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at Images

검색결과 477건 처리시간 0.025초

KOMPSAT-3와 Sentinel-1 SAR 영상을 적용한 토양 수분도와 NDWI 결과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NDWI and Soil Moisture Map Using Sentinel-1 SAR and KOMPSAT-3 Images)

  • 이지현;김광섭;이기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4호
    • /
    • pp.1935-1943
    • /
    • 2022
  • 위성 영상을 활용하여 대규모 또는 정밀 토양 수분도를 제작하는 방법의 개발과 이를 적용한 사례 연구는 원격탐사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이 연구는 제주도 연구 지역을 대상으로 토양 수분도를 제작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형으로 조정된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편광 영상과 입사각 정보를 이용하여 광학 영상과 함께 토양 수분도를 산출하였다. SAR 영상은 Google Earth Engine (GEE)에서 제공하는 후반 산란 계수 Analysis Ready Data (ARD) 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 (ESRI)의 토지 피복도(land cover map)와 KOMPSAT-3 고해상도 위성 영상의 지표 반사도로부터 산출한 식생 지수 정보(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를 토양 수분도 처리 과정에 적용하였다. 이처럼 SAR 영상과 광학영상 정보를 융합하여 처리하는 경우는 토양 수분 산출물의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출물의 과학적 분석을 위하여 KOMPSAT-3 영상으로 제작한 정규 수분 지수(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와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KOMPSAT-3 처리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Landsat-8 위성의 NDWI 처리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산출한 토양 수분도 결과는 KOMPSAT-3 영상과 Landsat-8 위성으로 각각 처리한 NDWI 처리 결과와 높은 상관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 사용한 토양 수분 산출 알고리즘을 우리나라 고해상도 위성인 KOMPSAT-5 영상에 맞게 추가 개발하면 다른 외부 영상 없이 KOMPSAT 광학 위성정보와 KOMPSAT SAR 영상정보를 이용한 정밀 토양 수분도 제작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Landsat-8 OLI 영상정보의 대기 및 지표반사도 산출을 위한 OTB Extension 구현과 RadCalNet RVUS 자료를 이용한 성과검증 (An Implementation of OTB Extension to Produce TOA and TOC Reflectance of LANDSAT-8 OLI Images and Its Product Verification Using RadCalNet RVUS Data)

  • 김광섭;이기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49-461
    • /
    • 2021
  • 광학 위성정보에 대한 분석대기자료(ARD)는 각 센서 별 분광특성과 촬영각 등을 적용하는 전처리 작업에 의한 성과물이다. 대기보정 처리과정은 통하여 얻을 수 있는 대기반사도와 지표반사도는 기본적이면서 복잡한 알고리즘을 요구한다. 대부분 위성 정보처리 소프트웨어에서는 Landsat 위성 대기보정 처리 알고리즘 및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Google Earth Engine(GEE)을 통하여 USGS-ARD와 같은 Landsat 반사도 성과에 직접 접근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정보 처리에 활용되고 있는 Orfeo ToolBox(OTB)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대기보정 기능을 확장 구현하였다. 현재 OTB 도구는 어떠한 Landsat 센서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이 확장 도구는 최초로 개발된 사례이다. 이 도구를 이용하여 RadCalNet 사이트의 Railroad Valley, United States(RVUS) 반사율 자료 값을 이용한 결과 검증을 위하여 같은 지역의 Landsat-8 OLI 영상의 절대 대기보정에 의한 반사도 성과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결과는 RVUS 자료를 기준으로 반사도 값과의 차이가 5% 미만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 반사도 성과는 USGS-ARD 반사도 값뿐만 아니라 QGIS Semi-automatic Classification Plugin과 SAGA GIS와 같은 다른 오픈 소스 도구에서 산출된 성과를 이용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OTB 확장도구로부터 산출한 반사도 성과는 RadCalNet RVUS의 자료와 높은 일치도를 나타내는 USGS-ARD의 값과 가장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OTB 대기보정 처리의 다양한 위성센서 적용 가능성을 입증한 결과로 이 모듈을 다른 센서정보로 확장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도 정확도가 높은 반사도 산출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은 향후 차세대중형위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광학위성에 대한 반사도 성과 산출 도구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다.

