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salivarius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42초

이유자돈으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salivarius KLW001의 유전체 분석 (Draft genome sequence of Lactobacillus salivarius KLW001 isolated from a weaning piglet)

  • 진귀득;이준영;김은배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34-136
    • /
    • 2017
  • 이유자돈용 생균제 개발을 위해, 본 연구자들은 유산균의 일종인 Lactobacillus salivairus KLW001 균주를 대한민국 양돈가에서 사육 중인 이유자돈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이 균주는 K88 antigen-positive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에 대한 항균 활성이 타 균주보다 우수하여, 우리는 이 균주의 유전체를 분석하였다. 유전체 초안 속의 166개 Contig (${\geq}500bp$)들에서, G+C content (%)가 33.0%였고, 2,326,706 bp 크기의 염기서열을 확보할 수 있었다. 유전체 초안으로부터 항생제 저항 유전자 4개, Phage 관련 유전자 36개, Bile 대사 유전자 3개, CRISPR Spacer 27개를 확인하였다.

병아리의 장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alivarius의 생균제로서 특성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salivarius Isolated from Chicken Intestines)

  • 박홍식;이지혜;엄태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003-1009
    • /
    • 1999
  • For the isolation of probiotics which may be used for the human beings and animals, we have screened the microorganisms from chicken intestines which have acid and bile tolerance and the growth inhibition of pathogenic E.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Among them, a strain which was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alivarius had around 66% of survival after 2h incubation in the artificial gastric juice and 9% of survival after 24h incubation in the presence of 0.3% bile salts, and showed complete inhibition against both path ogenic E.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after 24 h coincubation. Its storage stability after lyophilization could be improved by adding polyvinylpyrrolidone.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α-Galactosidase from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Nam27

  • Bae, Hyoung-Cchurl;Choi, Jong-Woo;Nam, Myoung-S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2-109
    • /
    • 2007
  •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NU27 possessed a high level of ${\alpha}$-galactosidase activity. Purified ${\alpha}$-galactosidase was obtained after sonication of harvested cell pellet followed by DEAE-Sephadex A-50 and Mono Q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The specific activity of the purified enzyme was 8,994 units/mg protein which is 17.09 times higher than that in crude extract. The native enzyme was a monomer with a molecular mass of 56,397.1 dalton.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the enzyme were $40^{\circ}C$ and 6.0, respectively. The enzyme was stable between 25 and $50^{\circ}C$. However, ${\alpha}$-galactosidase activity was lost rapidly below pH 4.5 and above pH 8.5. The enzyme activity decreased to 6.73% and 4.30% of the original activity by addition of $Cu^{2+}$ and $Hg^{2+}$, respectively. Other metal compounds did not affect the enzyme activity significantly. The enzyme liberated galactose from melibiose, raffinose, and stachyose. The rate of substrates hydrolysis was measured by HPLC. Raffinose, stachyose and melibiose were completely decomposed after 24 hr at $40^{\circ}C$.

Properties of β-Galactosidase from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Nam27

  • Bae, Hyoung-Churl;Renchinkhand, Gereltuya;Nam, Myoung-S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0-116
    • /
    • 2007
  •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Nam27 with a high ${\beta}$-galactosidase activity was selected for enzymatic characterization. For purification, cell pellet was disrupted by Bead Beater, by DEAE-Sepharose and Mono-Q chromatography. The specific activity of the purified enzyme was 5,312 units/mg. The molecular weight of native monomeric ${\beta}$-galactosidase was estimated to be 30,000 dalton (monomer) by the SDS-PAGE. The optimum temperature and optimum pH were $50^{\circ}C$ and 5.0, respectively. This enzyme was stable between 35 and $55^{\circ}C$. ${\beta}$-galactosidase activity was lost rapidly above pH 7.0. But ${\beta}$-galactosidase was more stable at pH 4.0 (acidic conditions). And ${\beta}$-galactosidase activity was lost rapidly above $65^{\circ}C$ after 10 min incubation. $Ca^{2+}$ and $Zn^{2+}$ metal ions enhanced ${\beta}$-galactosidase activity by 164.09% and 127.37% while $Cu^{2+}$, $Fe^{3+}$ and $Mn^{2+}$ lowered ${\beta}$-galactosidase activity by 58.29%,85.10% and 77.66% respectively. Other metal ions didn't affect ${\beta}$-galactosidase activity significantly.

