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ke Saemangeum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1초

새만금 수역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경년(2001-2010) 변화 (Annual Variations(2001-2010) of Phytoplankton Standing Stocks in Saemangeum Water Region)

  • 여환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326-4333
    • /
    • 2012
  • 새만금 방조제 건설기간에 해당하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새만금 수역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조사 시기 및 조사 정점에 따라 57 - 85,219 cells/ml의 큰 변화를 보였다. 새만금호 내부 수역은 담수 및 해수의 유입량 변화와 계절변화에 기인하여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시공간적으로 변화하였다. 한편, 담수 정점들은 상시적으로 높은 현존량이 기록되어 녹조발생이 잦았으나 방조제 밖 해수역의 현존량은 보편적 범위에 있어왔다. 장기적 관점에서 방조제 물막이 공사 완공(2006년 4월)을 전후하여 비교할 때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논문 - HSPF를 이용한 새만금 유역의 오염부하 특성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Loads in Saemangeum Watershed Using HSPF)

  • 정지연;신유리;최정훈;최인규;윤춘경;손영권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54-65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ollutant loads characteristics on the point and non-point sources in Saemangeum watershed area using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Fortran (HSPF). The simulation items were flow, BOD, T-N, and T-P(2007~2010). The pollutant loads trend reflects the precipitation. Specifically, the point source loads were almost constant, but the non-point source loads were influenced in the precipitation.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non-point source is larger than point source. The water quality had a clear trend by the season. However, pollutant loads did not show distinct seasonal changes. The reason is that the pollutant concentration is diluted by the increased flow at summer seas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non-point source in order to manage water quality in the region. For the management of Saemangeum lake, it is need to control of supplied pollutant loads from Saemangeum watershed.

  • PDF

새만금 종합개발계획에 따른 새만금 유역 치수 안전성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for River Safety of Saemangeum Basin according to Master Plan)

  • 정석일;유형주;류광현;이승오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127-133
    • /
    • 2018
  • The Saemangeum master plan includes dredging and waterproofing materials, construction projects that can change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Saemangeum and Mangyeong and Dongjin River basins. In this study, the river safety of 2030 when the Saemangeum master plan was completed for 100 year frequency, 500 year frequency and 100 year frequency applied RCP 8.5 scenario was examined using Delft3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overflowing point at the 100 year frequency,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lood level and the river bank elevation was relatively small at the curved and river joint part. At the 100-year frequency with the 500-year frequency and the RCP 8.5 scenario, the possibility of overflowing at several locations wa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river bed loss due to fast velocity appears in the upstream part of Mankyung River and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safety of hydraulic structures continuousl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expansion of the area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ke due to dredging will affect the sediment mechanism and water quality, so detailed and diverse studies will be needed.

담수호 저층배수시설 방류구 위치선정을 위한 저층방류수 해양수중 혼합특성해석

  • 박영욱;구본충;권순국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272-277
    • /
    • 2005
  • Initial mixing characteristics in near field regions were analyzed by FLOW-3D, for analyzing mixing behavior of submerged discharge from freshwater lake in sea water. FLOW-3D model was applied to the region near Geum-ho dike for its verification. Simulation results from FLOW-3D were compared to the observed data for the verification periods. FLOW-3D showed resonable prediction results compared to the observed data, except underestimation in area near outfall. Particularly, FLOW-3D showed a good prediction for movement of buoyancy jets. In addition, FLOW-3D model was applied to the region near Saemangeum dike, which is to be constructed in near future. It wa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model application to Saemangeum area could provide substantial information in planning submerged discharge facilities. Based on the model applications to Saemangeum area, it was recommended that outfall should be located to the distance which gave an enough depth of outfall from water surface.

  • PDF

새만금호 일대 수달의 서식적합성 평가 및 공간변수와의 상관성 분석 (Habitat Suitability Assessment of the Saemangeum Lake Area for Eurasian Otter(Lutra lutra)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Spatial Variables)

  • 신화용;신지훈;한성용;노백호;이준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4호
    • /
    • pp.298-306
    • /
    • 2020
  • 본 연구는 새만금호 일대 수달의 서식지적합도 분석과 공간변수(수역, 습지, 농경지, 시가지, 도로 등)와의 상관성이 수달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서식지적합성 분석결과, 전체 1097개 격자 중 1등급과 2등급이 380개 격자로 전체 34.6%로 확인되었고 4등급과 5등급이 413개 격자로 전체 37.7%로 비교적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새만금 일대의 공간변수 별 수달 서식흔적과의 거리를 비교분석한 결과, 도로와 시가지는 거리가 멀수록 수달의 흔적이 확인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수역과의 거리는 가까울수록 흔적이 확인되었다. 새만금호 내부 공사로 인한 영향은 있으나 수역과 도로의 이격거리를 보면 시가지와 도로에서 이격거리가 근접한 지역과 가장 먼 지역과의 흔적차이가 2배에서 6배 이상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수달의 서식지 복원시 위협요인으로 작용하는 도로와 시가지는 최소한 500(m) 이상 이격거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새만금 유역 농업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우선지구 선정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Target Region for the Agricultural Non-point Sources Management)

