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sp.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35초

맥주오염미생물의 동정과 specific PCR primer의한 신속한 검출 방법 (Characterization of beer-spoilage microorganism and its rapid detection by specific PCR primer)

  • 이택인;최신건
    • 산업기술연구
    • /
    • 제28권A호
    • /
    • pp.141-147
    • /
    • 2008
  • Several contaminated bacteria such as Lactobacillus brevis and Pediococcus damnosus in beer production cause beer spoilage by producing off flavours and turbidity. Detection of these organisms is complicated by the strict anaerobic conditions and lengthy incubation times required for their cultivation,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for more rapid detection methods. Recently, two contaminated strains were isolated from vessel of beer production and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pecies by API kit identificaton as well as 16S-23S ITS sequencing analyses. Two isolated strains were named as Lactobacillus sp. HLA1 and Lactobacillus HLB2, respectively.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rapid and specific detection of Lactobacillus sp.. Two sets of primer pairs (HLA1-F/HLA1-R and HLB2-F/HLB2-R) were designed for the amplification of a 1576 base pair (bp) fragment of the HLA1 16S-23S rRNA gene and 1888 bp fragement of the HLB2 16S-23S rRNA. Amplified PCR products were highly specific to detect corresponding bacteria when other contaminated strains were used as PCR templates. However, detection of both strains were limited when $100{\mu}{\ell}$ of cultured samples were mixed with $100m{\ell}$ of beer sample in arbitrary manner. The sensitivity of the assay still needs to be improved for direct detection of the small amounts of bacteria present in beer.

  • PDF

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Intestinal Disease and Probiotics

  • Yun, Bohyun;Lee, Sang Dae;Oh, Sejong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1-7
    • /
    • 2013
  • Probiotics are traditionally defined as viable microorganisms that have a beneficial effect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athologic conditions when they are ingested. Although there is a relatively large volume of literature that supports the use of probiotics to prevent or treat intestinal disorders, the scientific basis behind probiotic use has only recently been established, and clinical studies on this topic are just beginning to get published. Currently, the best studied probiotics are lactic acid bacteria, particularly Lactobacillus and Bifidobacterium species. Other organisms used as probiotics in humans include Escherichia coli, Streptococcus sp., Enterococcus sp., Bacteroides sp., Bacillus sp., Propionibacterium sp., and various fungi, and some probiotic preparations contain more than one bacterial strain. Probiotic us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ntibiotic-associated diarrhea caused by Clostridium difficile induced intestinal disease as well as for other gastrointestinal disorders has been discussed in this review.

  • PDF

새우양식장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p. JK-8의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sp. JK-8 Isolated from Shrimp Aquaculture Pond)

  • 천재우;마채우;오계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8-23
    • /
    • 2005
  • 이 연구는 새우양식장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sp. JK-8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균주 JK-8을 MRS 배지에서 배양하였고, 형태 및 생리학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BIOLOG시험을 통하여 이 세균은 Lactobacillus속으로 동정되었다. 배양기간 동안에 균주 JK-8의 생장과 PH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생성되는 유기산(lactic acid와 acetic acid)은 JK-8 배양의 생장과 비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Lactic acid와 acetic acid의 농도는 각각 192.8 mM과 43.6 mM이었으며, 초기 pH 7.0은 배양기간동안 3.8로 감소하였다. 8가지 대상 세균에 대하여 5배로 농축된 배양 상등액에 처리하여 살균효과를 조사하였으며, 이 연구에서 모든 대상 세균들은 배양3시간 이내에 완전히 살균되었다. pH조절을 하지 안은 JK-8 배양에서 대상세균들에 대한 항균효과가 있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pH가 조절된 배양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대사산물로서 lactic acid와 acetic acid의 분리하기 위하여 HPLC를 사용하였으며, GC-MS를 이용하여 이들 대사산물을 확인하였다.

돼지 장관으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sp. HN 235 균주가 생산하는 항균물질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Produced by Lactobacillus sp. HN 235 Isolated from Pig Intestine)

  • 신명수;한선경;최지현;지애란;김경수;이완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5-132
    • /
    • 2009
  • 항생제 대체물질로서 양돈용 생균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돼지의 소장 및 대장으로부터 500균주의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항균물질인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5균주를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선발균주들은 모두 Lactobacillus 속으로 동정되었으며, 생균제를 개발할 목적으로 상기 균주 중 Lactobacillus sp. HN 235 균주에 대한 균주 및 박테리오신 특성을 조사하였다. HN 235 균주의 성장시간에 따른 생균수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18시간째 최대 $3.5{\times}10^9\;cfu/mL$까지 성장하였으며, 항균활성은 유도기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정체기에 6,400 AU/mL로 최고의 활성을 보이다가 급격하게 활성을 상실하였다. HN 235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병원성 균주로 알려진 L. monocytogenes와 Cl. perfringens에 대하여 강한 항균능력을 나타냈으며, 상기 박테리오신의 항균활성은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시 활성을 상실하였다. 또한 $95^{\circ}C$에서도 활성을 유지하였으며, pH 2~10 범위 및 유기용매에 대해서도 비교적 안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SDS-PAGE를 실시하여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대략 5 kDa으로 확인되었다.

