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Impact Assessment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21초

경관유형이 도시사무직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인지수행에 미치는 영향 -자연경관과 도시경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Landscape Type on Urban Office Workers' Stress and Cognitive Performance - Comparison between Natural and Urban Landscape -)

  • 이영경;이병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1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natural landscapes in the context of work environments. The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natural landscapes on urban office workers' stress reduction and cognitive performance, using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cognitive measures. One-hundred-twenty urban office work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The physiological measures used were GSR (galvanic skin response) and IBI (interbeat interval), and the psychological measure was ZIPERS (Zucherman Inventory of Personal Reactions). Cognitive performance was measured using a mental arithmetic test that had been developed by a pretest. The results from the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cognitive measures converged to indicate that the natural landscape had more beneficial effects in relieving both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ress and in enhancing cognitive performance of the of office workers than the city landscape. The results suggest wide applications in the fields of workers' well-being and landscape research. First, the results can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for promoting natural landscaping in work places in order to relieve worker stress and enhance cognitive performance. Second, the results provide an example for future empirical landscape research using multiple measurements, such as psychological, physiological, and cognitive tests. Third, they can foster experimental research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reduction and natural landscapes.

동절기 고층건물 풍하면의 기온역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version at Leeward Side of High-rise Building in Winter)

  • 정해연;김문성;오성남;이규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6호
    • /
    • pp.583-590
    • /
    • 2010
  • To determine nocturnal inversion characteristics at the leeward side of high-rise building, air temperature data were observed at 10 minute interval from February 22, 2010 to April 15, 2010. The observed data were compared, analyzed and examined to illustrate air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the roof (XAR) and surface (XAG) of X apartment. The wind speed, wind direction and precipitation data were also observed at XAR and YJL (Yangjae Stream) sites at the same time. After the analysis, the maximum nocturnal inversion was observed by $4.0^{\circ}C$ at 3:40, 3:50, 4:10 on February 24th 2010, at that time the weather condition was clear and weak wind. Air temperature inversions at the leeward side of high-rise building were observed on whole day in wintertime and air temperature inversion intensity was also higher than other nearby area (SMG).

도시하천의 바람 특성 - 서울 강남구 양재천을 대상으로 - (Wind Characteristics at Urban Stream - Case of Yangjae Stream at Gangnam-gu in Seoul -)

  • 이상정;이원보;김문성;이규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1호
    • /
    • pp.201-208
    • /
    • 2012
  • Global warming due to the climate change cause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urban heat island (UHI), air pollutant deposition, urban heavy rainfall, etc. Urban stream plays an important role on mitigating UHI as open space as well as an ecological corridor in urban are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wind characteristics of urban stream in the case of Yangjae Stream at Daechi-dong, Gangnam-gu in Seoul,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data were observed and analyzed using a propellor type RM-Young wind monitor. The results show that the prevailing wind direction was southwest. However, easterly wind is the prevailing one between 8:00 and 12:00. Strong wind whose Beaufort scale is four or more blew frequently from 12:00 to 18:00. In terms of seasonal frequency, the spring shows the highest frequency, then winter was the next.

환경영향평가에서 동물상 영향 저감방안 이행현황 평가 - 도시 및 도로 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Evaluating Implementation Rate of Wildlife Mitigation Measures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이지훈;김은섭;모용원;이동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6호
    • /
    • pp.359-368
    • /
    • 2022
  • 개발사업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저감방안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행률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환경영향평가에서 자연생태환경 동물상 분야의 경우 저감방안에 대한 실효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개발사업의 이행평가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영향평가사업의 대표적인 유형인 도시 및 도로의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자연생태환경 동물상 분야의 저감방안 이행률을 평가하고, 각 저감방안별 이행률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도시 및 도로개발사업 저감방안 이행률은 각 56.0%와 64.4%로 낮게 나타났다. 사후 모니터링은 모든 사업유형에서 이행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서식지 조성과 사고예방 저감방안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저감방안 이행률은 보고서 내 기재된 저감방안 내용이 구체적일 때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환경영향평가 자연생태환경 동물상 분야 저감방안의 이행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평가서 작성 시 대상지의 환경적, 지리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실제로 이행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서술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자연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도입된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실효성을 증진하기 위한 기초 근거로서 본 연구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생지수를 이용한 환경영향평가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Using Vegetation Index)

  • 한의정;김명진;이재운;김상훈;홍준석;서창완
    • 환경영향평가
    • /
    • 제6권1호
    • /
    • pp.47-54
    • /
    • 1997
  • Vegetation Index(VI) derived from remote sensing data is used to assess ecosystem factor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process. Ecosystem factor has been prepared by Degree of Green Naturality(DGN) mainly in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s. But DGN has room for improvement of assessing actual ecosystem situa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ield measure DGN and VI, and to develop methodologies to use VI for assessing the status and conditions of natural ecosystem. For verification of DGN and VI, 35 sites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are selected and reviewe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DGN and VI shows highly as 0.69. Also VI in EIA found it can be applied to assess ecosystem. It concluded that VI as well as DGN can be applied to assess ecosystem newly and largescale.

