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grangian nearshore currents model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오일러형 해빈류 모형의 파랑응력 비교 (Comparison of Wave Stresses in the Eulerian Nearshore Current Models)

  • 안경모;서경덕;천후섭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6호
    • /
    • pp.350-362
    • /
    • 2017
  • 오일러형 해빈류 모형은 계산된 질량흐름에 파랑질량흐름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치모의된 계산결과를 정점 관측결과와 직접 비교할 수 있다. 또한 포물선형 연직분포를 가진 연안류를 재현할 수 있음으로 인해 라그랑지형 해빈류 모형보다 장점이 있다. 그러나 오일러형 해빈류 모형에서 파랑에 의한 응력인 파랑응력이 해빈류 모형에 따라 형태가 달라, 서로 다른 계산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 Newberger and Allen(2007)의 파랑응력은 연직방향으로 수심의 함수가 아닌 상수인 반면에 Chun(2012)의 파랑응력은 수심의 함수로 표현된다. 이러한 차이는 해빈류 계산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본 논문에서는 이들 파랑응력의 차이를 해석적으로 비교하였다. 각 파랑응력에 대한 해빈류 모형을 Hamilton et al.(2001)의 LSTF(Large-scale Sediment Transport Facility) 수리모형 실험에 적용하여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파랑응력항의 차이에 따른 해빈류 계산 결과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소형 표류부이를 이용한 안목해안 표층 연안류 관측 (Surface current measurements using lagrangian Drifters in Anmok)

  • 임학수;김무종;심재설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 /
    • 제4권spc호
    • /
    • pp.245-253
    • /
    • 2017
  • In this study, surface currents measured by small lagrangian GPS drifters (Aquadrifter) in Anmok coastal waters were analysed to account for the variability of nearshore surface current and wave-induced current to understand sediment transport mechanism near the crescentic bars in the surf-zone and near Kangneung breakwater and submerged breakwater in Anmok. The 8 times lagrangian drifter experiments were conducted mostly during in 2nd, 3rd, 4th intensive measurements in winter, summer, and spring seasons with long-term wave observation at the station W1. The analysed surface currents near the breakwaters in Anmok show that wave-induced currents at the middle of the submerged breakwater were separated and flowed toward the shoreline but offshore currents were dominant through the channels between the breakwaters. The longshore currents near the shoreline were flowed to the northwest (southeast) depending on the incoming waves from ENE (NNE). The surface nearshore offshore currents were generated mostly by waves and winds in case of high and low wave energy environments. Using the small-size lagrangian surface drifter experiments, we successfully measured longshore and offshore wave-induced currents in the surf-zone and near submerged breakwater close to Kangneung breakwater. The drifter experiment results show the availability of direct observation of nearshore surface current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sediment transport analysing observed wave-induced current and ebb-current in the surf-zone generated by incoming waves and local winds.

쇄파후(碎波後) 발생(發生)하는 연안류(沿岸流)의 유속분포(流速分布)에 관한 연구(研究) (On-offshore Distribution of Longshore Current in the Surf Zone)

  • 김경호;구봉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11-19
    • /
    • 1986
  • 연안류(沿岸流)는 연안표사(沿岸漂砂) 해안침식(海岸侵食) 또는 항만매몰(港灣埋沒)외 원인(原因)이 되기도 하며, 연안역(沿岸域)의 물질확산(物質擴散)의 외력(外力)으로 작용(作用)하기 때문에, 그 현상(現象)의 이해(理解) 및 구명(究明)은 공학적(工學的)으로 갖는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실험(實驗)을 통해서 연안류(沿岸流)의 분포특성(分布特性)을 고찰(考察)하고, 실험결과(實驗結果)를 Longuet-Higgins model에 의한 계산치(計算値)와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연안류(沿岸流)는 쇄파대내(碎波帶內)에 국한(局限)되어 분포(分布)하며, 쇄파대외(碎波帶外)에서는 매우 미약(微弱)함을 보였다. 연안류(沿岸流) 수심방향(水深方向)으로의 분포(分布)는 거의 일정(一定)하였으며, 실험치(實驗値)와 계산치(計算値)는 최대치(最大値) 부근(附近)을 제외하고, N=0.05 일 경우 좋은 일치(一致)를 보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