생강계피 복합물이 장내 유익균 증식 및 염증조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ger and cinnamon extract mixtures on the growth of intestinal bacteria and intestinal inflammation)

  • 김민주;김민서;강성태;김지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4호
    • /
    • pp.321-326
    • /
    • 2017
  • 본 연구에서 생강과 계피 추출물 및 복합물의 장내 개선 효능을 조사하였다. 생강계피 복합물을 Modified EG 액체배지에 처리하고 대표적인 유익균인 B. longum, Lactobacillus sp.와 L. acidophilus 균주를 접종하여 생육 활성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사람의 장상피세포인 Caco-2 cell과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 264.7을 co-culture한 model에서 생강계피 복합물을 처리한 후 lipopolysaccharide (LPS)로 자극시켜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 permeability 그리고 nitrite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생강계피 복합물을 생강 : 계피 1:5로 처리 시, B. longum, Lactobacillus sp. 및 L. acidophilus 세 가지 균주의 성장을 모두 최대로 상승시켜 생육 활성 효과가 우수하였다. 특히 생강계피 복합물은 대조군에 비해 Lactobacillus sp. 균주의 가장 높은 생육 상승을 나타내어 생강계피 복합물에 젖산균의 생육인자를 함유할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장 염증활성 조절을 확인하기 위한 co-culture model에서는, LPS 처리군과 비교하여, 생강계피 복합물 처리군 중 생강 : 계피 1 : 1, 1 : 3, 1 : 5와 1 : 7 복합물이 대조군과 비슷하거나 더 높게 증가하였고, tight junction(TJ) permeability는 생강 : 계피 3 : 1, 1 : 1, 1 : 3과 1 : 5 복합물에서 대조군과 비슷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생강: 계피 1 : 1, 1 : 5와 1 : 7 복합물은 nitrite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장내 유익균의 생육 및 장 염증 억제 활성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강계피 복합물 중 생강 : 계피 1 : 5 복합물이 장내 유익균과 염증 조절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최적 복합비율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Lactobacillus sp. KY-107에 의한 Mannitol의 생산 (Production of Mannitol by Lactobacillus sp. KY-107)

  • 윤종원;강선철류병호송승구
    • KSBB Journal
    • /
    • 제11권3호
    • /
    • pp.374-379
    • /
    • 1996
  • Lactobacillus sp. KY -107을 이용하여 fructose 로 부터 mannitol을 비교적 고수율로 생산하였다. 검토된 여러가지 탄소원 중에서 sucrose와 fructose 만이 mannitol 생성의 기질로 이용되었고 100g/L fructose를 기질로 사용할 경우 mannitol 생산성이 가장 좋았으며 이때 수율은 약 70% 이었다. 초기 탄소원이 고갈될 경우, 생성된 mannitol이 다시 기 질로 이용되었고, 180-250g/L 이상의 고농도 기질 농도에서는 수율이 50% 이하 수준으로 낮았으나, 모든 실험조건에서 다른 당알콜류를 부산물로 생성하지 않았다. Mannitol 생성에 미치는 여러가지 배양인자들을 검토한 결과, 질소원으로 yeast extract 가 가장 우수하였고, 무기 인산엽은 10 g/L농도 범 위까지 농도가 높을수록 유리하였으며 금속이옹중 M Mn이 mannitol생성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양환경중 온도는 $35^{\circ}C$전후 에서, 초기 pH는 6-8 범위에서 mannitol 생성량이 최대였다.

