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Formation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5초

이화원 황가원림의 경관연출기법 연구 (A Study on Landscape Formation Techniques of Summer Palace as Royal Garden in China)

  • 안승홍;윤성융;염성진;윤상준;이원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8-27
    • /
    • 2018
  • 본 연구는 황가원림이 중국 고전원림을 집대성한 산물임을 상정하고 황가원림에 연출된 경관 특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화원에는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하고자 한 황제의 욕망을 위해 다양한 경관연출기법이 적용되었는데 이에 따른 경관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이화원은 차경, 주경, 배경, 대경, 협경, 분경, 광경, 누경, 첨경 등 다양한 조망처리기법을 통해 다양한 원림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둘째, 남북의 중축선을 기준으로 한 건축물을 대칭구도 및 장랑구조, 시각생리를 고려한 경점의 배치를 통해 경관 감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중국 각지의 명승지 경관을 이화원의 고유한 지형적 특성에 맞게 도입하는 명경이식기법을 활용하였다. 이화원에는 항주와 기창원, 소주의 산당가의 경관이 재현 이식되어 공통적으로 강남지역의 경관이 이식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3가지 기법들은 원림 내에 공간감을 살리고, 풍부한 경관을 연출할 뿐 아니라 유람객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고 집중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거창 고학리 해주오씨의 장소애착을 통해 본 종족경관의 형성과정 (The Formation Process of Tribal Landscape through Place Attachment of the Haeju Oh Family at Gohak-ri, Geochang)

  • 이현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28-37
    • /
    • 2013
  • 경남 거창군 마리면 고학리에 소재한 용원정원림(龍源亭園林) 및 마을주변의 지명과 조형물 등 문화경관적 요소들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토대로 용원정원림과 마을 내 배태(胚胎)된 해주오씨의 장소애착 방식과 특질을 확인하는 한편, 종족경관(宗族景觀)의 형성과정을 추찰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해주인 구화공 오수(九華公吳守)가 마을에 터 잡은 이래 그의 후손들이 선조를 사모하는 마음으로 다듬어 온 공간으로 1964년 용원정이 건립되었다. 이곳은 구화공의 유허지로 이후 후손들의 생활과 풍류의 거점이자 숭모(崇慕)의 정을 교감하는 원림적 장소로서 지속적으로 관리되어 왔음이 기문과 문헌자료 그리고 주변에 배치된 여러 시설 및 다수의 바위에 새긴 바위글씨를 통해서도 충분히 감지된다. 안의삼동 중 하나인 원학동의 지맥인 학봉(鶴峰)을 상징하는 고학리와 이곳에 각인된 '방학(訪鶴) 정학(停鶴)'의 의미는 해주오씨의 생태적 정착과 서식을 설명하는 경관언어가 분명하다. 장소성이 "어떤 실체로서 존재하기 보다는 담론과 실천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회적 고안물이다"라는 정의를 상기할 때, 주변 지명과 용원정원림 그리고 마을 도처에 산재한 다수의 조영물은 한국적 장소성의 특성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종족집단의 기념비적 장소 전승의 사례이다. 구화공이 고학리에 정착한 이래 해주오씨 종족집단은 서식지 정착단계를 거쳐 장소성 구현을 통한 경관형성단계를 이루었다. 이후 조상숭모와 장소착근 현상이 되풀이되면서 영역성은 확산되고, 장소의 재생산이 이루어졌다. 특히 일제강점기에도 재실 건립과 유허비 조성 등이 이어졌으며, 해방 이후에도 용원정 건립 등 장소재현의 단계를 거쳐 현재까지도 다양한 형태의 기념비적 종족경관이 펼쳐지고 있으며, 이러한 장소애착(場所愛着)과 장소착근(場所着根)의 결과가 바로 우리가 지각하는 '거창군 마리면 고학리의 종족경관'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종족집단의 장소애착과 장소착근의 현상이 되풀이되어 형성된 영역성 확산의 산물이야말로 종족경관의 실체인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집단 기억 속에 재차 구축 전승되고 있는 고유한 장소에 대한 후손들의 진지한 관심과 사랑 그리고 진정한 장소애착의 정신을 확인하게 된다.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의 생태학적 해석 - 동계(桐溪) 정온(鄭蘊) 가옥과 전주(全州) 최씨(崔氏) 종택을 중심으로 - (An Ecological Interpretation on Korean Traditional Dwelling Houses and Their Landscape Gardens)

