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gerstroemia indica L.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화장품 개발을 위한 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 Linnaeus) 가지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or Cosmeceutical Development from Lagerstroemia indica L. Branch)

  • 이병근;김종협;함상경;이창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9-34
    • /
    • 2014
  • 배롱나무 가지가 기능성화장품 소재 및 천연물 의약품으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 검토해 보고자 그 생리활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 Nitrite 소거작용,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의 경우 배롱나무 가지의 아세톤 추출물은 50 ppm에서 73%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합성항산화제인 BHA는 50 ppm에서 90% 이상의 높은 항산화능을 보여준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은 50 ppm에서 78% 이상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으며 BHA의 경우 50 ppm에서 96% 이상 활성을 보여준다. Nitrite 소거작용 측정은 대조군인 합성항산화제 BHA와 비교하여 모든 농도에서 우수한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배롱나무 가지 추출물은 50 ppm의 저농도에서 63% 이상의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1000 ppm에서 73%의 활성을 보이는 것과 비교하여 저농도에서도 높은 활성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대조군인 천연물 (-)-epigallo-catechin-3-gallate와 비교하여 모든 농도에서 우수한 collagenase 저해활성을 보여주었으며 50ppm의 저농도에서도 85% 이상의 높은 collagenase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대조군인 인공 합성 항산화제인 BHA와 비교하여 배롱나무 가지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아질산염 소거작용 그리고 주름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 산업 및 천연물 의약품의 원료로 이용하기 위한 적합한 천연 물질인 것으로 판단된다.

First Report of Ampelomyces quisqualis from Sycamore and Crape Myrtle and Its Potential as a Mycoparasite of Powdery Mildew

  • Nguyen, Thi Thuong Thuong;Lee, Hyang Burm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4-67
    • /
    • 2016
  • During screening fungi as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s for plant parasitic fungi, a fungal strain, EML-FAM3, was isolated from powdery mildew leaf lesions caused by Erysiphe platani on sycamore (Platanus occidentalis L.), and another strain, EML-FAMC1, from Erysiphe australiana on crape myrtle (Lagerstroemia indica L.).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1 and ITS2) and 5.8S rDNA, the strains were identified as Ampelomyces quisquali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new mycohosts, E. platani and E. australiana, of the mycoparasite A. quisqualis on sycamore and crape myrtle plants. The hyperparasite may represent the potential for controlling E. platani and E. australiana epidemics.

이산화탄소 시용에 의한 배롱나무 삽목의 발근 촉진 효과 (Effect of $Co_2$ Enrichment of Semihardwood Lagerstroemia indica L. Cuttings in Enclosed Propagating Frame)

  • 안영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7-63
    • /
    • 1992
  •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determine if CO2 enrichment promoted rooting and subsequent growth of Lagerstroemia indica L. cuttings. Cutting were taken from the one-year-old semihardwood twigs, and rooted in enclosed propagation frame with enriched CO2 levels (500-2000ppm) regulated by a gas monitor. The base of each cutting was dippid from 500 to 4000ppm naphthalenacetic acid. Roothing was determined after 3 months. CO2 enrichment during roothing increased the rooting percentage and number of roots per cutting, but nontreated cuttings rooted in low percentages producing one or two roots. The length of new shoots and dry weight of whole cuttings in CO2 enrichment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the atmospheric controls. The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concentraion were measured as an indication of nutritional state in whole cuttings. As a result of CO2 enrichment, carbohydrate, protein and inorganic compounds(total nitrogen, P2O5, K2O, CaO, MgO) concentration were higher than controls.

  • PDF

STZ으로 유발된 당뇨쥐에 대한 식물추출 혼합물의 항당뇨 상승효과 (Antidiabetic Synergetic Effects of Plant Extract-Mixtures in Streptozotocin-Diabetes Rats)

  • 노상근;김종해;최원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34-342
    • /
    • 2009
  • 본 연구는 streptozotocin (STZ)으로 당뇨를 유발한 실험쥐에 대한 Psidium guajava L. 잎(Pg), Lagerstroemia speciosa L. 잎(Ls) 추출물 그리고 혼합물 A (Pg, Ls, Morus indica L. 잎 추출물, Pinus densiflora needles 추출물, Acanthopanax senticosus M. roots 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4주간 streptozotocin (STZ)으로 당뇨를 유발한 실험쥐에 이들 추출물을 섭취시킨 결과 Pg, Ls 그리고 혼합물 A의 섭취는 당뇨 대조군에 비해 혈당을 각각 20%, 14% 그리고 24% 감소시켰다. 또한 이들 추출물의 섭취는 총 콜레스트롤, 중성지방, 유리지방산을 감소시켰고 인슐린과 HDL-콜레스트롤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혼합물 A는 Pg와 Ls 추출물에 비해 혈당 및 지질 감소, 인슐린 증가 효과 그리고 기능적으로 손상된 베타세포의 회복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혼합물 A는 개별적으로 사용한 Pg와 Ls 추출물에 비해 더욱 유익한 상승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꽃차용 꽃 추출물의 구강위생균에 대한 항균특성 (Antibacterial Activities of Flower Tea Extracts against Oral Bacteria)

