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plantarum AF1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초

Lactobacillus plantarum AF1과 Lactobacillus plantarum HD1이 생성한 조항균 물질의 독성평가 (Oral Toxicity of Crude Antifungal Compounds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AF1 and Lactobacillus Plantarum HD1)

  • 장해춘;고상범;이재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11-522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ute and repeated-dose oral toxicity of crude antifungal compounds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AF1 (Lb. plantarum AF1) and Lactobacillus plantarum HD1 (Lb. plantarum HD1) in male and female Sprague Dawley rats. In the acute toxicity study, crude antifungal compounds (500, 1,000, and 2,000 mg/kg) did not reduce mortality or produce significant changes in general behaviors or the gross appearance of external and internal organs. In the repeated-dose toxicity study, crude antifungal compounds were administered orally to rats at doses of 500, 1,000, and 2,000 mg/kg daily for 28 days. There were no test-article-related deaths, abnormal clinical signs, or body weight changes. In addi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reated with crude antifungal compounds and the control group in their organ weight, hematological and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or any other fa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cute or repeated-dose oral administration of crude antifungal compounds produced by Lb. plantarum AF1 plus Lb. plantarum HD1 is not toxic in male and female rats.

Lactobacillus plantarum AF1와 Lactobacillus plantarum HD1이 생성한 조항균 물질의 유전학적 독성평가 (A Genotoxicological Safety Evaluation of Crude Antifungal Compounds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AF1 and Lactobacillus Plantarum HD1)

  • 장해춘;고상범;이재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33-645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enotoxicity of crude antifungal compounds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AF1 (L.plantarum AF1) and Lactobacillus plantarum HD1 (L. plantarum HD1) isolated from kimchi. The genetic toxicity of crude antifungal compounds was evaluated in bacterial reverse mutation in Salmonella and Escherichia spp., chromosome aberrations in Chinese hamster lung cells, and micronucleous formations in mice. In bacterial reversion assays with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1537, and WP2uvrA, crude antifungal compounds did not increase the number of revertant colonies in both the absence and presence of the 59 metabolic activation system. In the chromosome aberration test with Chinese hamster lung cells, crude antifungal compounds showed no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chromosome aberrations in the short-period test with/without the S9 mix or in the continuos test. In the in vivo mouse micronucleus assay, crude antifungal compounds showed no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polychromatic erythrocytes with micronuclei. The results show that crude antifungal compounds produced by L. plantarum AF1 and L. plantarum HD1 did not induce any genotoxicity.

김치로부터 항진균 활성 Lactobacillus plantarum의 분리 및 특성 규명 (Antifungal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ed from Kimchi)

  • 양은주;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6-284
    • /
    • 2008
  • 숙성된 김치로부터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 1종과 감수성을 나타내는 곰팡이 1종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 조사와 165 rRNA 염기서열 결정을 통한 균주 동정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AF1으로 명명하였고, 감수성 곰팡이는 ITS-5.8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Epicoccum nigrum KF-1으로 명명하였다. Dual culture overlay assay를 통한 Lb. plantarum AF1의 항진균 활성 실험 결과 A. ochraceus, A fumigatus, C. gossypiicola 등 식품 부패 곰팡이 및 병원성 곰팡이에 강한 생육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균 물질에 의한 항미생물 활성 범위를 측정한 결과 항진균 활성 외에도 식중독균주를 포함한 그람 양성 및 음성 세균들에 강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Lb. plantarum AF1은 넓은 항미생물 활성 범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Lb. plantarum AF1의 생육에 따른 항진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항진균 활성은 배양 20시간부터 최대 활성(3,200 AU/ml)을 나타내어 120시간까지 활성이 감소되지 않고 유지되었다. 항진균 물질의 안정성 실험을 통하여 AF1 항진균 물질은 산성의 pH(pH $3.0{\sim}4.0$)와 열에 안정한 물질이며, 단백분해효소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비단백질성 물질이거나 단백분해효소의 영향을 받지않는 구조의 물질임을 추정하였다. AF1 항진균 물질의 분자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Lb. plantarum AF1의 배양액을 3,000 Da 이상과 이하의 분획으로 나누어 항진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AF1 항진균 물질은 분자량 3,000 Da 미만의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 분리한 김치유산균인 Lb. plantarum AF1은 넓은 범위의 항진균 활성 및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강력한 천연 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김치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AF1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AF1 Isolated from Kimchi in Mice)