  • 소현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20-130
    • /
    • 2009
  • 본 연구는 생태학에 견줄 수 있는 전통적 관념으로서 생명사상과 전통사상에 착안하여 마련된 '전통경관의 생태학적 해석' 방법론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를 통해서 당시의 관점에 근접함으로써 선조들의 생태학적 사고와 그를 기반으로 한 조영방식을 설명하기에 유용한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생태학적 해석 도구로써 추출한 '본성(本性; 자연의 정체성 고수)' '중절(中節; 절제)' '효율(效率; 경제적 효용)' '상생(相生; 관계 맺기)' '자생(自生; 자연의 원리 취득)' '중화(中和; 인공을 최소화하여 조화)' '방통(旁通; 소통과 순환)' '변통(變通; 가변성과 다양성)'이라는 전통사상의 개념어들은 우리 문화와 경관 속에 함유된 생태학적 개념을 대신한다. 사례연구를 위해서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1827)에 서술된 항목들을 '공간구조' '조경요소' '건축 구조요소'로 구분하여 해석의 대상을 추출하였다. 정온 가옥과 최씨 종택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해석한 결과로 생태학적 조영기법들을 제시하고,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에 대한 생태학적 특성을 다음과 같이 종합하였다. 자연조건과 세밀한 관계 설정 방식을 가지는 풍토건축으로서 첫째, 자연의 형상을 따르는 토지이용방식('본성' '상생' '중화'), 둘째, 자연과 일체감을 이루는 물리적 공간요소('중절' '상생' '중화'), 셋째, 한정된 자연에너지와 자원을 재활용하면서 지속적인 순환체계 유지('효율' '자생' '방통'), 넷째,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자연재료 이용('중절' '효율' '자생'), 다섯째, 미기후를 고려한 평면과 구조 결정('효율' '자생' '변통')으로 정리된다. 이에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은 다른 유형의 전통공간보다 자연 안에서 효율적인 자원 소비 공간을 목표하였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n Analysis of Visitor's Satisfaction and Preference Factors in Private Arboretum - The Case of Gyeonggi-do -

  • Chang, Yong-Soon;Lee, Shin-Yeong;Hong, Kwang-Pyo;You, Ju-Han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_2호
    • /
    • pp.144-150
    • /
    • 2010
  • This paper researches, by looking into visitors of the Garden of Morning Calm, Pyunggang Botanical Garden, Jangheung Natural Arboretum and the Garden of Wild Flower, how they use these arboretums and what are the facilities they like most to provide directions in formation and planning of domestic private arboretums. The followings are executive summery of this research. It was researched that most of the them visited arboretums for emotional life (42.93%). They answered that the major reason that they go to arboretums is rest and service functions (42.97%). Such number suggest arboretums that they should provide, along with their original purpose of biological preservation, practical purposes, including rest and service functions. When asked facilities they preferred most, most visitors answered that they are most satisfied with facilities like restaurants and cafeterias. Information desk, management office, forest museum, wild life zoo, green house, exhibition room, rest area, pond and fountains influenced the visitor satisfaction level as well. Regarding to facility references, visitors most preferred information desk, management office, restaurant and cafeteria.

휴가목적지 선택과정에서의 선택기준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choice criteria in vacation destination decisions)

  • 김성진;안건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7-55
    • /
    • 1997
  • A vacation destination was conceptualized to be chosen through a three-stage process consisting of an early consideration set formation, a late consideration set formation, and a final selection stage. Choice criteria were defined as an individual's belief toward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attributes, expected outcomes, and the destination. And these criteria were assumed to be divided into benefit-related dimension and perceived risk-related dimension. Through two pilot surveys, 13 items which have 4 factors were identified. used on 4 factor structures, the benefit-related dimension was identified to be consisted of three sub-dimensions, "historic/cultural", "escaped" and "naturalness". A longitudinal panel survey was used to test the differences of the importance of choice dimensions through the choice process. The importance of benefit-related dimension was decreased through the choice process as hypothesized except "naturalness" factor. And as hypothesized, the importance of perceived risk-related dimension was increased.

