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pentosus K34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한국토종닭 소장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entosus K34가 생산하는 항균성 유기산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ntimicrobial Organic Acids Produced by lactobacillus pentosus K34 isolated from Small Intestines of Korean Native Chickens)

  • 이재연;황교열;김근;성수일;박영식;백만정;김경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1-246
    • /
    • 2002
  • 한국 토종닭의 작은창자로부터 살모넬라와 포도상구균치 성장 저해력이 우수한 7주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7주의 배양액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한 결과 저해활성의 변화가 없었다. Lactic acid 1.8 %에 의하여서는 Salmonella gallinarum의 성장저해환이 9 mm 나타났는데 , 대부분의 분리 유산균 배양액은 산도가 1.08∼l.8 %인데도 불구하고 성장 저해환이 10∼ll mm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유산균 배양액내에는 lactic acid이외의 다른 물질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GC-MSD를 이용하여 항균성이 우수한 L. pentosus K34 배양 액내의 생성된 유기산 metabolic profile을 조사한 결과 28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천연항균물질인 phenyllactic acid가 lactic acid, acetic acid와 더불어 높은 농도로. 생산되었다. Phenyllactic acid는 acetic acid, formic acid, lactic acid와 저해활성을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acetic acid, formic acid, lactic acid가 pH 5.0에서는 저해활성이 크게 감소함에 비하여 phenyllactic acid는 pH 5.0에서도 저해활성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Phenyllactic acid는 살모넬라, 포도상 구균에 대한 항균능력이 특이적으로 강력하게 나타났으며 효모, 곰팡이에 대한 항균활성은 매우 낮았다.

Organic Acid Profiling Analysis in Culture Media of Lactic Acid Bacteria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Lee, Jae-Yeon;Nguyen, Duc-Toan;Park, Young-Shik;Hwang, Kyo-Yeol;Cho, Yong-Seok;Kang, Kyung-Don;Yoon, Jae-Hwan;Yu, Jun-Dong;Yee, Sung-Tae;Ahn, Young-Hwan;Lee, Gwang;Seong, Su-Il;Paik, Man-Jeong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3권3호
    • /
    • pp.74-77
    • /
    • 2012
  • Organic acid (OA) profiling analysis was performed in culture media from Lactobacillus pentosus K34 (L. pentosus K34) and Pediococcus lolli PL24 (P. lolli PL24)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following methoxime/tert-butyldimethylsilyl derivatives. 12 OAs were positively identified in culture media. Most of OA levels from L. pentosus K34 of hetero lactic fermentation were found to be higher when compared with those from P. lolli PL24 of homo lactic fermentation, which may explain different OA metabolism in each strain. In addition, the distorted dodecagonal star patterns were readily distinguishab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rain were well represented.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the OA metabolic profiling method by GC-MS combined with star pattern recognition is useful for the monitoring study of characteristic OA metabolism in various microorganisms.

Bioconversion of Ginsenoside Rd into Compound K by Lactobacillus pentosus DC101 Isolated from Kimchi

  • Quan, Lin-Hu;Cheng, Le-Qin;Kim, Ho-Bin;Kim, Ju-Han;Son, Na-Ri;Kim, Se-Young;Jin, Hyun-O;Yang, Deok-Ch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288-295
    • /
    • 2010
  • Ginsenosides are the principal components responsible for the pharmacological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ginseng. Ginsenoside Rd was transformed into compound K using cell-free extracts of food microorganisms, with Lactobacillus pentosus DC101 isolated from kimchi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used for this conversion. The optimum time for the conversion was about 72 h at a constant pH of 7.0 and an optimum temperature of about $30^{\circ}C$. The transformation products were identified by thin-layer chromatography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their structures were assigned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alysis. Generally, ginsenoside Rd was converted into ginsenoside F2 by 36 h post-reaction. Consequently, over 97% of ginsenoside Rd was decomposed and converted into compound K by 72 h post-reaction. The bioconversion pathway to produce compound K is as follows: ginsenoside Rd$\rightarrow$ginsenoside F2$\rightarrow$compound K.

가축 소화기 병원성 세균을 저해하는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hibiting Gastro-intestinal Pathogenic Bacteria of Domestic Animal.)

  • 이재연;황교열;김현수;김근;성수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9-134
    • /
    • 2002
  • 토종닭 소장으로부터 가축 소화기 병원성 유해세균의 분리를 위하여 무작위 선별법과 중층-도말법을 사용하여 총130주의 유산균을 1차 분리하였다. 1차 분리한 130주를 paper disc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살모넬라 균, 포도상구균, 대장균에 대하여 저해능이 우수한 7주를 분리하였다. 분리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1차로 API CHL kit를 사용하였고, 동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2차로 16S rRNA sequenc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BD14 균주는 Pediococcus pentosaceus로 동정되었으며 나머지 6주는 Lactobacillus sp.로 동정되어 모두 안전성 있는 유산균임을 확인하였다. 여러 병원균에 가장 항균력이 큰 유산균은 L. pentosus K34이었으며, 이 유산균은 염산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에서도 가장 우수한 균주로 나타났다. 10종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ciprofloxacin에 대하여 모든 균주가 내성을 보였고, BL 균주를 제외하고 모든 균주가 colistin, streptomycin에 대하여 내성을 보였다. 또한 BD14, BD16, K34 균주가 gentamicin에 대한 내성을 보였다.