  • 이환;이재준;장해춘;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15-321
    • /
    • 2012
  • 본 연구는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및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는 $Lb.$ $plantarum$ AF1을 분리하여 이 균의 천연 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로서 사용 적합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단회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급성독성시험을 위하여 경구 혹은 복강으로 1회 시험물질을 최고 용량(경구: 5,000 mg/kg, 복강: 2,500 mg/kg)으로 하여 ICR계통 암 수 마우스에게 용량별 각 군당 10마리씩 투여한 후 14일간의 일반증상, 사망률, 체중, 임상증상 및 육안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단회 경구투여 혹은 복강주사한 후 모든 시험군에서 사망례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시험동물은 시험 종료 시까지 계속 생존하여 평균치사량을 산출할 수 없었다. 복강 혹은 경구투여한 후 마우스의 체중변화에 있어서도 암 수 모두 대조군과 시료물질 투여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용량 의존적인 차이도 볼 수 없었다. 경구구투여 혹은 복강주사 단회 투여한 후 시험 종료한 다음 생존동물 모두를 부검하여 주요 장기의 육안적 소견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과 시료투여군 모두에서 외관상이나 내부장기에 어떠한 이상소견이나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물질인 $Lb.$ $plantarum$ AF1는 경구투여 혹은 복강주사 시 ICR계통 암 수 마우스에서 독성학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LD_{50}$은 복강주사가 2,500 mg/kg, 경구투여가 5,000 mg/kg 이상인 저독성의 안전한 물질로 사료된다.

Lactobacillus plantarum AF1이 생성한 조항진균 물질의 흰쥐에 대한 반복투여독성 (Repeated-dose oral toxicity study of crude antifungal compounds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AF1 in rats)

  • 이환;이명렬;장해춘;이재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94-403
    • /
    • 2013
  • 본 연구는 김치산막효모억제 유산균인 Lb. plantarum AF1이 생산한 조항진균 물질 부분 정제물을 SD 계통의 흰쥐에게 4주간 반복 경구투여를 통하여 장기투여에 의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암 수 흰쥐에 Lb. plantarum AF1이 생산한 조항진균 물질 부분 정제물을 0, 500, 1,000 및 2,000 mg/kg/day의 용량으로 4주간 반복 경구투여한 후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사료섭취량, 수분섭취량, 부검소견, 장기무게 변화, 혈액학적, 혈액생화학적 및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시험군에서 전 시험기간 시험물질로 인한 임상증상 및 사망동물이 관찰되지 않았다. Lb. plantarum AF1이 생산한 조항진균 물질 부분 정제물의 경구투여 결과 체중이 4주간 지속적으로 증가되었지만 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변화가 없었다. 또한 장기의 육안적 관찰, 장기 중량변화, 혈액학적, 혈액생화학적 및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도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이 대조군과 유의성이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모두 정상 범위의 수치로 시험물질에 기인하는 이상 소견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 4주 반복투여 독성시험 결과Lb. plantarum AF1이 생산한 조항진균 물질 부분 정제물은 저독성의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AF1의 흰쥐에 대한 반복투여독성 (Repeated-Dose Oral Toxicity Study of Lactobacillus Plantarum AF1 Isolated from Kimchi in Rats)

