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tructural Maintenance of 'Old Wall' Designated as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옛 담장의 정비 양상

  • So, Hyun-S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University of Seoul) ;
  • Jeong, Myeong-Seok (Graduate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University of Seoul)
  • 소현수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정명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Received : 2022.11.02
  • Accepted : 2023.03.25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the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of 'Old Wall' in 13 villages which were designated as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at the time of designation and examined the their structural changes based on field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ld Wall' consisted of 10 Soil-Stone Wall and 5 Stone Wall. At the time of designation, Stone Wall, which was built irregularly by dry-construction of natural stones, is similar in shape, but Soil-Stone Wall showed difference by the construction method of making used stones, joints, and faces. Second, the study extracted the changes of 'Old Wall' by repair and examined the changes of construction methods as well as the substitution and addition of materials of structure. The wall-roof was built with cement roof-tile and asbestos slate which have the advantage improve durability and cost-effectiveness. In addition, tile-mouth soil was added to korean traditional roof-tile to prevent rainwater from flowing in. Besides, to improve constructional convenience, the natural stone of the wall-body was replaced with blast stone, float stone and cut stone. Cement block, cement brick and cement mortar were frequently used to repair as well. As Soil-Stone Wall was transformed from irregular pattern-construction to comb pattern-construction and wet-construction was changed to dry-construction, it caused landscape and structural problems. Also, the layer of cement mortar applied to wall-foundation blocked the flow of rainwater that was induced by dry-construction of natural stones. Third, the study regarded that the problem with the repair of 'Old Wall' may occur as it is located in living space, because the owner of the wall could repair for the minor damages without technical knowledg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repair companies in charge of maintenance of Cultural Heritage to supply local materials, and it is differential construction specifications are not applied.

본 연구는 13개 마을 옛 담장의 국가등록문화재 지정 당시 사용된 재료와 축조법을 파악하고,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정비에 따른 옛 담장의 구조별 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옛 담장은 토석담 10개소와 돌담 5개소로 구성되었으며, 지정 당시 자연석 메쌓기로 막쌓은 돌담은 비슷한 형태를 유지하는 비율이 높았지만, 토석담은 사용한 돌과 줄눈 및 맞댄 면 축조법에 따라서 담장별로 다양하게 변형되었다. 둘째, 옛 담장의 정비로 인해서 변화된 구간을 추출하고 재료의 대체와 첨가, 축조법의 변형 양상을 파악하였다. 지붕부는 내구성과 가격의 효율이 높은 시멘트 기와나 석면 슬레이트로 대체되고, 우수 유입을 막고자 한식 기와에 와구토가 첨가되었다. 벽체부의 자연석은 시공 편의에 따른 발파석, 마름돌, 가공 석재로 대체되고, 보수에 시멘트 블록, 시멘트 벽돌이 사용되었으며, 시멘트 모르타르가 도포되었다. 토석담의 막쌓기가 빗쌓기로 변형되고 찰쌓기는 메쌓기로 바뀌어 경관적, 구조적 문제를 야기하였다. 또한 기초부에 시멘트 모르타르층이 시공되어 자연석 메쌓기로 유도했던 우수의 흐름을 막아버렸다. 셋째, 이러한 정비 양상은 주거공간에 배치된 옛 담장의 속성상 소유주가 일상적 훼손에 대한 비전문적 보수를 반복하고, 문화재 지정으로 인하여 정비를 담당한 수리업체가 지역 재료를 수급하기 어려우며, 옛 담장에 대한 차별성있는 수리시방서가 적용되지 않는 환경에서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2년도 서울시립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References