Lactobacillus pentosus 발효에 의한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항산화 및 세포보호 효과 (Antioxidant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tem Extracts Fermented by Lactobacillus pentosus)

  • 박소현;성준섭;이건수;박영민;현송화;차미연;강희철;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55-26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담쟁이덩굴 줄기 70% 에탄올 추출물과 발효균주 Lactobacillus pentosu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담쟁이덩굴 줄기 발효추출물에 대하여 항산화 및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를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FSC_{50}$)은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이 각각 42.3 및 $34.5{\mu}g/mL$로 발효 후의 라디칼 소거활성이 약 18.4% 더 높게 나타났다. Lumi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의 총 항산화능($OSC_{50}$) 평가에서도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은 각각 2.6 및 $2.5{\mu}g/mL$로 발효 후가 약 4.2% 정도 더 높은 총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1O_2$로 유도된 적혈구 세포 손상에 있어서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tau}_{50}$)는 $50{\mu}g/mL$에서 각각 126.4 및 173.0 min을 나타내어 발효 후 세포 보호 효과가 약 34.0% 더 높게 나타났다. 발효추출물은 지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alpha}$-tocopherol (43.4 min)보다도 3.9배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보여주었다. 사람 섬유아세포인 Hs68을 대상으로 elastase 저해 활성을 조사하였다. Elastase 저해 활성($IC_{50}$)은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과 발효추출물에서 각각 873.6 및 $687.8{\mu}g/mL$로 발효 후에 elastase 저해 활성이 약 21.3%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담쟁이덩굴 줄기 발효추출물이 항산화 작용과 더불어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써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차세대식품(스피룰리나의 발효)연구와 기조인식 및 건강증진 개선방안 (The presentation of Future food(Spirulina and fermentation) and initialing ceremony and remedial measures to enhance health)

  • 진정식;박정환;신병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3-114
    • /
    • 2011
  • 차세대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는 스피룰리나의 항균성 유산균(Probiotics: Lactobacillus Pentosus)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항균성 발효스피룰리나의 국민건강증진 방편으로 이를 이용, 소비자 및 수요자의 접근을 용의하기위하며, 주 소비층인 환자, 노약자, 임산부, 어린이층의 Target content의 개발과 발효스피룰리나에 대한 시험결과 즉, 2010년 3월 락토바실러스 펜토수스 K34를 이용해 발효한 결과 발효공정을 통해 락트산; 아세트산; 구연산; 숙신산등의 유기산이 적어도 3종 이상 생성되었으며, 단백질 함량은 10% 이하로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탄수화물의 거의 분해되어 락트산 및 프로피온산 등의 유기산으로 변화됨에 따라, 개발된 새로운 식품원료의 다양한 식품개발은 건강증진을 위해 소비수요층의 용의한 접근의 한 방편으로, 만화나 일러스트레이션을 이용한 접근을 통한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

  • PDF

발효 애엽(艾葉) 추출물이 인간 간암세포주 HepG2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Artemisiae Argyi Folium on Human Hepatoma Cell Line HepG2 Activity)

  • 한효상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07-113
    • /
    • 2013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mented Artemisiae Argyi Folium(AAF) on some activities of human hepatoma cell, HepG2. Method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mented Artemisiae Argyi Folium(AAF) activity on the human hepatoma cells, AAF extracts was fermented by Lactobacillus pentosus K34(AFL) and Sacchromyces cerevisiae STV89(AFS). And the effects of AFL or AFS on the activities of HepG2 cell, such as cell viability, nitric oxide(NO) produc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ROS) production, were tested. Result : Human Hepatoma Cells were incubated each for 3 hours and 24 hours. Human Hepatoma Cells treated with the extract was measured with MTT assay. Then AFL was found to be non-toxic at concentrations of 10 ug/mL(3h), 100 ug/mL(24h) or more. AFS was the same result at concentrations of more than 10 ug/mL. The extract increased ROS generation in Human Hepatoma Cells. AFL increased at concentrations of 100 ug/mL more (3h, also 10 ug/mL more) and 50 ug/mL(24h) and AFS increased both 50 ug/mL. In point of NO generation, AFL inhibited at concentrations of 10 ug/mL(3h) and 100 ug/mL(24h) more (3h, also 10 ug/mL more) and AFS also inhibited 50 ug/mL or more. Conclusion : AFL and AFS, obtained from Artemisiae Argyi Folium extracts by fermentation, reduced the NO production and increased ROS production in HepG2 cell, without cytotoxicity on HepG2 cell. The results suggested that AFL and AFS increased the immunological effects of Artemisiae Argyi Folium ex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