  • 한영숙;강소진;박세아;이선숙;송희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1-28
    • /
    • 2011
  • In this study, we analyzed flower tea activity against oral bacteria. Lagerstroemia indica, Paeonia suffruticosa and Hemerocallis fulva showed high extract yields. Bellis perennis, Punica granatum and Cercis chinensis showed the high rates of yield by ethanol extraction. Extract yield seemed to be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mens rather than to the solvent.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obrinus,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Prevotella intermedia were used to investigate extracts activity against bacteria; the former two cause dental caries and the latter two cause halitosis. Cornus officinalis, L. indica, P. granatum and P.s uffruticosa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S. mutans. In specimens extracted with ethanol, P. suffruticosa, Camellia sinensis, Camellia japonica L. and Rosa hybrida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ies. L. indica, P. granatum and C. officinalis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S. sobrinus. C. officinalis, P. granatum, L. indica and P. suffruticosa showed high activities for specimens extracted with ethanol. The results show that the warm extracts of C. officinalis, L. indica and P. granatum may be effective to prevent dental caries. In particular, the ethanol-based extracts of C. officinalis, P. suffruticosa and C. sinensis were effective to prevent dental caries and thus may be highly marketable. Chrysanthemum zawadskii, R. hybrida, P. granatum, C. japonica L. and Zinnia elegans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gingivalis. R. hybrida showed the highest ethanol extract activity, followed by P. suffruticosa, P. granatum, C. japonica L. and L. indica. R. hybrida, P. granatum, C. morifolium and C. japonica showed high activity against Pr.intermedia in the order named. C. zawadskii, P. granatum, L. indica, C. japonica and A. princeps showed high ethanol extract activity. Thus, the warm extracts of R. hybrida, P. granatum and C. japonica may be helpful to reduce halitosis. In addition, the ethanol-based extracts of P. granatum, C. japonica and L. indica are expected to be highly marketable as mouthwashes.

Effect of Medicinal Plant Extracts on Alcohol Metabolism in Rat Liver

  • Lee, Seung-Eun;Bang, Jin-Ki;An, Tae-Jin;Yu, Young-Ju;Chung, Hae-Gon;Kim, Geum-Suk;Seong, Nak-Sul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3-117
    • /
    • 2004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medicinal plants on ethanol-metabolism. Sprague Dawley rats divided into 6 groups (n=8), fed with 10% ethanol and diets supplemented with each 1% of four plant extracts, ${\alpha}-tocopherol$ (as positive control) and fiber (as negative control) for 4 weeks. Group supplemented with plant extract of Ulmus davidiana showed the most high value (322 nM NADH/min/mg protein) in alcohol dehydrogenase (ADH) activity among the experimented groups $(144{\sim}312\;nM\;NADH/min/mg\;protein)$ at p<0.05. Groups fed with Lagerstroemia indica and Zelkova serrata extract-supplemented diets indicated high activity in aldehyde dehydrogenase (ALDH, 16.7 & 12.3 M NADH/min/mg protein), which were comparatively lower than 20.1 M NADH/min/mg protein of ${\alpha}-tocopherol$ fed group. All of the groups fed with plant extracts indicated very low GPT activities $(13.9{\sim}17.3\;IU/l)$ compared to those (146.1 & 128.6 IU/l) fed with ${\alpha}-tocopherol$ and fiber at p<0.05.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Lagerstroemia indica have a potent ethanol-metabolizing activity.

배롱나무와 피라칸사 겨울 휴면지의 내한성 평가 (Cold Tolerance Assessment of Lagerstroemia indica and Pyracantha angustifolia with Dormant Branches)

  • 신창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118-125
    • /
    • 2011
  • 배롱나무와 피라칸사의 내한성과 지역별 최저기온을 분석하여 동해에 대한 위험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저온 처리한 시료의 내한성은 전기전도도의 측정과 형성층의 갈변도 관찰로 평가하였다. 배롱나무는 $-17.1^{\circ}C$ 이하에서, 피라칸사는 $-18.9^{\circ}C$ 이하에서 동해 피해가 클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난 45년간 최저기온이 $-17.1^{\circ}C$ 이하로 하강된 횟수는 대전 총 7회 중 1975년도 이후에는 1회, 청주 총 55회, 수원 총 72회로 기록되고 있다. $-18.9^{\circ}C$ 이하로 기온이 하강된 횟수는 청주 45회, 수원 32회로 나타났으나, 1991년 이후에는 하강되지 않았다. 또한 위도가 높아질수록 최저기온 상승계수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중부지역에 식재된 배롱나무와 피라칸사는 동절기 간헐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기온 강하에 의한 부분적인 동해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으며, 최저기온의 상승 추세에 따라 동해 피해 위험은 점진적으로 감소될 것이다.