  • PDF

가자미 식해 발효에서 Lactobacillus brevis GS1022과 Pediococcus inopinatus GS316의 균총 변화 연구 (Change in Lactobacillus brevis GS1022 and Pediococcus inopinatus GS316 in Gajami Sikhae Fermentation)

  • 임수정;배은영;설민경;조영제;정희영;김병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91-500
    • /
    • 2020
  • 유산균은 장 건강, 심장질환, 우울증, 비만 등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고, 특히 한국은 다양한 발효식품에서 유산균을 섭취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발효식품에서 분리된 유산균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김치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어류 전통 발효식품인 식해류의 유산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인 가자미 식해의 발효에 관여하는 유산균의 배양일에 따른 균총의 변화를 관찰하고, 가자미 식해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로 이용 가치가 있는 균을 분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포항의 가정집에서 제조된 가자미 식해에서 유산균을 제조일로부터 50일까지 5일 간격으로 분리하고 동정하였고, 동정 결과 P. pentosaceus, P. inopinatus, Lc. mesenteroides, L. brevis, L. plantarum 5개 균주가 발효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초기 발효에는 Pediococcus sp.가, 중기 이후부터는 Lactobacillus sp.가 우세하게 발효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리한 유산균 중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가지는 균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산내성, 담즙산 내성 시험을 통해 균주를 선별한 뒤 응집능, 표면 소수성,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가자미 식해 분리 균주 중 최종적으로 선택된 소화액 내성이 뛰어난 L. brevis GS1022와 응집능이 뛰어난 P. inopinatus GS316은 프로바이오틱 균주로 이용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항고혈압 활성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Lactobacillus Isolated from Kimchi)

  • 유미희;임효권;임남경;황은영;최준혁;이은주;김종부;이인선;서화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28-43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이 ACE 억제효과와 본태성 고혈압쥐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배양액 및 lysozyme법, sonication법, solvent extract법으로 균체를 추출하여 ACE 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 배양액 보다는 균체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에서 공시균주에 비해 ACE 억제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균체 추출시료 중 LG 7, 8, 42가 전반적으로 높은 ACE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이들의 균체를 본태성 고혈압쥐(SHR)에게 4주간 투여한 결과, WKY 대조군(I)이 4주간 81 g 정도의 체중 증가를 보인 반면, SHR 대조군(V)은 52 g 정도의 체중 증가를 보여 정상혈압 쥐에 비해 고혈압 쥐의 체중의 증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산균의 장기투여가 고혈압 쥐의 체중 및 장기무게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와 중성지질 농도는 SHR 대조군(V)에 비해 유산균 투여군(X, XI)에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는 아니었으며, SHR에 LG 42 유산균을 섭취시킴으로서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의 농도는 감소하고, HDL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산균 투여 후 4주째의 최종 혈압을 비교한 결과, LG 42를 투여함에 따라 기준혈압에 비해 농도 의존적($1{\times}10^7$, $1{\times}10^9$ cfu/mL)으로 각각 12, 27% 감소하였다.

Bacillus sp. LM-8이 생산하는 Lactobacillus plantarum 용균 효소의 정제 및 효소 특성 (Purification and Enzyme Property of a Cell-Wall Lytic Enzyme Produced by Bacillus sp. LM-8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 마호우;신원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3-38
    • /
    • 2002
  • Lactobacillus plantarum 용균 효소를 생산하는 균주를 배양하여 생산된 효소를 정제한 결과 비활성도가 5.8 units/mg protein 이었고 정제도 8.3배, 수율은 30%이었다. 정제효소의 분자량은 gel filtration과 SDS-polyacrylamide gel eletrophoresis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60,000 kDa 이었다. 용균 효소의 최적 반응 시간은 20분이었으며 최적 온도는 4$0^{\circ}C$, 최적 pH는 3.0이었다. 온도 안정성은 각 온도에서 30분간 처리하였을 때 $30^{\circ}C$까지는 안정하였으나 4$0^{\circ}C$에서는 80% 활성을 나타내었다. 효소의 pH 안정성은 실온에서 1시간 처리하였을 때 pH 4~7에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작두콩(Canavalia ensiformis) 발효액이 항산화, 항염증 및 항균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word bean (Canavalia ensiformis) fermentation filtrate on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 장혜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72-1081
    • /
    • 2023
  • 본 연구는 발효에 의한 생리기능성을 조사하여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Lactobacillus 속을 이용한 작두콩 발효액을 제조하여 항산화, 항염증, 항균 활성을 평가하였다. 총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균주의 종류에 상관없이 발효 후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p<0.05),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또한 발효에 따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NO 소거 활성으로 항염증 활성을 측정한 결과, 발효 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L. plantarum로 발효한 발효액보다 L. brevis로 발효한 발효액의 항염증 활성이 더 높았음을 확인하였다. 작두콩 발효액의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녹농균인 Pseudomonas aeruginosa, 포도상구균인 Staphylococcus sp., 대장균인 Escherichia coli에 대한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세포 독성 측정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대식세포인 RAW 264.7에 대한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발효에 따른 항염증 및 항균 활성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를 토대로 다양한 바이오 및 식품산업 분야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추후에는 발효 조건의 확립과 항염증 및 항균 활성에 대한 정확한 메커니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