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uca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32초

Leaf Blight Caused byCurvularia intermedia on the Invasive Weed Lactuca serriola in Korea

  • Jin A Lee;Seon Young Lee;Young-Joon Choi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45-249
    • /
    • 2023
  • Prickly lettuce (Lactuca serriola), an invasive annual plant, poses a significant threat to the agricultural systems of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In 2020, leaf blight symptoms were observed in the prickly lettuce populations of various farms across Korea. Detailed morphological and molecular sequence analyses revealed that the disease was caused by the fungus, Curvularia intermedia. A pathogenicity test confirmed that the fungus can cause the same symptoms in healthy prickly lettuce, thereby fulfilling Koch's postulate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 intermedia causing leaf blight on L. serriola in Korea, suggesting its potential as a biocontrol agent for this weed.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cessary to determine its ecological impact to prevent any non-target effects.

한라고들빼기 (Lactuca hallaisanensis H. Lév.)의 분류학적 재고 (Taxonomic reconsideration of Lactuca hallaisanensis H. Lév.)

  • 박재홍;김영옥;최경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11-319
    • /
    • 2001
  • 제주도의 고유종인 한라고들빼기 (Lactuca hallaisanensis H. $L{\acute{e}}v$.)의 분류학적 위치를 밝히기 위하여 과피의 해부학적 형질 및 염색체 형질을 조사하였다. 한라고들빼기의 과피의 종단면의 해부학적 형질은 가장 중앙에는 배가 차지하고, 나선무늬로 비후된 종피로 둘러싸여 있었다. 과피는 늑부(costa)와 늑부간(intercosta)으로 구성되어졌고, 늑부의 수는 10-11개 정도이었다. 늑부는 인피상섬유(libriform fibre)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섬유상보강조직(fibre-sclereid)은 1-2열의 세포층을 이루었다. 본 연구결과 체세포 염색체수는 2n=10, 염색체 기본수가 X=5이었다. 염색체의 전체 길이는 $23.3{\mu}m$이었고, 각 염색체의 크기는 $1.9{\mu}m-2.9{\mu}m$이었으며, 기본 핵형은 3sm+2st이었고, 1번 염색체에 2차 응축을 가졌다. 과피의 해부학적 형질 및 핵형학적 형질을 비교하면 한라고들빼기는 상치속보다는 긴갯고들빼기속과 대부분의 형질을 공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한라고들빼기의 학명은 상치속(Lactuca)보다는 긴갯고들빼기속(Crepidiastrum)으로 전속하여야만 한다.

  • PDF

야생 및 재배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ild and Cultivated Lactuca indica)

  • 김자민;김주남;이경수;신승렬;윤경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26-532
    • /
    • 2012
  • 본 연구는 재배량이 증가하고 있는 왕고들빼기를 야생 왕고들빼기와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잎과 뿌리의 일반성분 및 환원당,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무기질, 클로로필 그리고 조사포닌 함량을 측정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야생 왕고들빼기와 재배 왕고들빼기 잎과 뿌리 모두 탄수화물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조단백질과 탄수화물 함량에서 재배 왕고들빼기 뿌리가 야생 왕고들빼기 뿌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잎과 뿌리 모두에서 재배 왕고들빼기가 야생 왕고들빼기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함량 또한 재배 왕고들빼기 잎과 뿌리 모두 야생 왕고들빼기보다 높았다. 비타민 C 함량은 잎이 재배 왕고들빼기가 높았고 뿌리는 야생 왕고들빼기가 높았다. 무기질은 야생 및 재배 왕고들빼기 뿌리와 잎 모두 칼륨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재배 왕고들빼기 잎과 뿌리가 야생 왕고들빼기 잎과 뿌리보다 각각 6배, 3배 이상 높았다. 클로로필 함량은 재배 왕고들빼기 잎이 야생 왕고들빼기 잎보다 높았으며, 조사포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재배 왕고들빼기 뿌리가 야생 왕고들빼기 뿌리보다 2.5배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재배 왕고들빼기가 야생 왕고들빼기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산채류의 재배 활성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재배 왕고들빼기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향후 야생 및 재배 왕고들빼기의 기능성분 및 다양한 생리기능성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갈파래 추출물의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Ulva lactuca Linnaeus Extract)

  • 민경철;김근대;남현규;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40-347
    • /
    • 2022
  • 참갈파래(Ulva lactuca Linnaeus) 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참갈파래 추출물의 MTT assay의 결과로 500 ㎍/ml 이하의 모든 농도에서 약 90%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보였으며, 일정 농도에서는 100%를 능가하는 세포생장 촉진율까지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이후 모든 실험에서는 가장 높은 농도를 500 ㎍/ml으로 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항염증 실험 중 하나인 nitric oxide(NO)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LPS만 처리한 군을 100%로 정하여 비교하였을 때, 참갈파래 추출물은 5, 50, 500 ㎍/ml의 농도에서 각각 16%, 19%, 62%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의 경우, LPS만 처리한 군을 100%로 정하여 비교하였을 때, 참갈파래 추출물은 5, 50, 500 ㎍/ml의 농도에서 각각 16%, 17%, 27%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Interleukin-6 (IL-6)의 경우, LPS만 처리한 군을 100%로 정하여 비교 하였을 때, 참갈파래 추출물의 경우, 500 ㎍/ml의 농도에서 29%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참갈파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항산화 성분을 조사하는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0.3, 3, 3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8.02, 9.90, 23.8 mg GAE/g의 총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0.3, 3, 3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약 2.6, 12.6, 77.3%의 소거활성이 나타났으며, 시료의 농도증가에 따라 소거활성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된 참갈파래 추출물은 향후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소재로서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Germination-Inhibitory Effect of Pulsatilla koreana N. Leaves; Protoanemonin as Active Principle

