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fill gases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5초

쓰레기 매립지 최종 복토층에서 가스 측정방법과 유출특성 해석 (Analysis of Flow Character and Gas Measurement from Final Cover Soil of sanitary Landfill)

  • 이해승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75-86
    • /
    • 1998
  • 쓰레기매립장에서 복토층을 통하여 대기중에 유출하는 가스를 현장에서 단시간내에 측정이 가능한 밀폐형 chamber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최종복토층에서의 유출가스 실측치를 모델해석으로 모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시간변화에 따른 chamber내(H=10-30 cm)의 농도 변화는 30분이내로, G.C의 분석시간을 고려하여 5분단위로 분석한다. 2)메탄산화 반응의 영향으로 $CH_4$/$CO_2$비가 복토층 표면근처에서 급격히 변화한다. 3)매립지 표면의 flux가 F =$10^{-5}$mol/($m^2$.s)일 경우에는 메탄산화반응에 의해 가스조성에의 영향이 있으나, F =$10^{-6}$moll($\textrm{m}^2$.s)의 경우에는 복토층내의 메탄가스 농도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메탄산화반응에의 영향이 적다.

  • PDF

메탄가스 분리용 탄소분자체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Carbon Molecular Sieve for Separating CH4 Gas)

  • 이범석;김택남;김윤종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7-162
    • /
    • 2004
  •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arbon molecular sieve(below CMS) which can separate selectively to convert mixture gases spout at waste landfill into fuel. An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from the viewpoint of a quality improvement of CH$_4$ gas and an utilization of by-product. CMS was prepared using coconut shell powder as starting material and the effects of activators, temperature and modifier on the reaction were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Also, pore diameter, surface area of CMS and adsorption rate were measured and studied by cahn balance and ASAP2010. Its specific surface area and pore distribution were controlled easily at 800^{\circ}C and adsorption rate was very good. The CMS prepared in this research is shown to be able to separate landfill gases very effectively.

환원황 화합물을 중심으로 한 매립가스의 조성에 대한 연구 (The Analysis of LFG Composition with Respect to Malodorous Sulfur Compounds)

  • 김기현;오상인;최여진;전의찬;사재환;선우영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7-85
    • /
    • 2004
  •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of reduced S compounds (including hydrogen sulfide (H$_2$S); methyl mercaptan ($CH_3$SH); dimethyl sulfide (($CH_3$)$_2$S); carbon disulfide (CS$_2$); and dimethyl disulfide (($CH_3$)$_2$S$_2$) were determined from landfill gas (LFG) in three municipal landfill sites in the two cities of Gwang Ju (GJ) and Jeju (JJ), Korea. The S gas concentrations measured in these landfill sites were found to be dominated by H$_2$S with its mean concentration of 850 ppm from 10 LFG samples. Both absolute and relative dominance of H$_2$S was seen to be significant in most LFG samples, except those collected from very old and inactive landfills. Unlike the pattern of H$_2$S, other S gases were typically observed at much reduced concentration levels (a few ppm or less) as follows: DMS (3.5); $CH_3$SH (1.3); CS$_2$(1.2); and DMDS (0.02 ppm). If compared equally in mass concentration unit (mg m$^{-3}$ ), H$_2$S generally explained far above 90% of all S gas masses determined concurrently. Moreover, as its mass concentration commonly exceeds those of the major aromatic VOC components in LFG (like benzene and toluene), it appeared to be one of the most dominant gaseous components emitted as LFG in a quantitative sense.

부산 석대 폐기물 매립장 일대의 지하수 오염 (Groundwater Contamination at the Seokdae Waste Landfill Area of Pusan City)

  • 정상용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
    • /
    • 1995
  • 매립장에서의 쓰레기는 주변 지역에 지하수오염, 악취, 유독가스 발생 등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부산시에서 만 6년 동안 사용해 왔었던 석대 폐기물 매립장 주변의 지하수 오염실태를 파악하고, 그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연구를 목표로 매립장 주변의 우물과 시추공 내의 지하수위, 수질, 대수층 특성 등을 조사하고, 또 주변 하천의 수질, 매립장 일대의 지하수 분포 및 유동 상태 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지하로 침투하는 순수 침출수량은 일 평균 약 520 m$^3$로 추정되며, 침출수에 의한 지하수 오염범위가 매립장 중심에서 약 1-1.5 km 정도 까지에 이른다. 오염물질도 중금속류를 비롯한 기타 유해 성분들이 다량 존재한다. 앞으로 이 일대의 지하수를 보전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매립장과 지하수오염물질이 확산되고 있는 곳에 감시정을 여러개 설치하여 지하수위와 수질을 주기적으로 조사하고, 채수정을 설치하여 오염된 지하수를 뽑아내어 침출수 처리장에서 처리한 후 하천에 방류하여야 한다. 아울러 지하수 오염물질이 확산되고 있는 매립장 주변 지역에 차수벽 설치가 요구된다.

