a break stone pavement (Green block cubic), soil protection pavement (Soil tector), soil cement pavement and ceramic brick pavement under the summer outdoor environment. The therm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measured in the study includes the changes of surface temperature during the day, and long and short wave radiation of each pavement surface. The experimental condition is based on the data on the hottest temperature (August 9, 2006, $37.1^{\circ}C$) of the year. The albedo was the highest on the break stone pavement(0.8) from 12:00 to 14:00. The albedo of the ceramic brick pavement, a soil tector pavement and soil cement pavement were 0.35, 0.29 and 0.27 from 12:00 to 14:00, respectively. The peak surface temperature and long wave radiation was the highest on the soil protection pavements($56.6^{\circ}C$/627 W/$m^2$). The peak surface temperatures and long wave radiation on the ceramic brick pavement, a stone brick pavement and soil cement pavement were $51.7^{\circ}C$/627 W/$m^2$, $48.8^{\circ}C$/607 W/$m^2$ and $45.9^{\circ}C$/582 W/$m^2$, respectively. The heat environment was better on the break stone pavement than on the other pavements. This is mainly due to the high albedo of the break stone pavement(0.8) while the albedo value of a ceramic brick pavement, a soil tactor pavement and soil cement pavement were 0.35. 0.29 and 0.27. Large heat capacity($2,629kJ/m^3{\cdot}K$) of the stone brick pavements also contributes to this difference. The heat environment was better on the soil cement pavement than the soil tector pavement. This is mainly due to the evaporation of the soil cement pavement while the active evaporation of the soil tactor pavement was not continued after two days from the rainfall event. To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s in the urban area, it is recommended to raise the albedo of the pavements by brightening the surface color of the pavement materials. Further studies on the pavement materials and the construction methods which can enhance the continuous evapotranspiration from the pavements surface are needed.

폴리프로필렌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와 화강토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 Fiber mixed in Concrete and Granite Soil Concrete)

  • 전형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120-126
    • /
    • 2018
  • 본 연구는 콘크리트에 잔골재와 폴리프로필렌섬유를 혼입한 실험과 화강토와 폴리프로필렌섬유를 혼입한 실험을 하였다. 특히 두 종류의 실험은 폴리프로필렌섬유의 양을 변경하여 슬럼프, 압축강도, 인장강도 등의 역학적 특성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두 종류의 실험 결과를 비교하여 잔골재를 실험 재료로 사용한 경우와 화강토를 사용한 재료를 비교 분석하여 건조 수축 균열로 인한 부분적인 파괴를 예방하고, 가벼워서 사용하기 편한 품질 좋은 조경용 구조물 및 포장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콘크리트에서 PP 섬유의 양이 증가할수록 PP 섬유의 체적 또한 현저히 증가하게 되므로 슬럼프가 감소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압축강도의 결과, 화강토콘크리트는 콘크리트 강도의 59%~71% 정도로 측정되었다. PP 섬유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는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났다. 인장강도의 결과 화강토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인장강도의 68%~67% 정도로 나타났다. PP 섬유를 콘크리트나 화강토콘크리트에서 혼입량을 증가시킬수록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콘크리트와 화강토콘크리트에 폴리프로필렌섬유를 혼입하면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분석해 화강토를 혼입한 콘크리트에 일정량의 PP섬유를 혼입하여 조경분야의 각종 구조물 또는 포장과 관련된 재료에 활용하면 구조물의 취성에 의한 파괴 및 균열로 인한 박리 박락의 방지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옛 담장의 정비 양상 (A Study on Structural Maintenance of 'Old Wall' Designated as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