  1. 이창환, 신현실(2018). 세계문화유산 하회와 양동의 식생경관 진정성 유지를 위한 평가항목 설정 기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6(2): 21-29.  https://doi.org/10.14700/KITLA.2018.36.2.021
  2. 백주현(2007). 옛담장의 등록과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문화재학. 4: 183-215. 
  3. 문화재청(2019). 2019년 등록문화재(건조물 분야) 정기조사 결과보고서. 
  4. 문화재청(2022). 문화재 보존원칙 정립 심화
  5. 주현희(2001). 傳統 空間에서의 담의 造影에 관한 硏究 : 慶州 良洞마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장경원(2008). 경상북도 전통마을의 담장형태와 기능 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임도열(2013). 조선후기 전통가옥 담장의 특성에 관한 고찰.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동현, 이원호(2017). 하회마을 담장 형태의 변화양상. 한국조경학회지. 45(5): 87-96.  https://doi.org/10.9715/KILA.2017.45.5.087
  9. 이민석, 정성미(2009). 옛 담장 등록문화재의 활용 방안 연구 : 정읍 상학마을 '다무락'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문화재. 42(4): 50-73.  https://doi.org/10.22755/KJCHS.2009.42.4.50
  10. 국가기록원 관리번호 CET0075550 
  11. 김왕직(2007).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서울 : 동녘. 
  12. 문화재청(2022).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 
  13. 문화재청(2010). 2006년도 등록문화재 등록조사보고서. 
  14. 문화재청(2008). 2007년도 등록문화재 등록조사보고서. 
  15. 문화재수리 설계도서 작성기준(문화재청고시 제2016-116호) 
  16. 문화재청(2013). 문화재수리 전통재료 제작 및 활성화 방안 연구. 
  17. 전통재료의 실태조사 및 수급계획 수립 등에 관한 기준(문화재청고시 제2021-144호) 
  18. 토목용어편찬위원회(2020). 토목용어사전. 서울 : 건설연구사 
  19. 김정률(2012).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퇴적물의 입도에 대한 한국어 용어의 검토. 한국지구과학회지. 33(4): 350-359. 
  20. 허지현(2018). 평기와의 제작방식 변화가 문화재보존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장기인(1987). 한국기와와 도입 양기와. 문화재 20: 152-165. 
  22. 김영모(2012). 알기쉬운 전통조경 시설사전. 서울 : 동녘. 
  23. (사)한국전통조경학회(2021). 전통조경 시공.관리. 서울 : 문운당. 
  24. 문화재청(2022). 문화재수리표준품셈. 
  25. 대구광역시 동구(2013). 둔산동 옻골마을 명소화 방안 연구. 
  26. 국립문화재연구소(2010). 번와장. 대전 : 민속원. 
  27. 김규연(2019). 도동서원 중정당 전면 담장의 보수를 위한 진단학적 보존 상태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7(1): 1-11.  https://doi.org/10.14700/KITLA.2019.37.1.001
  28. 장익식(2014). 소쇄원 오곡문 담장 구조형태 해석에 관한 연구 - 담장 축석(築石)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국립문화재연구소(2017). 2017 중요유적지 조경 전국 실태조사 연구 세계문화유산 안동 하회마을. 
  30. 산청군(2020). 산청 단계마을 옛담장 보수공사 수리보고서. 
  31. 김진호(2009). 건축문화재 부실수리 및 수리공사의 문제점 분석을 통한 수리정보관리 방안의 고찰. 대한건축연합논문집. 11(3 ): 225-232. 
  32. 박희진 "[다시 보는 문화재] 시멘트 담장 사이 ... 몸살 앓는 소쇄원". 서울문화투데이. 2017.05.19. 
  33. 안충기. "소쇄원 담장 색이 이상해졌다". 중앙일보. 2017.11.25. 
  34. 강소영, 김은경, 안선아, 남병직(2018). 문화재 수리에 사용되는 석회의 생산과 제조 사례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전통문화연구. 22: 153-172. 
  35. 신웅주, 길종원(2010). 전라남도 등록문화재의 수리공사에 관한 조사 연구 : 수리공사에 따른 재료 및 형태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2(4): 1-11. 
  36. 아산시(2017). 아산 외암마을 제2차 종합정비계획(보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