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acidophilus probiotic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9초

유용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유산균의 분리와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 홍성욱;배효주;장진희;김소영;최은영;박범영;정건섭;오미화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153-159
    • /
    • 2013
  • 유아 분변, 우분, 염소 분변, 개 분변, 돼지 분변, vaginal tract 채취물, 채소류, 부패한 과일류, 김치, 젓갈, 발효 소세지, 원유, 치즈, 발효유, 청국장, 메주, 막걸리 등 다양한 시료로부터 3,000주의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미생물은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S. enterica serovar Enteritidis에 대해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박테리오신 생산 미생물 26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16S rDNA gene sequencing 분석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Enterococcus faecalis(7주), E. faecium(8주), E. hirae(5주), Lactobacillus acidophilus(1주), L. amylovorus(1주), L. curvatus(2주), L. plantarum(1주), Pediococcus acidilactici(1주)와 같이 8종의 미생물이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생물이 생산한 박테리오신은 대부분이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성 물질이어서 인간 또는 동물의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므로 식품에서 안전한 천연보존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roduction of Ready-to-Reconstitute Functional Beverages by Utilizing Whey Protein Hydrolysates and Probiotics

  • Kumar, Sabbini Kalyan;Jayaprakasha, Heddur Manjappa;Paik, Hyun-Dong;Kim, Soo-Ki;Han, Song-Ee;Jeong, A-Ram;Yoon, Yoh-Ch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75-581
    • /
    • 2010
  • This investigation was aimed at developing a ready-to-reconstitute beverage by utilizing probiotics and whey protein hydrolysates carrying bioactive peptides. Cheddar cheese whey was ultrafiltered. The 18% protein retentate was subjected to protein hydrolysis using Neutrase. The hydrolyzed retentate was further condensed to 35% total solids and spray-dried at $75^{\circ}C$ outlet air temperature. Different levels of sugar, citric acid and stabilizer were blended for spray-dried hydrolysates. Spray-dried hydrolysate was further inoculated with different levels of probiotics grown in a whey medium and dried in fluidized-bed drier at $40^{\circ}C$ to obtain a ready-to-reconstitute beverage. Hydrolysis was greatest at an enzyme:substrate ratio of 1:25 for 3 h. Spray-dried hydrolysate reconstituted to 1% protein and blended with 15% sugar, 0.2% citric acid and 0.15% xantham gum resulted in a superior product with no sedimentation. Accordingly, sugar, citric acid and xanthum gum were dry-blended with spray-dried hydrolysates. Bifidobacterium bifidum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that was grown separately in a whey medium, blended to produce 2% spray-dried hydrolysate and dried as described above resulted in a readyto-reconstitute beverage mix. The fluidized dried product typically exhibited a probiotic count of $10^8$colony forming units (CFU)/g. However, blending of probiotic to the retentate and direct spray-drying precipitously reduced the probiotic count to $10^4$ CFU/g of powder.

복합 생균제 첨가가 육계 생산성, 유해가스 발생량 및 맹장내 균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biotic on Performance, Noxious Gas Emission and Microflora Population on the Cecum in Broiler)

  • 고영두;신재형;김삼철;김영민;박기동;김재황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559-568
    • /
    • 2003
  • 본 연구는 유산균류 2종(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에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곰팡이 2종(Trichoderma, Rhizopus) 및 일반세균류 2종(Bacillus subitilis, Pseudomonas putida)이 혼합된 복합생균제를 육계사료에 0.1%, 0.3% 및 0.5% 수준으로 첨가하여 급여하였을 때 생산성, 영양소소화율, 유해가스 발생량 및 장내균총에 미치는 효과와 적정 첨가 수준을 구명하기 위하여 4처리, 3반복, 반복당 10씩 총 120수 공시하여 5주간의 사양시험과 5일간의 소화시험을 실시하였다. 3${\sim}$4주령의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은 생균제 0.1%와 0.3% 첨가구가 대조구와 생균제 0.5% 첨가구에 비하여 개선되었다(p<0.05). 5${\sim}$6주령의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은 생균제 0.3%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었다(p<0.05). 사양시험 전기간(2${\sim}$6주)의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은 생균제 0.1%와 0.3% 첨가구가 대조구와 생균제 0.5% 첨가구에 비해 높았다(p<0.05). 건물소화율은 생균제 0.3% 첨가구가 대조구와 생균제 0.5% 첨가구에 비해 높았다(p<0.05). 6주령의 $NH_3$가스와 $H_2S$가스는 생균제를 첨가함으로써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p<0.05)하였으나, 4주령에는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차는 없었다. 맹장내 Lactobacillus sp.는 생균제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증가되었으나, Coliforms은 생균제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증체량, 사료요구율, 영양소 소화율, NH3와 H2S 발생량 및 맹장내 균총은 복합생균제를 0.1${\sim}$0.3% 수준으로 첨가하여 급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장내 상피세포 점막 투과성에 대한 유산균 및 금은화의 효과 (In Vitro Profiling of Bacterial Influence and Herbal Applications of Lonicerae Flos on the Permeability of Intestinal Epithelial Cells)