  • 소현수;정명석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1-34
    • /
    • 2023
  • 본 연구는 13개 마을 옛 담장의 국가등록문화재 지정 당시 사용된 재료와 축조법을 파악하고,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정비에 따른 옛 담장의 구조별 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옛 담장은 토석담 10개소와 돌담 5개소로 구성되었으며, 지정 당시 자연석 메쌓기로 막쌓은 돌담은 비슷한 형태를 유지하는 비율이 높았지만, 토석담은 사용한 돌과 줄눈 및 맞댄 면 축조법에 따라서 담장별로 다양하게 변형되었다. 둘째, 옛 담장의 정비로 인해서 변화된 구간을 추출하고 재료의 대체와 첨가, 축조법의 변형 양상을 파악하였다. 지붕부는 내구성과 가격의 효율이 높은 시멘트 기와나 석면 슬레이트로 대체되고, 우수 유입을 막고자 한식 기와에 와구토가 첨가되었다. 벽체부의 자연석은 시공 편의에 따른 발파석, 마름돌, 가공 석재로 대체되고, 보수에 시멘트 블록, 시멘트 벽돌이 사용되었으며, 시멘트 모르타르가 도포되었다. 토석담의 막쌓기가 빗쌓기로 변형되고 찰쌓기는 메쌓기로 바뀌어 경관적, 구조적 문제를 야기하였다. 또한 기초부에 시멘트 모르타르층이 시공되어 자연석 메쌓기로 유도했던 우수의 흐름을 막아버렸다. 셋째, 이러한 정비 양상은 주거공간에 배치된 옛 담장의 속성상 소유주가 일상적 훼손에 대한 비전문적 보수를 반복하고, 문화재 지정으로 인하여 정비를 담당한 수리업체가 지역 재료를 수급하기 어려우며, 옛 담장에 대한 차별성있는 수리시방서가 적용되지 않는 환경에서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조선시대 궁능 석축의 가치속성 및 수리실태 연구 (A Study on Value Properties and Repair Status of Stone Structures in Royal Palace and Tomb Heritages of the Joseon Dynasty)

  • 조혁준;김민선;김충식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11
    • /
    • 2024
  • 본 연구는 문화유산 수리규범을 중심으로 조경유산인 석축의 수리 실태를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으로 문화재청에서 간행한 총 296건의 수리보고서를 검토하여 8건의 석축 수리 사례를 선정하였다. 국내외의 문화유산에 적용되는 수리 규범에서 제시된 형태와 디자인, 재료와 재질, 전통과 기술의 3가지 가치속성으로 석축의 수리 실태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와 디자인적 측면에서 가시적인 형태의 면석보다 비가시적 구조인 기초와 뒷채움석 위주의 변형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변형의 원인은 석축유산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나 판단 근거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둘째, 재료와 재질적 측면에서는 검증과 고증이 미흡한 경우가 많았다. 석재는 산지에 따라 강도와 색상 등에 차이가 커서 석축의 가치속성에 미치는 영향이 큰데도 불구하고 교체되는 재료에 대한 원산지 검증 과정이 생략되었다. 셋째, 전통과 기술의 가치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인 연장, 도구, 기술에 대한 사항들이 기록되지 않고 있었다.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에 규정된 기술과 도구를 사용하는데 보편화되면서 수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기록이 누락되는 경향이 높았다. 석축의 수리에서 문화유산 수리규범의 준용율은 높지 않았다. 석축유산의 수리 품질 개선을 위해서는 비가시적 구조에 대한 가치속성의 유지를 위해 규범 준수 기준을 강화하고 재료와 재질에 대한 원산지 고증과 검증을 강화하며, 수리기술의 투입과 절차를 상세히 기록하는 방안의 마련이 요구된다.

경관제어요소에 관한 전문가집단 간 인식차이 분석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Awareness on Visual Landscape Control Elements among the Expert Groups)