오리로부터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프로바이오틱 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acteriocin-producing Bacteria from the Intestine of Duck for Probiotics)

  • 신명수;한선경;지애란;함미랑;김경수;이완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621-632
    • /
    • 2007
  • 항생제 대체물질로서 가축용 생균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오리의 소장 및 맹장으로부터 416주의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항균물질인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13주를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선발균주들은 Lactobacillus salivarius 1주, Lactobacillus plantarum 1주, Pediococcus pentosaceus 1주, Enterococcus 7주, 그리고 3주의 E. coli로 동정되었으며, 복합생균제를 제조할 목적으로 상기 균주중 5균주에 대한 박테리오신 및 생균제적인 특성를 조사하였다. 유산균인 Lact. salivarius JWS 58, Ent. faecium JWS 833, 그리고 Ped. pentosaceus JWS 939는 식품관련 병원성 균주로 알려진 Listeria mono- cytogenes에 대하여 강한 항균능력을 나타냈으며, 상기 균주의 cell-free supernatant를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시 대부분이 병원균 억제활성을 상실하였다. 선발균주인 E. coli JWS 108은 그람음성균주인 E. coli와 Staphylococcus aureus 균주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Lact. salivarius JWS 58균주와 Ent. faecium JWS 833균주는 각각 Lactobacillus sp. 및 Enterococcus sp. 균주에 대하여 억제활성을 지니고 있었다. Lact. salivarius JWS 58균주는 pH 2.5 완충용액에서 2시간 동안 50% 이상 생존하였으며, pH 2.0 이하에서는 대부분의 선발균주들이 사멸하였다. 그러나 선발균주 모두 0.5% 담즙산 농도까지 아무런 억제현상없이 정상적으로 성장하였다. Ped. pentosaceus JWS 939와 Lact. plantarum JWS 1354 균주는 상대적으로 높은 amylase와 cellulase 효소 활성를 나타냈으며, E. coli JWS 108 균주는 낮은 효소활성을 보였다. Protease 및 lipase 효소 활성은 5균주 모두 유사하게 나타내었다.

오리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salivarius JWS 58과 Lactobacillus plantarum JWS 1354 균주의 면역활성효과 (Immuno-enhancing Effects of Lactobacillus salivarius JWS 58 and Lactobacillus plantarum JWS 1354 isolated from duck)

  • 최현종;김지예;신명수;이상명;이완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81-288
    • /
    • 2011
  • Lactobacillus salivarius JWS 58 (JWS 58) and Lactobacillus plantarum JWS 1354 (JWS 1354) are isolated from duck intestine and have ability to produce bacterioc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JWS 58 and JWS 1354. The nitric oxide (NO) and cytokines (IL-$1{\beta}$ and TNF-${\alpha}$) were measured in C57BL/6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to determine immune enhancing effects of JWS 58 and JWS 1354. A Listeria (L.) monocytogenes challenge mice model was used to evaluate immune enhancement ability of JWS 58 and JWS 1354 in vivo. The results showed that JWS 58 and JWS 1354 increased the production of NO or cytokines by peritoneal macrophages and that oral administration of viable probiotic strains in mice elicited the immuno-modulatory effect upon L. monocytogenes challenge. JWS 1354 showed stronger immune enhancing effects than JWS 58. Collectivel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Lactobacillus strain JWS 58 and JWS 1354 possess immune enhancing effect. Furthermore, two stains are expected to use feed supplement to prevent diseases by pathogenic bacteria through releasing bacteriocin and enhancing host immune responses in animal.