남부지방 조경수종의 탄소저감과 계량모델 - 동백나무, 배롱나무 및 가시나무를 대상으로 - (Carbon Reduction by and Quantitative Models for Landscape Tree Species in Southern Region - For Camellia japonica, Lagerstroemia indica, and Quercus myrsinaefolia -)

  • 조현길;길승호;박혜미;김진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1-38
    • /
    • 2019
  • 본 연구는 남부지방에 흔히 식재하는 3개 조경수종을 대상으로 직접수확법을 통해 개방 생장하는 개체별 탄소저장 및 흡수를 계량화하고, 수종별 생장에 따른 탄소저감을 용이하게 산정하는 계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 수종은 탄소저감 정보가 부재하는 동백나무, 배롱나무, 가시나무 등이었다. 유목에서 성목에 이르는 일정 간격의 줄기직경 규격을 고려하여 수종별로 10개체씩, 총 30개체의 수목을 구입하였다. 그리고 근굴취를 포함하는 직접 벌목을 통해 해당 개체의 부위별 및 전체 생체량을 실측하고, 탄소저장량을 산정하였다. 수종별 흉고직경 내지 근원직경의 줄기 원판을 채취하여 직경생장률을 분석하고, 연간 탄소흡수량을 산출하였다. 줄기직경을 독립변수로 생장에 따른 수종별 단목의 탄소저장과 연간 탄소흡수를 산정하는 활용 용이한 계량모델을 도출하였다. 이들 계량모델의 $r^2$은 0.94~0.98로서 적합도가 높았다. 흉고직경 10cm인 가시나무 단목의 탄소저장량과 연간 탄소흡수량은 각각 24.0kg/주 및 4.5kg/주/년이었다. 근원직경 10cm인 동백나무와 배롱나무의 경우는 각각 11.2kg/주 및 2.6kg/주/년, 8.1kg/주 및 1.2kg/주/년이었다. 이 탄소저장량은 가시나무 약 42L, 동백나무 20L, 배롱나무 14L의 휘발유 소비에 따른 탄소 배출량에 상당하였다. 또한, 상기한 직경의 가시나무, 동백나무 및 배롱나무 한 그루는 매년 각각 8L, 5L, 2L의 휘발유 소비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상쇄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본 연구는 식재 수목의 직접 벌목과 근굴취의 난이성을 극복하고, 남부지방 대상 조경수종의 생체량 및 탄소저감을 계량화하는 새로운 초석을 마련하였다.

국산 한약재로 이용되는 약용식물의 NCI-H1229 인간 폐암 세포주에 대한 성장 억제효과 분석 (Screening for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Medicinal Plants Us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NCI-H1229 Human Lung Cancer Cells)

  • 노종현;김아현;정호경;이무진;장지훈;이기호;이현주;박호;조현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1-290
    • /
    • 2018
  • Background: Lung cancer, the most common malignant disease worldwide, is the predominant cause of cancer deaths, particularly amongst men. Therefore, various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medicinal plants us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Rubiae radix, Inulae flos, Nelumbinis receptaculum, Astilbe radix, and Lagerstroemia flos on NCI-H1229 cells. Method and Results: The viability of NCI-H1229 cells was evaluated in vitro using an MTS assay. Treatment with the ethanol extracts of the selected medicinal plants at $500{\mu}g/m{\ell}$ reduced NCI-H1229 cell viability and increased apoptotic cell death and caspase-3 activation. In addition, treatment with ethanol extracts of Inulae flos and Astilbe radix increases DNA fragmentation, as measured by the TUNEL assay.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thanol extracts of Rubiae radix, Inulae flos, Nelumbinis receptaculum, Astilbe radix, and Lagerstroemia flos exhibited growth inhibitory effects, inducing apoptotic cell death, DNA fragmentation and caspase-3 activation in NCI-H1229 cells. Therefore, these medicinal plant extracts may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natural medicines to inhibit the growth of lung cancers. However,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ethanol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that are reposible for the inhibitory effect on lung cancer cell grwoth.

db/db mice에 대한 약용 식물추출 혼합물의 항당뇨 상승효과 (Antidiabetic Synergistic Effects of Medicinal Plant Extract Mixtures on db/db Mice)

  • 노상근;최원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5-175
    • /
    • 2011
  • 본 연구는 db/db mice에 대한 구아바 잎(Pg), 바나바 잎(Ls) 추출물 그리고 혼합물 A (바나바, 구아바, 뽕, 솔잎 그리고 가시오가피 뿌리 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4주간 db/db mice에 이들 추출물을 섭취시킨 결과 Pg, Ls 그리고 혼합물 A의 섭취는 당뇨 대조군에 비해 체중, 혈당, 인슐린을 감소시켰으며 이들 중에서 혼합물 A의 감소효과가 가장 높았다. 이들 추출물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유리지방산을 감소시켰으며 이들 중에서 혼합물 A의 항고지혈증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또한 혼합물 A는 당뇨 대조군에 비해 Langerhans' islets의 손상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혼합물 A는 포함된 구성물질의 상호보완적인 약리작용에 의해 체중증가의 부작용이 없이 고혈당을 개선시키는 유익한 상승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