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sp.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35초

김치에서 분리한 Streptococcus sp. J-C1의 bacteriocin 생산 (Bacteriocin Production by Streptococcus sp. J-C1 Isolated from Kimchi)

  • 조영배;조영임;백형석;전홍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70-277
    • /
    • 1996
  • Streptococcus sp J-C1 producing bacteriocin was isolated from Kimchi. The optimum conditions for bacteriocin production by Streptococcus sp. J-C1 were evaluated. For the maximum yield of bacteriocin production by Streptococcus sp. J-C1, the cell should be harvested at the late stationary phase and the temperature, pH and NaCl concentration should be 25$\circ$C, pH 8 and without the addition of NaCl, respectively. Sucrose should be used as a carbon source and organic nitrogen such as peptone should be used as a nitorgen source for the best yield. The production of bacteriocin is related to the cell growth of Streptococcus sp. J-C1. The bacteriocin from Streptococcus sp. J-C1 was active for gram positive microorganisms such as Lactobacillus sp., Leuconoctoc sp., Lactococcus sp., Streptococcus mutans, Staphylococcus aureus amd Bacillus subtilis and also active for gram negetive bacteria such as Acetobacter aceti.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bacteriocin was completely disappeared by protease treatment.

  • PDF

도축 폐혈액 단백질을 이용한 Probiotics생산에서의 동결건조 조건 (Optimization of Freeze-drying Conditions for Probiotics Production with Animal Blood Proteins Added Medium.)

  • 현창기;신현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0-205
    • /
    • 1998
  • 본 연구는 도축 폐기물인 가축혈액의 이용을 위해 사료첨가제로서 혈분 성분이 함유된 유산균 probiotics의 생산을 목적으로 하여 수행되었다. 혈액으로부터 얻은 혈장을 질소원으로 이용한 BBPB 배지에, 시판 중인 미생물 사료첨가제로부터 분리된 probiotics용 Lactobacillus sp.를 배양하여 대조구인 MRS배지의 74%에 이르는 높은 생균수를 얻을 수 있었다. 얻어진 배양액의 동결 건조는 배양시간, 배양액의 pH보정, 배양액의 농축, 급속동결 등의 조건에 의해 균체의 생존율이 영향을 받았으며, 24시간 배양한 배양액을 pH 6.4로 보정한 뒤 10배로 농축하여 -5$0^{\circ}C$에서 3시간 동안 동결한 후 건조하는 조건으로 최적화되었다. BBPB 배지에 잔여하는 혈장 단백질 성분은 유산균의 동결건조 안정화 효과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수준은 MRS와 유사하였다. 제제화를 위한 동결건조 안정제로는 Sucrose가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10%첨가시 48.3%의 생존율로 $3.0{\times}^{10}$ CFU/g의 유산균 제제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의 동결건조조건을 이용하면 도축 폐혈액을 이용한 problotics의 산업적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재래식 메주중의 산생성균의 분포 (Occurrence of acid producing bacteria in Meju leaves)

  • 허성호;하덕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30-133
    • /
    • 1991
  • 재래식 메주의 23개 시료에 대해서 내부층과 외부층의 부위별로 산생성균수 및 총균수를 조사하고 이들 균주를 동정하였다. 산생성균은 내부층에 비하여 외부층에 많았고 각 부위에 있어서 호기성 산생성균보다 혐기성 산생성균이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호기성 산생성균 중 비호염성균 및 내염성균의 평균균수는 각각 $24{\times}10^6$$33{\times}10^5cell/g$였고 혐기성 산생성균 중 비호염성균 및 내염성균의 평균균수는 $10{\times}10^7$$58{\times}10^5cell/g$였다. 호기성 산생성균 2균주는 Micrococcus sp., 혐기성 산생성균 3균주는 Strepococcus sp., Pediococcs sp. 및 Lactobacillus sp., 호기성 일반세균 2균주는 Bacillus sp.으로 각각 동정되었다.