  • 이재준;김아라;장해춘;이명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12-620
    • /
    • 2012
  • 본 연구는 항진균 및 항세균 활성이 있는 김치 유래 유산균인 $Lb.$ $plantarum$ AF1을 가지고 천연항균제로서 사용 적합성 및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Lb.$ $plantarum$ AF1을 SD 계통의 흰쥐에게 4주간 반복 경구투여를 통하여 장기투여에 의한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에 따라 실시하였다. SD 계열의 암수 흰쥐에 시험물질을 0, 500, 1,000 및 2,000 mg/kg/day의 용량으로 4주간 반복 경구투여한 후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사료 섭취량, 수분섭취량,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변화, 부검 소견 및 장기무게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모든 시험군에서 시험기간 시험물질로 인한 일반증상 및 사망동뮬이 관찰되지 않았다. 전 시험기간 동안 $Lb.$ $plantarum$ AF1의 4주간의 경구투여 결과 체중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었지만 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혈액학적, 혈액생화학적 검사, 장기의 육안적 관찰, 장기 중량변화 및 조직 병리학적 소견에서도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이 대조군과 유의성이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모두 정상 범위를 벗어나지 않아 시험물질에 기인하는 이상 소견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4주 반복투여 독성시험 결과 항진균 및 항세균 활성을 지닌 유산균인 $Lb.$ $plantarum$ AF1은 저독성 물질로 판정되었으며, 안전성 확인을 통하여 천연항균제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Lactobacillus plantarum AF1이 생성한 조항진균 물질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Crude Anti-fungal Compounds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AF1)

  • 손희경;이명렬;장해춘;이재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92-897
    • /
    • 2013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항진균 활성을 보이는 유산균인 Lactobacillus(Lb.) plantarum AF1이 생산하는 조항진균 물질의 부분 정제물이 천연 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로서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단회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급성독성시험을 위하여 경구로 1회 시험물질을 최고 용량(2,000 mg/kg)으로 하여 ICR계통 암수 마우스에게 용량별 각 군당 10 마리씩 투여한 후 14일간의 일반증상, 사망률, 체중, 임상증상 및 육안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단회 경구투여한 후 모든 시험군에서 사망례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시험동물은 시험 종료 시까지 계속 생존하여 평균치사량을 산출할 수 없었다. 경구투여한 후 마우스의 체중변화에 있어서도 암수 모두 대조군과 시료물질 투여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용량 의존적인 차이도 볼 수 없었다. 경구투여한 후 시험 종료한 다음 생존동물 모두를 부검하여 주요 장기의 육안적 소견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과 시료투여군 모두에서 외관상이나 내부 장기에 어떠한 이상소견이나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물질인 Lb. plantarum AF1이 생산한 조항진균 물질을 경구투여 시 ICR계통 암수 마우스에서 독성학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LD_{50}$은 경구투여 시 2,000 mg/kg 이상인 저독성의 안전한 물질로 사료된다.

Furyl furamide (AF-2)가 김치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EFFECT OF FURYL FURAMIDE (AF-2) ON KOREAN KIMCHI)

  • 정호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2권
    • /
    • pp.57-67
    • /
    • 1969
  • 1. Furyl furamide 가 여름철 김치세균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두가지 여름김치에서 분리(分離)한 세균 Bacillus group 과 Lactic acid bacteria중 Bac. megaterium, Bac. subtilis 그리고 Bac. licheniformis등이 발효 초기(初期)의 젓갈김치에 우세 하였고 국물김치에서는 Lact. plantarum 과 Lact. buhneri등이 시종(始終) 매우 우세하였다. 2. 김치에서 분리(分離)된 Bacillus group 은 10 p.p.m. 이하(以下)의 AF-2 저농도(低濃度)에서 대단히 민감(敏感)하게 억제되었으나 Lactic acid bacteria의 group은 50 p.p.m.의 고농도(高濃度)에서도 저항(抵抗)하고 있었다. 3. 김치의 AF-2 첨가허용농도(添加許容濃度)는 최고(最高) 10 p.p.m.을 넘지 않아야 할 것이다. 4. 김치에 첨가(添加)된 고농도(高濃度)(50 p.p.m.)의 AF-2는 김치 발효를 heterofermentation 에서 Homofermentation으로 변화(變化)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5. AF-2 10 p.p.m. 농도(濃度)의 김치에서 bacterial flora는 약간 영향(影響)을 받고 있었으나, 50 p.p.m.의 고농도(高濃度)에서도 하절(夏節)김치의 산패(酸敗)는 억제할수가 없었다. 6. $23^{\circ}{\sim}25^{\circ}C$ 상태의 김치발효액중(醱酵液中)의 AF-2 소장(消長)은 산성(酸性)에서 비교적(比較的) 안전(安全)하다고 하나 4 일후(日後)에 약(約) 25%가 감소(減少)되고 pH 변화곡선(變化曲線)과 거의 평행(平行)한 변화(變化)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