  • Bang, Seong-Cheol;Kim, Dong-Hwa;Ahn, Byung-Z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2호
    • /
    • pp.89-92
    • /
    • 2005
  • The germination of Lactuca sativa seed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water extract of the fresh leaves of Pulsatilla koreana N. including abundant ranunculin. Germination inhibitory activity increased in a dose-dependantly. Protoanemonin, produced from ranunculin by enzymatic action during maceration process of leaves, was proved to be the active principle with inhibitory activity was above 90% at concentration of 1 mg/ml.

한국산 씀바귀의 Flavonoid 성분에 관한 연구 (Flavonoidal constituent in Korean Lactuca dentata Makino)

  • 정강현;윤광로;김준평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1-136
    • /
    • 1994
  • 한국산 씀바귀(Lactuca dentata Makino)의 ethylacetate 추출물에서 6 종류의 flavonoid 성분이 TLC에 의해서 검출 되었으며, 이들은 극성에 따라서 A에서 F가지 명명되었다. 그들 중 주성분으로 생각되는 물질 E를 column chromatography을 이용하여 분리정제 하였다. 물질 E의 녹는 점은 $249.5^{\circ}C-251^{\circ}C$ 로 나타났으며, 그 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물질 E와 이를 가수분해한 genin에 대한 여러가지 shift reagent에서 UV와 IR분석을 하고 또한 물질 E와 그의 acetyl 유도체에 대한 NMR 분석을 하였으며 물질 E에 결합된 당은 TLC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이와같은 분석 결과에서 물질 E는 luteolin 모핵에 glucose가 결합된 $luteolin-7-0-{\beta}-D-glucoside$로서 확인되었다.

  • PDF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I -GC를 이용한 상추(Lactuca sativa L.)의 품종별 Phytol 함량 분석-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XI -Analysis of Phytol Content in Several Varieties of Lactuca sativa L. by gas chromatography-)

  • 송명종;이진희;방면호;김지영;정대균;배동근;김인호;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4호
    • /
    • pp.426-429
    • /
    • 2004
  • An easy, sensitive and rapid method for the analysis of phytol, a strong ACAT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inhibitory diterpenoid, was established. The pre-treatment of sample for GC analysis of phytol includes aq. MeOH extraction, partition of the extracts between EtOAc and water, and filtration of organic phase through Supelclean LC-Si SPE tube. The GC analysis of phytol for a variety of Lactuca sativa was carried out on DB-5 capillary column with flame ionization detector (FID). The consistency in phytol contents according to each variety was not shown. Especially, Jeoktoma, as RS-2 type, showed the highest phytol content.

유기질비료와 토양 미생물제제의 시용이 배추(Brassiea campestris L.)와 상추(Lactuca sativa L.)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assiea campestris L. and Lactuca sativa L. Yield by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s and Microorganisms)

  • 조성현;박태헌;장기운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3호
    • /
    • pp.88-92
    • /
    • 2001
  • 돈분발효퇴비(P)와 혼합유박비료(B, F), 부산물퇴비(D) 4종의 유기질비료와 토양 미생물제제(M)의 시용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배추와 상치를 공시작물로 시설하우스에서 재배하면서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유기질비료의 추천 시비량 처리구에서 수량이 가장 좋았으며, 과량 처리구에서는 비해가 발생하였으나, 미생물제제의 혼용에 의해 현저한 비해 감소 현상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같은 비종 및 동일한 시용량 처리구에서도 미생물제제를 혼용하였을 때 생육이 안정되었으며, 수량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유기질비료의 과량처리는 비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미생물제제의 시용으로 생육 및 수량이 향상되었다.

  • PDF

씨앗발아 및 발아지수에 근거한 나노입자 독성평가 (Toxicity Assessment of Nanopariticles Based on Seed Germination and Germination Index)

  • 구본우;공인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396-401
    • /
    • 2014
  • 나노물질은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actuca(상추)와 Raphanus(알타리무) 씨앗의 발아와 발아지수에 금속산화물 나노입자(CuO, NiO, $Fe_2O_3$, $Co_3O_4$, $TiO_2$, ZnO)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용액상 노출에서 CuO가 가장 큰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발아와 발아지수의 $EC_{50}$는 각 0.46 mg/L와 0.37%로 조사되었다. 씨앗 이용 식물독성 측정에서 상추가 알타리무보다 나노입자 노출에 대해 더욱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나노입자의 씨앗발아와 발아지수에 근거한 영향은 다음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CuO > ZnO >NiO > $TiO_2$, $Fe_2O_3$, $Co_3O_4$. 특히 $TiO_2$, $Fe_2O_3$$Co_3O_4$는 최대 노출 농도 1,000 mg/L 농도에서도 뚜렷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