Landsat 영상을 이용한 서해안 지형 변화 분석 (Analysis on the Topographic Change in the West Coast Using Landsat Image)

  • 강준묵;강영미;이주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20
    • /
    • 2005
  • 서해안 지역은 1980년대 말부터 국토의 균형개발과 중국대륙을 겨냥한 국가적 요청에서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고 최근에는 수도권 서부를 동북아 중심축으로 성장시킨다는 청사진 아래 대규모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도 계속적인 개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라 서해안 일대에는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영상에 의한 서해안 일대의 지형 및 지물 변화를 분석 한 것으로, 이를 위한 기본도를 구축하기 위해 landsat 영상을 이용하여 모자이크 영상을 제작하였다. 1:25,000의 수치지도를 통해 GCP를 비교함으로써 영상의 정확도를 검증하였으며, 모자이크된 1970년대와 2000년대의 영상 중 서해안 일대의 간척지인 시화지구와 화옹지구 및 안산시를 대상으로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간척지 개발이나 육지의 경우 나지상의 개발로 인해 지형상의 변화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지이용의 면적변화를 산출하여 비교함으로써 수계와 나지가 감소하고 농업지역과 도심지역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INTRODUCTION OF THE SIMC PROJECT

  • Chae, Gee-Ju;Cho, Seong-Ik;Park, Jong-Hyun;Jo, Kwan-Bo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356-359
    • /
    • 2006
  • The high prices and lack of information for satellite images prevent researchers from studying remote sensing and most non-professional people can't have the simple and easy solutions for the manipulation of satellite images. 'Satellite Imagery Information Management Center'(SIMC) project which is promoted by ETRI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rom 2002 to 2005 in Korea have the purpose to provide the satellite images freely to the public domain and the solutions for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Our project have the following five systems; Data Acquisition System, Data Preservation System, Integrated Solution System, Technology Development System, Operation Plan System. Data Acquisition System collects the satellite images such as LANDSAT, IKONOS, etc. Data Preservation System consists of database which registers the diverse satellite images. Integrated Solution System gives the user of public domain for the web service which search, order and transfer the satellite images. Technology Development System has the many processing technologies for the satellite images. Finally, the Operation Plan system has the role to plan the future of our SIMC project. In this paper, we will give the result of SIMC Project for each five systems during the fast four years from 2002 to 2005.

  • PDF

Landsat 8 OLI 영상을 이용한 산불탐지: 2019년 호주 산불을 사례로 (Active Fire Detection Using Landsat 8 OLI Images: A Case of 2019 Australia Fires)

  • 김나리;이양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5_1호
    • /
    • pp.775-784
    • /
    • 2020
  • 최근 지구온난화 및 인간 활동 등에 의해 전지구적으로 산불발생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산불의 규모가 대형화되고 지속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이면서, 산불 피해 또한 급증하고 있다. MODIS는 20년 가까이 전지구 산불탐지 정보를 제공하고 있고, GK2A와 Himawari-8은 1일 144회의 빈도로 동아시아권의 산불감시를 수행하고 있지만, 1~2 km의 공간해상도는 중·소 규모 산불탐지에 있어서는 충분하지 않으므로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불탐지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타고있는 산불탐지(active fire detection)에 대한 고해상도 산출물은 현재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Landsat 8 산불탐지 알고리듬을 구현하여 고해상도 산불탐지를 수행하였으며, 최근의 대표적인 산불사례인 2019년 12월 호주 대형산불에 대하여 Landsat 8 탐지 결과를 Himawari-8, MODIS 산출물과 비교하였다. 강한 산불의 경우에는 세 위성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지만, 타기 시작하거나 진화되고 있는 약한 산불 및 좁은 지역에 발생한 산불은 30m 해상도의 Landsat 8에서만 탐지되었고, 1~2 km 해상도의 Himawari-8나 MODIS에서는 탐지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우리나라와 같이 소규모 산불이 대부분인 경우에는 Landsat 8, Sentinel-2, Kompsat-3A, 그리고 2021년 발사예정인 Kompsat-7과 같은 고해상도 위성을 이용한 산불탐지가 가능할 것이며, GK2A, Himawari-8, Fengyun-3 등 동아시아 정지궤도 위성의 탐지결과와 함께 종합적인 분석을 수행한다면, 시간해상도와 공간해상도를 현재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진보된 산불감시를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복잡지형에 보다 적합한 한국형 고해상도 산불탐지 알고리듬의 개발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충청남도 임상 분석 및 산림 탄소저장량 추정 (Analysis of Forest Types and Estimation of the Forest Carbon Stocks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s in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 김성훈;장동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6-216
    • /
    • 2014
  • 본 연구는 Landsat 위성영상과 수치임상도 등을 이용하여 충청남도의 임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림 탄소저장량을 추정하였다. 임상분석은 NDVI 방법과 Tasseled Cap, ISODATA, 감독분류 등을 사용하였으며, 분류된 결과를 기초로 임상통계를 활용하여 충청남도의 산림 탄소저장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위성영상을 이용한 임상분석에서는 감독분류를 통한 임상분석이 가장 높은 전체정확도를 보였으며, 충청남도 전체 임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침엽수(49.3%), 활엽수(28.0%), 혼효림(22.7%)로 나타났다. 수정된 수치임상도를 통해 추정된 산림 탄소저장량과 다른 추정 방법들을 비교분석한 결과에서는 Tasseled Cap과 무감독분류를 이용한 방법이 가장 유사한 산림 탄소저장량을 추정하였지만, 단순히 수치임상도만을 이용한 경우 가장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향후 위성영상 및 수치임상도를 통합하여 탄소저장량을 추정한다면 국가단위 산림 탄소저장량 추정에 있어서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확장 및 지표온도 변화 탐지 (Detection of Urban Expansion and Surface Temperature Change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ry)