  • 장남정;김보국;임승현;김태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3-31
    • /
    • 2012
  • 새만금 유역은 BOD와 TP의 비점오염배출 비중이 각각 68.4와 61.4% (2009년 기준)로 점오염원에 비해 높게 나타나므로 새만금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비점오염원에 대한 대책수립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유역 최적관리기법 대상지 선정을 위해 비점오염원의 영향이 큰 농업지역을 중심으로, 그리고 부영양화에 주요인자인 총인(TP)을 기준으로 농업비점오염대책 우선지구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우선지구 선정방안은 의사결정에 의한 오염영향 지수를 이용한 정성분석 방법으로 수계에 비점오염원(TP기준)이 작용하는 단계를 크게 발생, 배출, 유출 관련지표로 구분하여 비점오염원 영향지수(NPSI; Non-point Source Index)를 산정하였으며, 전문가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분석을 통해 지표의 가중치를 결정하였다. NPSI 산정에는 행정구역 745개의 동리단위 기준으로 비점발생특성(해당 지역의 액비살포 면적, 축사 면적, 논면적, 밭면적, 인산질 비료사용량), 비점배출특성(수질오염 총량관리제의 축산계 비점오염원 배출부하량, 토지계 배출부하량), 비점유출특성(토양유실량, 불투수율, 유출곡선지수, 유달거리, 유효강우비)의 총 12개의 지표가 적용되었다. 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분석을 이용한 NPSI 산정결과 새만금 유역 농업비점관리지역 우선지구 후보지로 만경강 5지점과 동진강 5지점을 선정하였다. 우선지구 후보지의 선정원인은 주로 축산에서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AHP 분석결과 축산관련 지표의 가중치가 높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신경망모형을 이용한 새만금호 수온 예측 (The Prediction of Water Temperature at Saemangeum Lake by Neural Network)

  • 오남선;정신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56-62
    • /
    • 2015
  •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해수면과 기온이 상승하고, 이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수온이 증가하고 있다. 지구 온난화가 하천의 수질과 생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수온에 대해 이해하고 수온의 변화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수온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기온과 수온자료를 입력자료로 하여 수온의 예측을 실시하였다. 2012년에서 2014년까지 환경부의 수질환경관측소에서 관측한 새만금호내의 신시, 가력, 만경, 동진 4개 지점의 수온자료와 기상청에서 같은 기간에 관측한 부안의 자동관측 기온 자료를 활용하였다. 신경망이론을 이용하여 최고 및 최저 수온을 예측한 결과 4개 지점의 모든 결과에서 아주 높은 상관계수를 가지고 있다.

객체-지향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새만금 수자원 관리 시스템의 홍수방어 시뮬레이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Flood Simulation in the Saemangeum Water Resources Management System using an Object-orien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이홍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3-45
    • /
    • 2003
  • 이 연구는 객체지향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지리-객체와 지리-필드를 연결하는 지리-객체필드 방법을 규정하고, 수계-객체필드를 이용하여 새만금호 수량과 배수갑문수위를 조작하는 새만금수자원관리시스템의 홍수 시뮬레이션을 구현하고자 한다. 그리고 새만금 수계 수자원에 발생하는 자연현상과 인공현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전체 수계-객체필드로 구성되는 객체지향 클래스 계층구조를 설계함으로써 홍수통제 알고리즘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동시에 UML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지리-객체필드와 단계적인 부분 지리-객체필드의 클래스계층구조를 가시화하고자 하며, 각 클래스의 속성과 메소드는 ZEUS/COM과 Win32 API을 이용한 Visual Basic 6.0을 사용함으로써 각각 호환성과 재사용성 기능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새만금수자원관리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효율적인 물관리를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새만금 담수 활용을 위한 요구수질별 최적의 수처리 방안 연구 (Design of Optimal Water Treatment Processes based on Required Water Quality for Utilization of the Saemanguem Lake Water)

  • 최경숙;이광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169-178
    • /
    • 2012
  • 새만금 지역의 담수수자원의 활용과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새만금 담수호를 활용한 요구수질별 용수공급을 위한 최적의 수처리 시스템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비용분석을 통해 요구수질별 담수수자원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수처리 기법들의 종류, 주요 특성 및 오염인자 제거효율, 공법의 장단점 등의 비교분석을 통해 수질오염인자별 유리한 처리공법을 제시하였으며, 최적의 수처리시스템을 도출하여 새만금 지역 내 요구수질별 수처리 비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SS(Suspended Solid),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탁도 제거를 위해 FDA(Filter Disinfection Adsorption)여과기, 대장균 제거를 위한 UV(Ultra-Violet)처리공정, T-P(Total Phosphorus), T-N(Total Nitrogen) 제거를 위한 FNR(Ferrous Nutrient Removal)공법, 그리고 저농도 염처리 공정을 위해 전기투석법이 유리한 공법으로 조사되어 최적의 수처리시스템의 요소기술로 각각 선정되었다. 각 요구수질별 선정된 수처리공정에 따른 비용분석과 적용사례를 제시하여 새만금지역 담수 활용도를 높이고 부족한 상수원 해결의 대안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논문 - 새만금호 농업용지 방수제 주요지점의 수위 및 유속 분포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the Water Level and Velocity Distribution of Main Point Agricultural Land Water Proof in Saemangeum Watershed)

  • 김동주;김지성;박영진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43-53
    • /
    • 2011
  • In this study, the internal development of the Saemangeum basic concept of the changes being promoted as a lead construction and agricultural land works(54.2 km) has established a numerical model for the scenario. Inner dike to the construction site to reflect the following conditions to reproduce the numerical model by each areas during construction inner dike where scour expected to perform a numerical analysis for the hydraulic review by areas with possible future changes were to predict.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for scour expected frequency of 100 years in flood conditions is simulated with 0.02 m/s~l.27 m/s scour velocity for high-impact factor is considered to be stable. Each start point and end point work area of inner dike reviewed and flow rate of 100 years flood, the velocity distribution in the influx of a large flow rate of 0.02 m/s~1.68 m/s occur during construction inner dike are not being evaluated as a special issue does not occur will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method and order of construction inner dike stability review suggests that the future need to be ma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