치태 형성과 휘발성 유황화합물 생성을 억제하는 Lactobacillus salivarius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OBACILLUS SALIVARIUS INHIBITING THE FORMATION OF ARTIFICIAL PLAQUE AND THE PRODUCTION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 김미형;최남기;김선미;오종석;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44-356
    • /
    • 2005
  • 우리 인체에는 의학적으로 유용한 기능을 가진 세균들이 정상적으로 존재하며 구강내에도 독특한 기능을 나타내는 세균들이 상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치아우식증이 없는 소아의 타액에서 분리한 유산균 2주가 Streptococcus mutans에 의한 인공치태 형성과 혐기성 세균에 의한 휘발성 유황화합물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고, API 50 CHL medium kit를 이용한 생화학적 검사와 16S rDNA sequencing으로 동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분리균주는 2주 모두 그람양성 간균으로 과산화수소를 생성하였다. 2. 인공치태의 무게는 Streptococcus mutans의 단독 배양시 $124.4{\pm}30.4mg$이었으나, 분리균주와 병합 배양시에는 각각 $5.2{\pm}2.0mg,\;10.6{\pm}6.6mg$으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3. Streptococcus mutans의 생균수는 단독 배양시 ml당 $3.4{\times}10^9$이었으나, 분리균주와 병합 배양시에는 각각 ml당 $4.6{\times}10^8$$2.4{\times}10^8$으로 감소하였다. 4. Fusobacterium nucleatum을 30분간 진탕한 후 측정한 상청액의 흡광도는 1.286이었으나, Fusobacterium nucleatum과 분리균주를 병합으로 30분간 진탕한 후 측정한 상청액의 흡광도는 각각 0.628과 0.497로 감소하였으며, 상호 결합 정도는 29.4%와 57.8%이었다. 5. Fusobacterium nucleatum의 단독 배양시 cysteine과 $FeSO_4$를 첨가한 배지를 가한 후 측정한 침전물의 배지 흡광도는 1.794이었으나, 분리균주와 병합 배양시 측정한 침전물의 배지 흡광도는 각각 1.144와 0.915로 감소하였으며, Porphyromonas gingivalis 단독 배양시 침전물의 배지 흡광도는 1.932이었으나 분리균주와 병합 배양시에는 침전물의 배지 흡광도가 각각 1.170과 1.266으로 감소하였다. 6. 분리균주를 API 50 CHL medium kit로 탄수화물 발효검사를 시행한 결과, 분리균주 1주는 Lactobacillus salivarius로, 다른 분리균주는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로 동정되었다. 7 분리균주를 16S rDNA partial sequencing으로 동정한 결과, 2주 모두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와 유전자 유사치가 99.60%, 99.73%를 보여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로 동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치아우식증이 없는 소아의 타액에서 분리된 유산균 중 과산화수소를 분비하여 인공치태 형성과 휘발성 유황화합물 생성을 억제하는 분리균주는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로 동정되었다.

  • PDF

치태형성과 혐기성 세균의 황화합물 생성에 대한 Lactobacillus salivarius의 억제효과 및 동정 (Identification and inhibiting effect of Lactobacillus salivarius the formation of plaque and the production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by anaerobic bacteria)

  • 김미형;선금주;안연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1-145
    • /
    • 2005
  • There are normal inhabitants doing medically useful functions in the body. There are many kinds of bacteria performing specific functions in the oral cavity. Two strains of lactic ad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normal inhabitants of children's oral cavity, which inhibited the production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by anaerobic bacteria. The authors identified the isolates by 16S rDNA partial sequencing. 1. Two isolates were Gram-positive bacilli and produced hydrogen peroxide. 2. When Streptococcus mutans was cultured in the media, the mean weight of formed artificial plaque on the orthodontic wires was $124.4{\pm}30.4$ mg, whereas being reduced to $5.2{\pm}2.0$ mg and $10.6{\pm}6.6$ mg in the media cultured with Streptococcus mutans and each isolate, respectively(p<0.05). 3. The number of viable cells of Streptococcus mutans was $3.4{\times}10^9$ per ml in the cultured solution, whereas those of Streptococcus mutans in the combined culture with each of isolates were $4.6{\times}10^8$ and $2.4{\times}10^8$ per ml. 4. The optical density was 1.286 in the supernatant of Fusoacterium nucleatum after vortexing for 30 minutes, whereas in the supernatant of combined Fusoacterium nucleatum and each isolate, they were reduced to 0.628 and 00497, which the percentages of coaggregation between them were 2904% and 57.8%, respectively. 5. The optical density of Fusoacterium nucleatum precipitate was 1.794 in the culture media containing cysteine and $FeSO_4$ being reduced to 1.144 and 0.915 in the coaggregated precipitates of Fusoacterium nucleatum and each isolate. 6. The similarity values of 16S rDNA sequence between each of isolates and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 were 99.60% and 99.73%, respectively, meaning that isolates were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wo strains isolated from children's saliva, which inhibited the formation of plaque and the production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