  • PDF

배지의 pH 조정에 의한 홍삼 추출물 첨가가 Lactobacillus SP., Escherichia coli와 Listeria monocytogene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Growth of Lactobacillus sp., Escherichia coli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pH Controled Medium)

  • 배형철;이조윤;남명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57-264
    • /
    • 2005
  • 홍삼 추출물이 유산간균 3종(L. acidophilus, L. casei 및 L. salivarius ssp. salivarius)과 병원성 균으로서 E. coli 및 L. monocytogenes에 대한 성장 촉진과 억제 효과를 홍삼 추출물 0, 1, 2, 5와 $10\%$ 농도로 조사하였으며, 홍삼 추출물에 의한 pH 저하를 buffer제를 사용하여 조정하고 미생물의 성장을 대조구와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유산간균 3종의 경우 홍삼 추출물 $1\%$ 농도까지는 무처리구와 유사한 성장을 보였으나, $2\%$이상의 홍삼 추출물 첨가 시 농도가 높아질수록 유산균의 성장도 둔화되었다. E. coli의 경우 홍삼 추출물이 $1\%$부터 높아질수록 성장이 억제되었고, L. monocytogenes의 경우 $5\%$ 이상의 처리구에서 억제 효과가 있었다. Buffer제를 사용하여 pH를 조정하고 홍삼 추출물을 $10\%$ 첨가한 구와 pH를 조정하지 않은 구를 비교하여 보면 유산간균과 병원성 균의 성장이 두 구간에 모두 억제되므로 미생물의 억제 효과가 홍삼 추출물 중의 유기산에 의한 pH 저하가 원인이 아님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미생물의 성장억제 효과는 홍삼 추출물 중 다른 유효성분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음식물류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항세균 활성 유산균의 개발 (From food wastes into useful probiotics: Development of Lactic acid bacteria as useful probiotics for animal feed without antibiotics using food waste)

  • 서정용;송인근;이대규;이기영;김영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14권2호
    • /
    • pp.112-120
    • /
    • 2006
  • 음식물류폐기물의 무항생제 액상사료화를 통한 고급자원화를 이루기 위하여 항생제 대체용 항세균 활성 유산균주 13 종을 돼지 장관 및 분변에서 분리하였다. 분리 유산균은 모두 내염성(Nacl 4%), 내산성 (pH4.0) 및 내담즙성 (oxgall 0.8%)을 보였으며, $37^{\circ}C$에서 생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분리 유산균주중 Lactobacillus plantarum CJY-22, Pediococcus sp. CJY-41, Lactobacillus brevis CJY-42 및 Lactobacillus arizonensis CJY-3 균주가 가장 높은 항세균 활성 및 광역의 항세균 활성 스펙트럼을 나타냈으며, Lactobacillus plantarum CJY-22 균주의 경우 $25^{\circ}C$에서도 생장이 원활하여 음식물류폐기물에 적용시 가온없이 발효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 균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Lactobacillus sakei 생육저해활성 보유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생산하는 Bacteriocin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the Bacteriocin Produced by a Leuconostoc mesenteroides Strain Inhibiting the Growth of Lactobacillus sakei)