  • PDF

옛 시문과 그림으로 살핀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형상화 및 정착시기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and the Settling Period of the Gwandong-Palkyung by the Thematic Exploration of Joseon Landscape Poetry and Paintings)

  • 노재현;손희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24
    • /
    • 2017
  • 관동팔경의 형성과정에 주목하여, 문헌 및 도상자료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관동 명승의 집경에 따른 팔경 형상화 및 정착시기를 탐색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관동팔경(關東八景)'이란 최초 용례(用例)는 이황의 "답홍응길(答洪應吉)"로 볼 때, 관동팔경은 이미 16세기 이전 당시 인들의 인식 속에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론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한 지리지 분석 결과, 관동팔경은 16세기 초 중반에 관동십경으로의 확장 또한 이루어졌다. 최초의 관동팔경에 대한 집경은 신즙의 "영관동팔경(詠關東八景)"으로 확인됨에 따라 관동팔경이라는 용어는 문학 분야에서는 최소한 16세기 이전부터 존재하였으며 현재의 세트화된 관동팔경으로 정착된 시기는 늦어도 17세기 초반이라 추정된다. 관동 명승의 출현빈도 분석 결과, 시문에 등장한 관동 명승은 관동팔경 경물에 대한 집중현상이 뚜렷하였다. 한편 회화 분야에서 오로지 관동팔경만을 모은 그림은 허필의 "관동팔경도병(關東八景圖屛)"에서 최초로 확인되는데 실경산수화에서 표현된 관동팔경은 시문에서의 집경 양상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지만 화제 출현률 순위로 볼 때 시각적 결속력과 응집성이 더욱 강하게 드러났다 이는 일정한 관념체계 상 특정 의의를 지닌 회화의 도상(圖像)을 중요시하는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더불어 조선 후기에서 근대에 들어 제작된 다수의 민화 형식의 팔폭병풍(八幅屛風)은 관동팔경의 문화현상이 보편적 수용기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증좌이다. 또한 조선후기 성행한 남승도놀이 등 명승유람놀이에 등장하는 강원도내 13개의 명승에는 관동팔경이 오롯이 나타나고 있음을 볼 때 조선 말기 관동팔경은 놀이문화 속에서도 확고하게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관동팔경의 인식은 15세기 전반 이전부터 있어 온 것으로 보이고, 16세기 형상화 과정의 지속적 전개를 통해 17세기 정착되었으며 18세기에 들어 관습화 보편화 된 것으로 추정된다. 궁극적으로 관동팔경은 고려시대부터 별개의 경물로 명성을 얻은 지역 명승이 17세기 후반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관동 명승 중에 관동팔경은 오랜 기간 여러 사람의 탐승과 유람문화 향유(享有)를 통해 오직 여덟 개의 최상의 명소만을 추리기 위한 절차탁마(切磋琢磨)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고 배태된 국내 대표적 팔경임을 일깨워준다.

도시경관 중심의 주민참여 마을 만들기 방안에 관한 연구 - 일본, 영국,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Measure of Resident-participation Village Formation the center of urban landscape - On Cases of Japan, England, and USA -)

  • 동재욱;이병대;고인룡;이화룡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45-56
    • /
    • 2009
  • Understand that forming urban images and improving urban identit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mpetitiveness of cities with resident-participating villages, local governments began to focus on selection and management of physical components to form urban identity. Recently, when the quality of urban scenes is posed as a problem, urban beautification projects including urban environment reorganization and scenery management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in many c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ases of Japan, England, and USA in which the local governments conduct resident-participating villages to establish a frame of analysis, to classify the purposes, directions, contents and properties of projects, scenes, and formation of villages based on the established frame of analysis, to deduce suggestions from the view of urban scenes and formation of villages, and to present basic measures for developing projects with which local residents can form villages centered on urban scenes subjectively and autonomously in Korean local communities in the near future.