  • PDF

난지도매립장 배출공으로부터 관측한 메탄 및 이산화반소의 농도분포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H4 and CO2 from the Infiltrated Ventpipes of the Nan-Ji-Do Landfill Site)

  • 김민영;조석주;이민환;김기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0-279
    • /
    • 2002
  • 주요 온실기체인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농도를 난지도 매립장에 위치한 42개의 배출공으로부터 측정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배출공의 출구에서 관측된 메탄은 부피기준으로 절반 그리고 이산화탄소는 28%에 가까운 수준으로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환경거동은 배출공의 위치 등과 같은 차이 외에도 가스성분에 따라 여러 가지차이를 보여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들 성분의 분포가 수은과 같은 미량성분의 분포특성과는 달리 대체로 균질한편이라는 것을 확인해 주었다.

Predi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municipal solid waste for South Korea

  • Popli, Kanchan;Lim, Jeejae;Kim, Hyeon Kyeong;Kim, Young Min;Tuu, Nguyen Thanh;Kim, Seungdo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462-469
    • /
    • 2020
  • This study is proposing a System Dynamics Model for estimating Greenhouse Gas (GHG) emission from treating Municipal Solid Waste (MSW) in South Korea for years 2000 to 2030. The government of country decided to decrease the total GHG emission from waste sector in 2030 as per Business-as-usual level. In context, four scenarios are generated to predict GHG emission from treating the MSW with three processes i.e., landfill, incineration and recycling. For prior step, MSW generation rate is projected for present and future case using population and waste generation per capita data. It is found that population and total MSW are directly correlated. The total population will increase to 56.27 million and total MSW will be 21.59 million tons in 2030. The methods for estimating GHG emission from landfill, incineration and recycling are adopted from IPCC, 2006 guidelines. The study indicates that Scenario 2 is best to adopt for decreasing the total GHG emission in future where recycling waste is increased to 75% and landfill waste is decreased to 7.6%. Lastly, it is concluded that choosing proper method for treating the MSW in country can result into savings of GHG emission.

폐기물 매립부문 배출계수 평가항목의 가중치 결정 (Determination of Weighted Value to Estimate Each Emission Factor of Landfill)

  • 이승훈;김재영;이승묵;최은화;김영수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99-208
    • /
    • 2014
  • According to "IPCC guide line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each country should develop the 'Country-specific emission factor' and apply it to estimate greenhouse gases emissions from landfill. It could reflect properties of country and make estimation more accurate. For that accuracy, developed country-specific emission factor should be assessed and be verified consistently. Developed emission factors should be assessed in terms of Representative, Emission Property, Accuracy and Uncertainty, but there is no study about weighted assessment factors under each emission variable. This study do survey targeting public officials, professors and other experts for Analytical Hierarchy Process(AHP), mostly use to make decisions, to weight assessment factors. We investigated the weighted values per Emission factor for Representative, Emission property, Accuracy and Uncertainty on AHP survey, and Representative factor was the highest, and then in the order of Emission property (0.26), Accuracy(0.22), Uncertainty (0.15).

하이드로퀴논을 이용한 매립가스 내 황화수소 제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moval of Hydrogen Sulfide in Landfill Gases using Hydroquinone Clathrate)

  • 한규원;문동현;신형준;이재정;이강우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89.2-189.2
    • /
    • 2011
  • 매립가스(LFG)는 약 50v/v% 이상의 메탄가스로 이루어져 있어 LFG의 자원화 사업은 국내 신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사업 중 태양광사업 다음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LFG의 대표적인 활용기술로는 가스엔진, 가스터빈 및 증기터빈을 이용한 발전과 중질가스 및 고질가스 형태의 연료로 생산하는 방식 등이 있으며 이러한 분야에 매립지가스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장치 부식의 주 원인이 되는 황화수소 가스의 제거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황화수소 제거를 위해 하이드레이트와 마찬가지로 동공을 형성하여 가스의 포집과 저장이 가능한 하이드로퀴논(HQ)을 이용하고자 한다. HQ은 $0^{\circ}C$ 부근에서 해리되는 하이드레이트와 달리 상온에서 고체 형태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 가스의 포집 및 저장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메탄,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혼합가스에서 황화수소 90% 이상 제거를 목적으로 HQ와 반응시켜 동공 내에 이들 가스의 포집여부를 확인하였다.

  • PDF

Modeling of coupled THMC processes in porous media

  • Kowalsky, Ursula;Bente, Sonja;Dinkler, Dieter
    • Coupled systems mechanics
    • /
    • 제3권1호
    • /
    • pp.27-52
    • /
    • 2014
  • For landfill monitoring and aftercare, long-term prognoses of emission and deformation behaviour are required. Landfills may be considered as heterogeneous porous soil-like structures, in which flow and transport processes of gases and liquids interact with local material degradation and mechanical deformation of the solid skeleton. Therefore, in the framework of continuous porous media mechanics a model is developed that permits the investigation of coupled mechanical, hydraulical and biochemical processes in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