  • PDF

귀리추출물의 젖산발효에 의한 미생물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the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Oat Extract by Lactic-bacterial Fermentation)

  • 이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811-1814
    • /
    • 2009
  • 귀리추출물에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또는 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를 단일균주로 발효한 것에 비하여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와 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를 혼합하여 발효하는 경우에는 미생물균수와 산 생성이 증가하였다. pH의 변화에서도 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의 경우가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보다 더 낮은 pH를 나타내었으며,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와 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를 혼합하여 발효하는 경우에는 pH가 더 빠르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유를 원료로 한 요구르트의 경우처럼 귀리추출물의 젖산발효에서도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와 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의 두 균주 간에 생육촉진 현상이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는데 그 정도는 매우 적었다. 본 실험에서 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의 미생물균수와 산 생성이 더 증가한 반면 pH는 더 낮은 이유는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에 비하여 귀리추출물에 더 잘 적응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구기자(Lycium chinence Miller) 첨가에 따른 요구르트의 발효 특성과 기능성 (Fermentation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of Yogurt added with Lycium chinence Miller)

  • 배형철;조임식;남명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687-700
    • /
    • 2004
  • 요구르트의 제조 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첨가제로서 구기자, 구기엽 및 지골피를 기질로 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젖산균주에 따른 발효특성을 시험하였고, 각 부위를 첨가한 요구르트의 cholestol 저하 효과 및 병원성 균주의 성장 억제 효과를 시험하였다. 상업용 starter를 사용한 모든 처리구에서 발효 후 pH가 4.06 이하로 나타나 발효 촉진 효과가 있었고, 산 생성은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elbrueckii ssp. bulgaricus에서 높아 발효촉진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젖산균수는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elbrueckii ssp. bulgaricus를 이용한 구기자 extract 첨가구에서 9시간째 2.62${\times}$$10^9$ cfu/$m\ell$로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다. 유당분해율은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ilbrueckii ssp. bulgaricus를 이용한 구기자, 구기엽, 지골피 extract 처리구에서 36.11%, 37.76% 및 32.70%를 나타내어 높았고, 유기산 생성은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elbrueckii ssp. bulgaricus 균주를 stsrter로 사용한 요구르트의 경우에만 isobutylic acid가 34.39${\sim}$37.72 mM로 높은 유기산을 생성하였다. 점도는 L. acidophilus, B. longum과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를 starter로 사용하였을 때 1,615${\sim}$2,030 cP로서 모든 첨가구에서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고,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가 3.27${\sim}$3.44인데 비하여 구기자와 구기엽 extractffm 첨가한 요구르트의 관능검사 결과는 1.77${\sim}$2.58로서 상당히 낮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지골피 extract 첨가구에서 L. casei와 L. acidophilus. B. longum 및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를 starter로 사용한 요구르트 기호도의 경우는 3.34${\sim}$3.77로 나타나 기호성이 좋았다. 구기자, 구기엽 및 지골피 extract 첨가에 의한 cholesterol 저하 효과는 인체 유래의 각 젖산균과 상업용 starter 균주를 이용한 모든 처리구에서 17.38${\sim}$32.08%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 중 L. acidophilus KCTC315.와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BU27 젖산균은 25.75${\sim}$32.08%의 높은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보였다. 구기자, 구기엽 및 지골피 extract 첨가 요구르트의 식중독 유발 살모넬라 균주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는 S. typhimurium M-15 균주에서 약간의 억제 효과를 보였고, 설사와 식중독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장균 중 E. coli KCTC1021와 리스테리아증을 유발하는 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높은 성장 억제 효과를 보여 구기자, 구기엽, 지골피를 기질로 한 요구르트가 살모렐라, 대장균 및 리스테리아 유발 병원성 균주에 대한 탁월한 억제 효과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