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 Use Planning

검색결과 853건 처리시간 0.024초

교통부문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기법 개발 및 탄소저감 효과검증 : 아산탕정지구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Land Use Planning Methods for Carbon Reduction of Transportation : A Case Study of Asan-Tangjeong District)

  • 이우민;박효숙;천춘근;이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38-645
    • /
    • 2016
  • 본 연구는 교통부문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기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토지이용계획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탄소저감 설계요소로 외곽고밀개발, 용도복합을 통한 차량 이동거리 최소화, 보행네트워크 구축, 커뮤니티 회랑을 도출하고 아산 탕정지구에 적용하여 탄소저감 측면에서 개선된 토지이용계획안을 제시하였다. 교통부문 탄소저감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VISUM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교통부문 탄소배출량은 약 17.7%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탄소저감량은 약 450.7tCO2/yr로 나타났다.

공간계획의 개념에 관한 검토 - 유럽의 ESDP와 영국의 PCPA 2004를 중심으로 - (Critical Reviews on Concept of Spatial Planning - From the Perspective of ESDP and PCPA in 2004 in the UK -)

  • 김태훈;권혁진;이천재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1호
    • /
    • pp.99-122
    • /
    • 2015
  • 공간계획은 논리적 체계적 접근을 통하여 계획의 패러다임 변화에 상응하는 개념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공간계획의 개념은 계획 이론과 실제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계획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 통합적 접근방법을 통하여 및 그 개념을 파악하고, 전통적인 개념인 토지이용계획과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공간계획의 의의를 재조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범위는 공간계획의 개념으로 한정하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2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접근방법은 서술적 접근방법과 비교론적 접근방법을 병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공간계획에 대한 접근은 계획이론의 이론적 실제적 통합적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둘째, 공간계획의 개념은 공간계획의 정의, 차원, 그리고 평가의 측면에서 검토하고, 토지이용계획과의 개념적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간계획의 의의는 미래상, 정책도구, 지속가능한 발전 그리고 개방성 차원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생태발자국 지수를 통한 제주도 토지자원 활용의 지속가능성 평가 (Evaluation for Sustainability of Land Use in Jeju Island using Ecological Footprint (EF))

  • 김찬우;정찬훈;김유안;김솔희;서교
    • 농촌계획
    • /
    • 제24권3호
    • /
    • pp.43-54
    • /
    • 2018
  • The residential population of Jeju Island has increased more than 10% for last 10 years. Especially, the tourist population is more than twice comparing to 2005. The population growth of Jeju has brought about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and increased land demands for tourism servic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uman, social, and environmental status of Jeju Island and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capacity of land use using ecological footprint (EF) model. This study shows the changes in ecological deficits of Jeju Island through estimating ecological productive land (EPL) considering EF from 2005 to 2015. The categories of total EF consists of food land, built-up land, forestry, and energy consumption. In order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resort island, we consider not only residential population but also tourist population who can increase land demands. The outputs of this study also provide the potential excess demands of EPL and suggest needs of sustainable management plans for the limited land of Jeju Island.

What Kinds of Lands Have Been Converted into the Urban Use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Land Development in the Case of Daegu Region

  • Kim, Jae-Ik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2호
    • /
    • pp.111-116
    • /
    • 2012
  • The primary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land development in urban area through GIS and remote sensing techniques and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urban spatial policy. To perform these tasks, Daegu metropolitan city and its vicinities were selected as a study area, and remote sensing data and attributed data were collected, organized and analyzed.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three steps. First, it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land development in urban areas by utilizing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 data (Landsat TM, 1980, 1985, 1990, 1995, 2000 and 2005). Second, it tries to find an answer on a critical question concerning land use conversion, i.e., which land use leads expansion of urban area? Third, it derives implications for urban spatial polic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extents tell us that the main land use converted into urban use from non-urban uses is green areas. The public sector,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leads the land use conversions of suburban lands as exclusive legal body to issue permission of land use chang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more systematic and technically advanced management tools should be utilized for more effective spatial management for urban growth.

도시확장 분석을 위한 위성영상 토지이용 분류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Landuse Classification Nomenclature for Urban Growth Analysis using Satellite Imagery)

  • 김윤수;이광재;류지원;김정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83-94
    • /
    • 2003
  • 위성영상 자료는 도시의 물리적 확장을 분석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된다. 도시의 물리적 확장은 도시의 토지이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지속가능한 도시성장을 위해서는 토지이용을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성장관리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 토지이용의 분류는 우선 그 기준이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고 영상 해상도 등에 따라서도 그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도시 확장 분석을 위해서는 다중시기의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토지이용의 분류를 시행하고, 시기별 토지이용의 변화와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확장의 형태와 패턴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향후의 도시 확장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 개발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도시 확장 예측모델 개발의 전 단계로써 다양한 공간 해상도를 지닌 원격탐사 자료의 국내외 분류기준의 검토를 통해,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토지이용 분류기준을 도시확장 분석의 측면에서 설정하고자 한다.