  • 조유경;공은미;김영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9-39
    • /
    • 2011
  • 도시공간의 질적 수준 증대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면서 경관계획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다. 경관계획의 수립과 관련하여 경관법과 시행령, 지침 등은 마련되어 있지만 아직도 실무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상세한 근거 자료는 여려 가지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도시 공간 계획과 관련된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경관 관련 분야에서 사용되어지는 일반적인 경관제어요소(Visual Landscape Control Element)들에 관한 인식차이를 분석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세 개로 구분하였는데, 계획관련, 디자인관련, 공학관련분야로 구분하고, 설문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초기술통계와 함께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Sample T-Test)을 실시하였다. 총 10개의 제어요소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모든 경관권역에 걸쳐, 특히 혼합경관의 경우 G1과 G2 집단은 경관제어요소에 관하여 인식차이를 가장 많이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 간 비교에서는 인식차이를 보이는 요소가 적게 분석되었다. 경관관리권내 인공경관과 혼합경관의 경우 가장 많은 인식차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G1과 G2간의 비교 결과 각각 7개의 요소에 관하여 인식차이를 보였다. 한편 G2와 G3 집단간 비교에서는 경관형성권 내 혼합경관의 경우에 4가지로 가장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인식차이를 가장 많이 보인 제어요소는 높이, 용적률, 건폐율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형태요소는 경관관리권 인공경관의 경우 G1과 G2 집단간 비교에서 유일하게 인식차이를 보였다. 제어요소의 적정성 평가에 있어 평가값의 평균치를 비교해 보면 전반적으로 G1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제시된 경관제어요소들이 경관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높은 적정성을 가진다고 평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G2 집단이 제어요소의 적정성에 있어 전체적으로 낮게 평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질감, 용적률, 건폐율요소는 모든 권역, 유형에서 적정성을 낮게 평가받았으며, 이것은 경관제어요소로서 경관계획에 활용함에 있어 타당성과 방법론을 재검증해 보아야 한다.

대전시 공원녹지에 대한 주민의식 조사 (A Study on the Residents' Consciousness for Park and Green Space in the City of Daejeon)

  • 이시영;심준영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65-7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idents' consciousness for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in the city of Daejeon. This work enables us to find new implementation factors to increase resident's satisfaction of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This study surveyed 1005 residents from 80dongs(neighborhoods), of 5 Gu(districts) districts in Daejeon.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structurally organized questionnaire and objective materials. The data collected from participants of the survey were summarized as follows. Daejeon residents want more natural parks and neighborhood parks than other urban facilities as recreation facilities. The favorite places in which Daejeon residents visit are Bomun Mountain, Gap River, Geajock Mountain, and Yudeon River, in order. In landscape scenery of Daejeon, residents prefer Daedeck research complex area than others and they felt that urban landscape scenery is more improved than 5 years ago. Also they want to increase the area of park and green space about 4times more than present. The result shows that the importance index of park and green space is 8.7 and the satisfaction index is 5.42.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he demand by residents for urban park and green spaces will improve as the urban structure is improved.

  • PDF

실내공간 디자인 요소가 가로경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피맛골의 야간 경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esign Elements of Interior Space on Streetscape - Focused on Pimatgol -)

  • 이철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215-222
    • /
    • 2004
  • Buildings' outward appearances, sidewalks, and street lights have long been regarded as important factors identifying the street landscape of a city. On the other hand, the interior spaces of a building have been known to have less correlation with street landscape. This paper, which did not use standardized urban street landscape application methods, attempts, based on an experiment involving Pimatgol, to prove that small changes in interior design influence the street landscapes of cities and even provide new vigorousness. Pimatgol is a type of village that still possesses a traditional Korean lyrical atmosphere. This paper also attempts to, with the use of a physical model and a digital simulation of small changes interior design, such as changes in materials, size of the opening, location of furniture, or a change of lights, uncover positive changes in street landscape. Computer simulation is one of the extraordinarily useful techniques to predict lighting performance, changing interior space and present visual image. As a result, this study can be a valuable guideline for the future streetscape reform project to lead the demanding effects of the interior space.

썬큰광장의 교통소음 감쇠 효과 (Traffic Noise Reduction of Sunken Squares)

  • 민장기;장태현;정재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5-42
    • /
    • 2004
  • This study examines the traffic noise reduction effects of the diverse efficiency features of a sunken square, and investigates the reduction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noise alteration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conditions in order to verify its possibility as a new noise reduction facility. Th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As a result, (1) the traffic noise from the roads around the sunken squares exceeded the regulatory standards; (2) the sunken squares were protected from noise; (3) the sunken spaces yielded a greater reduction by 6∼7dB than the flat ground thanks to the diffraction effect; and (4) there were fine changes to nois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space construction. In short, a sunken square has the potential to afford new applications as a noise reduction facility in a highly concentrated downtown with the existing defects solved. In addition, its use for effective noise control is evident based on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a space. Future studies need to include efforts to provide clearer quantitative data, as well as research on shape, layout, and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