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offshore Distribution of Longshore Current in the Surf Zone

쇄파후(碎波後) 발생(發生)하는 연안류(沿岸流)의 유속분포(流速分布)에 관한 연구(研究)

  • 김경호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구봉근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Received : 1986.08.01
  • Published : 1986.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at the elucidation of the distribution of longshore currents after wave breaking. Longshore currents have relations to the beach process and dispersion of contaminants in the nearshore region, thus the understanding of its. mechanism is very important. In the present study, using the electromagnetic current meter, the water particle velocity is measured in the 3-dimensional wave field and Eulerian mean velocity is obtained. At the same time, from the dispersion of tracer, the Lagrangian mean velocity is also obtained. It is observed that the longshore currents were confined within the surf zone and the maximum value of them exists in the surf zone. The longshore currents were considered to be constant toward the depth and we obtained the similar distribution of longshore currents between the measured value and the theoretical ones by Longuet-Higgins model.

연안류(沿岸流)는 연안표사(沿岸漂砂) 해안침식(海岸侵食) 또는 항만매몰(港灣埋沒)외 원인(原因)이 되기도 하며, 연안역(沿岸域)의 물질확산(物質擴散)의 외력(外力)으로 작용(作用)하기 때문에, 그 현상(現象)의 이해(理解) 및 구명(究明)은 공학적(工學的)으로 갖는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실험(實驗)을 통해서 연안류(沿岸流)의 분포특성(分布特性)을 고찰(考察)하고, 실험결과(實驗結果)를 Longuet-Higgins model에 의한 계산치(計算値)와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연안류(沿岸流)는 쇄파대내(碎波帶內)에 국한(局限)되어 분포(分布)하며, 쇄파대외(碎波帶外)에서는 매우 미약(微弱)함을 보였다. 연안류(沿岸流) 수심방향(水深方向)으로의 분포(分布)는 거의 일정(一定)하였으며, 실험치(實驗値)와 계산치(計算値)는 최대치(最大値) 부근(附近)을 제외하고, N=0.05 일 경우 좋은 일치(一致)를 보이고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문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