  • PDF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통합적인 도시 평가 (An Integrated Assessment of Urba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이우성;정성관;박경훈;유주한;김경태
    • 환경영향평가
    • /
    • 제16권6호
    • /
    • pp.447-46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sustainability in 45 cities of all over Gyeongnam and Gyeongbuk using weights and assessment system developed in leading research. The materials of assessment used statistical data and spatial data were standardized for the systematic result. The assessment score was established using the normal distribution from 25 to 125 for removal of the very smallest and maximum value. According to the results, Tongyeong was assessed the highest by 82.5 score i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In economical sustainability index, Pohang, Gumi, Changwon, Yangsan were more than 79 score but Busan, Daegu, Andong were less than 70 score. Ulsan, Geoje, Yangsan were assessed higher in society-institutional sustainability index and Jinju, Munkyeong, Changnyeong were showed higher than other cities by more 79 score in quality of life(QOL)'s sustainability index. In case of integrated sustainability index, Jinju that was the highest sustainability in QOL was assessed by first city. However, Ulsan was assessed the lowest city among others. Therefore cities which have high sustainability will prepare a politic investment program for maintaining current conditions. Cities which have low sustainability will grasp closely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urban and present the improvement direction through monitoring continuously. Overall,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tools to assess the current cities and predict the future one.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urban planning for livable and sustainable city.

시화호 연안습지 식생의 공간 분포 분석 (The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Coastal Wetland Vegetation in Sihwa Lake)

  • 정종철;조홍래
    • 환경영향평가
    • /
    • 제17권2호
    • /
    • pp.105-112
    • /
    • 2008
  • Human activity has been the major threat to wetlands. Agriculture, industrial development, and urban and suburban sprawl have caused the greatest losses of coastal wetlands. In fact, riceland agriculture, because of the flooding that goes with it, provides some additional wetland habitat not otherwise available. The biggest current source of loss for freshwater coastal wetlands is from urban sprawl. In this study, spatial analysis method such as landscape index were applied to Sihwa area in Ansan city. The SMA (Spectral Mixture Analysis) method using Landsat image showed the change distribution of wetland vegetation from 1996 to 2004. The southern part of Sihwa wetland have been changed with Suda japonica of 24% and reed vegetation of 34% on coastal wetland which were covered with tidal flat.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대전광역시 토지이용 변화 검출 (Urban Land Use Change Detection over Daejon Metropolitan Area using Bi-temporal Landsat TM image with the Integration of GIS)

  • 안승만;신진민;신동훈;이규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11권4호
    • /
    • pp.239-246
    • /
    • 2002
  • 지난 몇 십 년 동안 한국에서는 도시의 확장으로 인해 인구 밀집지역에서의 토지이용이 급속하게 변화되었으며, 그 결과 도시의 환경은 악화되었다. 도시화는 도시민에 필요한 녹지의 크기와 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서식처 파괴의 원인이 되며, 적절한 녹지의 배치 또는 배열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도시내 생태적 기능의 결핍을 초래한다. 경관변화의 증명과 분석은 토지이용변화의 환경 요소의 인과관계 파악에 중요하다. 원격탐사와 지형정보체계는 토지이용 변화의 경향과 영향을 이해할 수 있어 녹지공간변화 파악에 사용된다. 원격탐사는 동일대상지의 다른 시기에서의 영상자료를 이용해 토지이용의 경년변화를 파악하며 지형정보체계는 이를 저장, 분석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원격탐사와 지형정보체계를 이용하여, 1989년부터 1998년 동안, 대전광역시의 토지이용 변화를 파악하며 그 원인을 살펴보는데 있다.

Effective Methods on the Conservation of Specific Plant Species

  • Park, In Hwan;Ra, Jung Hwa
    • 환경영향평가
    • /
    • 제8권1호
    • /
    • pp.121-132
    • /
    • 1999
  • 효과적인 특정식물종에 보전대책 수립을 위한 정책척 측면에서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특정식물종의 분류항목을 보다 더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각 항목별 지정기준을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조사의 범위를 특정지역에 대한 부분적 조사가 아니라 국토 및 지역차원에서 총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조사내용도 특정식물종만이 아닌 타 환경요인들(Biotope, 식물지리적 분포, 토양조건 등)을 함께 조사내용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3) 연구자의 주관적 편견이나 경험에 의한 평가를 지양하고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평가체계의 확립이 필요하다. 4) 국가차원에서 특정식물종을 총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지도제작, 정보시스템의 구축, 현장보전 및 장외보전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정책적 차원에서의 개선책은 관계전문가들 사이에 보다 더 구체적인 논의 및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제시로서, 세부적인 연구는 차후 계속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기계학습을 통한 토양오염물질 농도 예측 및 분포 매핑 (Predicting Concentrations of Soil Pollutants and Mapping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 강혜원;박상진;이동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4호
    • /
    • pp.214-225
    • /
    • 2022
  • 본 연구는 사업시행이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환경영향평가 토양 부문을 강조하였다. 영향평가 절차에 대한 일련의 노력으로서 도시개발사업을 대상으로 하는 국가 인벤토리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세 가지 기계학습 모델 성능 평가 및 토양오염물질 농도분포 매핑을 진행하였다. 여기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 Random Forest 모델을 사용하여 대한 민국 수도권 지역을 대상 9가지 토양오염물질을 매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화가 가장 활발한 서울지역에서 아연(Zn), 불소(F) 및 카드뮴(Cd) 농도가 상대적으로 우려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수은(Hg)과 크롬(Cr6+)의 경우 농도가 기준 이하로 검출되었는데, 이는 중금속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 및 공업단지와 같은 오염원 부족이 원인으로 도출되었다. 토양오염물질 공간분포 매핑을 통해 토양특성 및 토지이용 유형과 오염물질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유추하였다. 이를 통해 사업 현장 위치에 관한 토양오염 최소화 및 계획 결정에 대한 효율적인 토양관리 방안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