  • PDF

중국 조선족 촌락의 공간구조 변화 분석 - 용정시 장재촌을 대상으로 - (An Analysis on the Change of Spatial Structures in the Korean Villages of China - The Case of Jang-je Village in Yongjoung City)

  • 김인학;장태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4-65
    • /
    • 2003
  •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entire space of the village was based on natural formation in its initial formation stage. The traditional location conditions and environment were equipped with the possibility and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village. Spatial boundaries were mostly divided by natural topography. The quantify of lots diminished in spatial structural factors, while the division of roads by hierarchy in terms of size became explicit. Alleys, as the minimum hierarchial nit, were degraded. The residence unit was focused on economic efficiency. Communal use facilities showed an external relations trend as central facilities. The land, unit residence and communal facilities approached the high hierarchial roads. The communal facilities showed relatively higher independence compared to the residence units. The spatial structural changes followed traditional life style in the initial stage of village formation; however, social elements mainly impacted on the changes. Since reform opening, economic elements were major causes of changes, while construction conditions, life style, and awareness of structures impacted upon the changes. Thus, the economic element is the major change element in the Korean Villages, even though other elements will also become diverse.

우리나라 산림군집의 경관구조 특성기반 숲정원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Forest Garden Model Based 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Forest Community in Korea)

  • 전승훈;차윤정;박상길;배준규;이경미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4호
    • /
    • pp.237-249
    • /
    • 202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유의 기후와 식생, 그리고 숲의 경관생태적 특성을 기반으로 새로운 식재경관 중심의 정원화 모형을 정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산림군집의 경관 특성을 기존의 정원 식재유형과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보다 혁신적인 숲정원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일차적으로 우리나라 주요 산림 식생군집을 구성하는 핵심 경관요소를 도출하고, 군집구조의 수직적인 층위와 수평적인 분포양상에 대해 우점종과 표징종 및 식별종 등 진단종과 이들의 성상 및 우점도-군집도를 분석·평가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시각적 우세요소에 따라 주 경관, 부 경관, 세부 경관으로 계층화하여 표준화된 식생경관의 구조와 형식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우리나라 온대중북부지역의 대표 식생군락인 낙엽활엽수림을 대상으로 미술사적인 차용의 개념과 범위를 적용하여 숲정원 모델로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숲정원의 개념정의 및 유형화, 그리고 숲 식생의 전략적인 접근을 토대로한 통합적인 숲정원 모델을 제안하였다.

모더니즘 조경에 미친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 (Le Corbusier's Influence on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 김영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12-2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조경의 측면에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르 르코뷔지에의 건축과 조경이 모더니즘 조경에 미친 영향과 유산을 객관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르 코르뷔지에와 모더니즘 조경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시기별로 르 코르뷔지에의 이론과 실천에서 나타나는 건축과 조경의 관계를 살펴보고, 르 코르뷔지에의 조경에 대한 당시의 평가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르 코르뷔지에가 동 시대에 활동했던 주요한 유럽의 조경가에게 미쳤던 영향력을 베라, 뤼르사, 칸네일 클라에스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유럽의 모더니즘 조경과 르 코르뷔지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르 코르뷔지에가 주요한 영미권의 모더니즘 조경가에게 미쳤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르 코르뷔지에가 당시 유럽과 미국의 모더니즘 조경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침으로써 모더니즘 조경의 형성 과정에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르 코르뷔지에의 이론과 실천은 일방적으로 현대 조경의 담론 내로 받아들여졌기보다는 부정적인 평가와 긍정적인 평가가 공존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수용되었다. 칸레일 클라에스, 터너드, 에크보와 같은 조경가들은 자신의 이론과 실천을 확립하면서 르 르코뷔지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지만, 스틸과 로즈의 경우 르 코르뷔지에의 조경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에 있었다. 또한, 처치, 카일리와 같이 르 코르뷔지에에게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모더니즘 조경의 양식을 구축한 조경가들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