  • 송영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9-65
    • /
    • 2005
  • 효율적인 국토관리를 위해서 과거로부터의 토지피복/토지이용 변화를 탐지하고 미래의 도시계획에 반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Landsat 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토지이용 분류를 수행함으로써 도시변화를 분석하고 도시화에 따른 지표온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해상도 30m의 Landsat 영상에서 도시변화 후보지역을 추출하고 자세한 변화 상황을 고찰하기 위해 고해상도 항공사진을 함께 사용하는 계층적 변화탐지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도시의 발달과 지표온도의 상관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Landsat 영상의 열적외선 파장영역을 이용하여 온도를 계산하여 실제기온과 비교하고 토지피복별 지표온도를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 도심지의 팽창을 수치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고 도시화로 인한 온도 상승을 탐지할 수 있었다.

  • PDF

위성영상의 종류에 따른 분리도 특성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 of Class Separability According to Different Kind of Satellite Images)

  • 홍순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215-224
    • /
    • 2007
  • 위성영상의 분류는 원격탐사의 가장 기본적인 분야이다. 위성영상분리도 위성영상의 분류에 있어 영상 정확도 향상에 매우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영상분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분리도의 특성을 파악하여 분류의 정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영상은 영상마다의 분리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IKONOS 영상, SPOT 5 영상, Landsat IM 영상을 1m의 해상도로 리샘플링하였다. 본 연구에서 위성영상별로 클래스 분리도를 측정한 결과 분리도 값이 대체로 $1,600{\sim}2,000$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중센서와 GIS 자료를 이용한 접근불능지역의 토지피복 분류 (Land cover classification of a non-accessible area using multi-sensor images and GIS data)

  • 김용민;박완용;어양담;김용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93-504
    • /
    • 2010
  • This study proposes a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an automated training extraction procedure that may be used with very high resolution (VHR) images of non-accessible areas. The proposed method overcomes the problem of scale difference between VHR image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data through filtering and use of a Landsat image. In order to automate maximum likelihood classification (MLC), GIS data were used as an input to the MLC of a Landsat image, and a binary edge and a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were used to increase the purity of the training samples. We identified the thresholds of an NDVI and binary edge appropriate to obtain pure samples of each class. The proposed method was then applied to QuickBird and SPOT-5 images. In order to validate the method, visual interpretation and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roducts of a manual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classify VHR images and efficiently update GIS data.

Spectral Reflectance of Mongsanpo Tidal Flat, Korea, by using Spectroradiometer Experiments and Landsat Data

  • Kim, Bum-Jun;Lee, Sungsoon;Lee, Hoonyol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11-422
    • /
    • 2017
  •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spectral reflectance of intertidal zone and its changes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We sampled sand of Mongsanpo tidal flat, Korea, and measured its spectral reflectance by using a spectroradiometer under various water contents, compositions and granularity. We also simulated the reflectance of Landsat 7 ETM+ and compared it with an actual satellite data. Five locations were selected for sampling from the coastline towards the ocean. Grain size diminished stepwise from the coastline to ocean direction, while spectral reflectance differed with wavelength. Water contents lowered the overall reflectance especially at the water absorption bands. Spectral reflectance data were then converted into the simulated one by using Landsat 7 ETM+ spectral reflectance function to be compared with the actual Landsat 7 ETM+ images. It showed the decrease of the spectral reflectance due to the increase of moisture contents from seashore towards the ocean. It is shown that Landsat 7 ETM+ imagery can be efficient to extract moisture contents in the tidal flat while compositional analysis needs satellite sensors with much higher spectral re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