  • PDF

중소도시 택지개발지구내 복합건축물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천시 신음택지지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ixed-use Buildings in the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District in country-side cities - Focused on Shin-Eum Housing district in Gimcheon -)

  • 이근택;박경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127-136
    • /
    • 2006
  • The intent of this study is to propose future planning guidelines and directions of the mixed-use buildings in the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district in country-side cities, based on the concept that the neighborhood facilities are to be strategically laid out in a convenient location and planned in a proper manner for a healthy, safe, friendly and new neighborhood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seventeen mixed-use buildings which had been built in Shin-Eum housing development district in Gimcheon from 1995 until 2004 were chosen and investigated in terms of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in that process with surveying and analyzing those. The scope of investigation on case studies was that site size would be below 400 square meters, total area below 1500 square meters, and the number of stories below five stories high on the ground. Method of investigation on those was through field investigation, field photographs, recordings and drawings on those. Investigative contents have been divided and analyzed into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actors in urban and architectural dimension. From results of quantitative investigations, five planning guidelines or directions could be obtained. From results of qualitative investigations, five planning guidelines or directions could be obtained. The criteria will be applied to new architectural developments of the neighborhood facilities linked with the small shops.

자연공원의 보호계획을 위한 광역적토지자연의 분석에 관한 연구 (I) -잠재자연의 분석에 관한 고찰- (Fundamental Studies on Regional Analysis of Land Potentiality for Conservation of Natural Park(I))

  • 배병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7-51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basic natural park planning guidelines which have to be considered before conservation plan. For this purpose, land potentiality was analyzed in the regional context. Natural parks in Tokyo Province were chosen as study areas because park systems in Japan and Korea are similar and lots of information are available in Japan. Land capabilities of study areas were analyzed, then the results were utilized to discuss how the natural parks. Land potentiality was analyzed by the degree of location quotient of land use allowance in homogeneous bio-physical land units, then comprehensive potentiality of bio-physical land units was revealed from existing and historical land use allowance. These 2 allowances, also, were utilized to find the limit of land use intensity, and the results were used for qualitative identification of the land potentiality and the land capability. As a results, the land use allowance and characteristics of 6 groups were identified as shown in Table 3 and Figure 6. Qualitative analysis of land potentiality in this study enabled to disscus the conservation and/or preservation of natural parks, based upon elements of land, and the guidelines of natural park conservation policy were sugges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land potentiality and regional relationship. This discussed land potentiality, and existing natural resources which were stressed from conservational view point need to be combined for comprhensive understanding of land resources.

  • PDF

공사지역(댐)의 지형정보구축을 위한 정사영상의 활용 (Orthophoto Application for Geo-spatial Information Acquisiton of Construction Area(DAM))

  • 한승희;이형석;이성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95-403
    • /
    • 2000
  • 공공건설 공사 계획단계에서 편입되는 개인 사유 재산에 대한 보상문제는 민감한 사항으로 매우 중요하다 특히, 댐건설공사는 계획면이 저수면이므로 타 공사시의 토지보상과는 달리 저수고의 변화에 따라 수몰면적이 달라지고 사업계획이 공식 발표되게 되면 보상가의 상승을 목적으로 공사지역내의 토지이용에 인위적인 변화와 민원이 발생하기 때문에 더욱 합리적인 계획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신속한 보상업무를 위해 항공사진에 기반을 둔 정사영상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항공사진은 토지이용 변화를 위한 판독자료로써 사용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정사영상을 제작하였다 또한 정사영상을 수치지적도 및 수치지형도와 중첩하여 기간 별 지번에 대한 토지이용의 변화여부 파악과 계획 저수고에 따른 편입용지를 분석하였으며 경관분석을 위해 계획수면에 해당하는 유역 모델링 및 3차원 시뮬레이션도 실시하였다.

  • PDF

환경생태계획 측면에서 농업용저수지 활용성 제고를 위한 기능저하 잠재지역 맵핑 연구 (Mapping of Functionally Reduced Potential Area for Improving Utiliz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 in Terms of Environmental Planning)

  • 염정헌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027-1032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ioritized area for the functional change of agricultural reservoir according to the rapid urbanization and social changes through the mapping method. Changwon-si, Gimhae-si, and Jinju-si in Gyeongnam province were selected as the study area, considering the results of land-use and cluster analysis. As the planning unit of management area, watershed was used and land coverage map from 1975 to 2015 were analyzed for changes of land use. The reduction ratio (%) of farmland was calculated for identifying the changes in 2013 compared to 1975. As a result, the reduction ratio was 11.9% for Changwon-si, 12.2% for Gimhae-si and 9.3% for Jinju-si, and the number of watershed having functionally reduced potential-area was relatively high in the proportion to the city size.

저탄소도시계획지원을 위한 포털서비스의 구축방향 (A Study on Building up the Portal Service to Support Low-Carbon City Planning in Korea)

  • 김한준;최홍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465-2473
    • /
    • 2013
  • 본 논문은 도시.지역계획 등 공간계획 분야의 계획지원시스템(PSS)을 핵심구성요소인 도시모형(특히, 토지이용-교통 모형 LUTM)과 지리정보시스템(GIS) 기술의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지구온난화 등 환경문제를 중심으로 한 계획과정에 대한 시민참여 요구 확대, 인터넷과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IT 기술심화를 주요 특징으로 하는 변화된 계획환경에 대응하여 PSS의 보완 또는 확장 개념으로서 저탄소도시계획지원에 초점을 둔 포털서비스의 구축방향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