  • 이광희;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90-396
    • /
    • 2011
  • 김치발효 후기의 우점종으로 알려진 Lactobacillus sakei의 생육을 저해하는 Leuconosotc 속 23균주가 김치로부터 분리되었고, 이들 중 가장 높은 생육저해활성을 나타낸 Leuconostoc mesenteroides CK0122 균주가 생산하는 생육 저해물질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CK0122 균주의 배양 상징액을 분자량 3,000 Da을 기준으로 분획하여 동결건조한 분자량 3,000 Da 이하의 조항균물질로부터 Lb. sakei 생육저해가 확인되었고, proteinase K 처리에 의해 항균력이 소실되었기 때문에, CK0122가 생산하는 항균물질은 분자량 3,000 Da 이하의 단백질성 항균물질(bacteriocin)으로 추정된다. 분자량 3,000 Da 이하의 조항균물질은 pH 4에서 7 정도의 영역에서 최적활성을 나타내었고, $121^{\circ}C$, 15분 살균처리에 의해서도 활성이 유지되는 높은 열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 Alcaligenes xylosoxydans, Staphylococcus aureus 및 Flavobacterium sp.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내어 Gram 양성균 및 음성균의 제어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산균 종류에 따른 발효톳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Hizikia fusiformis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in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 권명숙;문옥주;배민주;이슬기;김미향;이상현;유기환;김육용;공창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450-1457
    • /
    • 2015
  • 톳은 여러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는 해조류로 본 연구에서는 톳의 활용 가능성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유산균의 종류를 달리하여 발효한 톳을 시료로 하고 추출물 단계에서 항염증 효과를 비교하였다. 유산균인 Weissella sp. SH-1과 Lactobacillus casei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톳 추출물은 무접종군에 비하여 높은 NO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유산균간의 비교에서는 Weissella sp. SH-1 접종군보다 L. casei 접종군에서 NO 생성 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중요 염증 유발인자인 iNOS, COX-2 및 IL-6의 발현을 비교한 결과 Weissella sp. SH-1 접종군에 의한 iNOS 억제능이 높았으며 COX-2, IL-6 발현은 L. casei 접종군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유산균에 의한 염증 유발인자 억제능에 대한 MAPK 신호 전달 경로를 알아본 결과 ERK, p38, JNK의 인산화에 의해 항염증 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유산균 Weissella sp. SH-1과 L. casei를 이용한 발효는 염증 억제에 효과가 있는 유효성분의 추출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산균 Weissella sp. SH-1과 L. casei를 이용한 발효방법을 활용하여 기능성 식품소재 및 제품 개발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통 명태식해 숙성중의 미생물 및 효소학적 특성 (Microbiological and Enzymatic Characteristics in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 차용준;김소정;정은정;김훈;조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709-1714
    • /
    • 2004
  • 숙성온도 조건(5$^{\circ}C$, 2$0^{\circ}C$ 및 변온조건)을 달리한 명태식해에서 숙성에 지배적으로 관여하는 미생물상의 변화 및 효소학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2$0^{\circ}C$조건의 숙성초기에는 단백질분해균이나 Lactobacillus속 및 Pediococcus속이 총균수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숙성 10일 이후에는 단백질분해 3, Leuconostoc속, Streptococcus속 및 Pediococcus속의 감소가 총균수의 감소에 기여하였고 숙성 10일 이후의 총균수는 Lactobacillus속, Pediococcus속 및 효모가 대부분이었다. 변온조건의 경우 숙성 10일 이후에도 총균수가 일정수준을 유지하였는데, 이는 Lactobacillus속, Pediococcus속 및 Streptococcus속이 변온 이후에도 균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2$0^{\circ}C$와 변온에서 숙성 10일 이후의 균증식 양상은2$0^{\circ}C$의 경우효모의 증식이 우세한 반면에, 변온에서는 Streptococcus속의 증식이 우세하였다. 반면 5$^{\circ}C$의 경우 Lactobacillus속이 숙성초기에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특히 Leuconostoc속이 다른 조건의 비해 오래 지속되었다. 산성단백질분해효소 및 지방분해효소 활성은 온도에 민감하여 2$0^{\circ}C$일 때가 5$^{\circ}C$보다 활성이 높은 반면 중성 단백질분해효소와 지방분해효소는 온도에 따른 활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변온조건에서는 단백질분해효소의 경우 실활 되었고, 지방분해효소는 온도변화에 적응력이 존재하여 활성 이 유지되었다.

갓무를 첨가한 김치의 발효 및 관능 특성 (Fermentativ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Mustard Root (Brassica juncea))

  • 황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26-932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mustard root on the shelf life of kimchi. Ethanol extract was prepared from the mustard root (Brassica juncea)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examined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lactic bacteria in kimchi. Growth of lactic bacteria were inhibited by ethanol extract from mustard root and the growth time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was delayed more than 24 hours compared with that of Lactobacillus plantarum. Also, the fermentativ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mustard root were evaluated during fermentation at $10^{\circ}C$. The pH and acidity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kimchi and the fermentation period was retard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in mustard content. The total numbers of microorganism and lactic bacteria in the control kimchi were higher than those in kimchi with mustard root during fermentation. Leuconostoc sp. in the initial stage of growth was more inhibited than Lactobacillus sp. While the pH of kimchi were in the initial stage, the sensory evaluation score for savory flavors of the kimchi with mustard root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due to bitterness and pungency. But when the pH of kimchi reached the optimum stage, the scores for texture and savory flavor of kimchi with mustard root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n overall quality score for kimchi with mustard root increased as bitterness de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