  • 이신지;이명종;정지은;김호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881-887
    • /
    • 2012
  • 유산균과 금은화, 발효 금은화는 장누수 증후군과 연관된 장 상피세포 점막 투과성 감소에 대하여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유산균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방법과 유산균을 이용해 발효시킨 금은화를 증가된 장 투과성 및 장내미생물 불균형으로 인한 장누수 증후군과 관련된 일련의 증상들을 치료하고 면역관련 질환 및 만성 염증성 질환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앞으로의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on the Performance of Male Crossbred Calves Fed Roughage Based Diet

  • Ramaswami, N.;Chaudhary, L.C.;Agarwal, N.;Kamra, D.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8호
    • /
    • pp.1110-1115
    • /
    • 2005
  • To study the effect of feeding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on the performance of cattle calves, twenty four, day old male crossbred cattle calves (Bos indicus${\times}$Bos taurus), were distributed into two groups of 12 animals each. The animals were fed on calf starter containing wheat bran and green berseem ad libitum and milk as per requirement upto 8 weeks of age. The diet of calves of Group 2 was supplemented with 500 ml cul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15. Total duration of the experiment was 31 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ake and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neutral detergent fibre (NDF), acid detergent fibre (ADF) and crude protein (CP) between the groups. The rumen pH, protozoa numbers, concentration of volatile fatty acids (VFA), ammonia nitrogen ($NH_3-N$), trichloroacetic acid precipitable nitrogen (TCA-ppt N) and activity of microbial enzymes (carboxymethylcellulase, xylanase, amylase and protease) were not affected due to probiotic supplementation. Average live weight gain of the calves was improved (about 10%) and feed:gain ratio was reduced (about 5%) in the animals given Lactobacillus culture. The data indicated that crossbred calves could be reared on a diet devoid of cereal grain and addition of Lactobacillus culture in the diet resulted in an added advantage in growth performance of the animals.

3T3-L1 전지방세포에서 발효 삼정환의 지방 분화 억제 효과 (Effect of Probiotics-Fermented Samjunghwan on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 송미영;;김호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3T3-L1 전지방세포를 이용하여 발효 삼정환의 지방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삼정환을 5가지 주요 유산균으로 각각 발효시킨 후, Oil Red O 염색법으로 지방세포 분화 억제 여부를 알아보고, 이의 기전을 알기 위해서 지방생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transcription factor 및 지질 조절 효소의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하여 보았다. Oil Red O 염색 분석에서는 Lactobacillus plantarum, Enterococcus faecium으로 발효한 삼정환에서 지방구 수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ranscription factor로 $C/EPB{\alpha}$, $PPAR{\gamma}$, UCP-2 및 콜레스테롤 조절과 관련된 효소인 HMG-CoA reductase의 4가지 유전자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는데, 발효시키지 않은 삼정환의 경우 농도가 $100{\mu}L/mL$ 이상일 때 네 가지 항목에서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발효시켰을 때는 유산균의 종류에 따라 효과 억제효과가 있었는데,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삼정환이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삼정환은 동일 농도의 발효하지 않은 삼정환과 비교했을 때, Oil Red O 실험에서 염색된 지방구 수가 더욱 감소하였으며, $PPAR{\gamma}$, UCP-2, HMG-CoA reductase의 경우 농도가 $200{\mu}L/mL$일 때 각각 35%, 57%, 54%로 5가지 발효 삼정환 중 가장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이에 지방분화 억제 효과를 가진 삼정환을 발효시키면 그 효과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삼정환은 $PPAR{\gamma}$, UCP-2, HMG-CoA reductase의 유전자 발현조절을 통해 지방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발효 삼정환은 항비만 혹은 항고지혈증 약물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한 야콘 추출물의 비피더스균에 대한 잠재적인 프리바이오틱 효과 (Potential prebiotic effects of yacon extract, a source of fructooligosaccharides, on Bifidobacterium strains)

  • 김수정;손황배;권빈;박명수;홍수영;남정환;서종택;이종남;김기덕;장동칠;김율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49-15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야콘 덩이뿌리 추출물이 프로바이오틱스인 비피더스균과 락토바실러스균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야콘의 당함량을 HPLC로 분석한 결과, 생체 중 100 g 당프락토올리고당 함량이 7.60 g으로 가장 많았으며, 유리당은 수크로스가 0.72 g, 프럭토스 0.34 g, 글루코스 0.26 g 순의 함량을 보였다. 야콘 추출물이 장내 유산균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락토바실러스 3종(L. acidophilus AD031, L. plantarum BH02 and L. fermentum BH03)과 비피더스 3종(B. bifidum BGN4, B. longum BORI, B. lactis AD011) 등 6종을 대상으로 대조군과 야콘처리군 배지에서 유산균의 생장속도를 비교하였다. 락토바실러스 3종의 균주들은 대조군과 야콘처리군에서 대수기에 도달하는 시간이 비슷하였고, 생균수에서도 비슷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비피더스 3종의 경우 야콘처리군에서 모두 생장이 증가되었고, 특히, B. longum BORI 균주는 배양 10시간 이후부터 대조군과의 확연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야콘 추출물은 장내 유익균 중에서도 비피더스균에 특이적인 증식 효과를 보이며, 야콘의 프락토올리고당이 비피더스균 증식에 적합한 영양원임을 확인하였다.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인삼 제조 및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product of Ginseng by Lactic Acid Bacteria (FGL))

  • 박수진;김동현;백남수;김성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88-94
    • /
    • 2006
  • 인삼과 유산균은 각각 면역 활성, 생리기능조절 등 생체 효용성을 인정받고 있는 가능성 식품소재이다. 따라서 유산균을 이용한 인삼 발효물은 두 소재의 장점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유산균을 이용하여 인삼 발효물을 제조하고 생균수, pH 및 산도 등을 조사하여 인삼 발효물 제조에 적합한 최적의 유산균주를 선정하고 인삼의 발효공정을 확립하였다. 27종의 유산균 중 인삼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육이 촉진되는 유산균은 Lac.plantarum MG208, Lac.casei Mg311, Lac.rhamnosus, MG315, Lac.acidophilus MG501, Lac.acidophilus MG501C, Lac.reuteri MG505, Lac.fermentum MG590, Bif.longum MG723 등 8종이었다. 특히, Lac.plantarum MG208이 5% 홍삼배지에 배양했을 때 가장 생육이 촉진되는 균주였다. 발효 전 배지 pH를 6.8로 동일하게 보정하였을 때 최종 인삼발효물의 pH는 유의하게 낮아졌고($pH3.45{\sim}4.83$), 특히, 홍삼농도가 높을수록 pH는 더 낮았다($pH3.42{\sim}4.30$). 이와 유사하게 백삼 및 홍삼 발효제조물의 적정산도는 약 10배정도 증가했고, 적정산도 증가율이 가장 높은 균종은 Lac.plantarum MG208, Lac.acidophilus MG501, 및 Bif.longum MG723이었으며, 발효 후 적정산도는 백삼보다 홍삼을 첨가한 경우 좀 더 높았다. 이와같이 여러 가지 유산균주를 이용하여 인삼 발효물을 제조한 결과 생균수와 유산균 발효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pH 및 적정산도 유도면에서 발효인삼 제조에 가장 적합한 유산균주는 Lac.plantarum MG208이며 인삼첨가농도는 1-5%, 배양시간은 48시간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인삼의 유산균 발효물의 생리활성 효능은 앞으로 추가연구를 통하여 검증되어야 하며 그 유용성에 대한 고찰 및 검토가 필요하다.

유산균과 Bifidobacterium longum을 혼합균으로 사용한 Flour Sourdough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Flour Sourdough using Mixed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um longum as Starters)

  • 채동진;이광석;장기효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43-750
    • /
    • 2010
  • The influence of various fermenting conditions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alone (Control, Single) and in combination with mixed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Combined 1, Mixed, Combined 2), including Bifidobacterium longum, Enterococcus faecium,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on flour sourdough preparation was examined. For the Combined 2 method, starters were incubated separately for 15 h, combined, and then further incubated for 10 h. Fermentation using Combined 2 improved the growth of mixed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but inhibited that of S. cerevisiae. This was also reflected in the extent of the pH reduction in sourdough produced in the Combined 2 step by these organisms. Among biochemical activities, $CO_2$ production and titratable acidity were increased by Combined 2, although the viable yeast counts were decreased. Aroma compounds in sourdough markedly varied according to fermentation condition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ymptomatic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in Children: Conditions as Infection Risks and Whether Probiotics Is Effective

  • Na, Jae Yoon;Park, Jong Mo;Lee, Kyung Suk;Kang, Jung Oak;Oh, Sung Hee;Kim, Yong Joo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7권4호
    • /
    • pp.232-238
    • /
    • 2014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inical presentations of symptomatic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CDI) in children.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43 children aged <20 years who showed either positive C. difficile culture or C. difficile toxin test results between June 2010 and April 2014. Results: Of the 43 patients (mean age 6.7 years), 22 were boys. Sixteen patients (37.2%) showed both positive C. difficile culture and toxin test results. Seventeen out of 43 children (39.5%) had preexisting gastrointestinal diseases, and 26 children had other medical conditions that were risk factors for CDI. Twenty-eight children had a history of antibiotic treatment for >3 days, and the most frequently prescribed antibiotic was amoxicillin-clavulanate (35.7%). Twenty-eight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CDI despite taking probiotic supplements, most commonly Lactobacillus acidophilus (53.6%). The most common symptom was diarrhea (72.1%) at the time CDI was diagnosed. C. difficile was eradicated in 11 patients (25.6%) after treatment with oral metronidazole for 10-14 days, and in the two patients (4.6%) who required two courses of oral metronidazole. Sixteen patients (37.2%) showed clinical improvement without any treatment.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variou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DI in children and that preexisting clinical conditions favored the development of CDI. In addition, CDI was found to occur in a number of patients even after probiotic prophylaxis given in conjunction with antibiotic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