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Fermentation

검색결과 963건 처리시간 0.03초

김치에서 분리한 Pediococcus 의 미생물 생육 저해 (Microbial Inhibition by an Isolate of Pediococcus from Kimchi)

  • 박연희;조도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2호
    • /
    • pp.207-211
    • /
    • 1986
  • 김치 발효 경과에 따라 젖산균을 분리하여 E. coli와 Streptococcus faecalis, Lactobacillus bulgaricus에 대해 생육 저해능력이 있는 균주를 screening하였다. 젖산균중 생육 저해균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 이들은 2주의 발효기간 중 중기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대부분 Pediococcus cerevisiae로 동정하였다. 이 P. cerevisiae의 생육억제 작용은 열에 불안정하고 단백분해 효소의 작용을 받지 않는 물질에 의한 것이며 이 물질은 배지의 pH를 중성으로 유지했을 때는 산성인 경우보다 생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젖산균 첨가가 김치의 비취발성 유기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the KimChi by Lactic Acid Bacteria)

  • 현인환;김광수;정낙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1-148
    • /
    • 1990
  • This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the KimChi by lactic acid bacteria. The organism isolated from KimChi, Pediococcus dextrinicus,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actobacillus brevis, were inoculated for preparation of KimChi. pH of all on the KimChi sample dropped sharply according as fermentation continued. pH of on optimum ripening period KimChi(4.4 and 4.2) reached 1.3 and 1.9 day at all on sample, respectively. Optimum acidity(0.5%) of KimChi were reached within 2 day all on sample. The total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reached 1.0X107cells/ml in 1 day and decreased slowly after 4 day. Main non-volatile organic acids were identified lactic, malic and succinic acid. The sensory score of mixed lactic acid bacteria inoculated KimChi was better than that of another KimChi.

  • PDF

Genome analysis of Limosilactobacillus fermentum JN2019 applied to tumeric fermentation for animal feed

  • Yoo, Heeseop;Yong, Cheng Chung;Oh, Sejo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5호
    • /
    • pp.1204-1206
    • /
    • 2021
  • Limosilactobacillus fermentum JN2019, formerly named Lactobacillus fermentum JN2019, was isolated from kimchi. Its genome was completely sequenced using the PacBio RSII sequencing system to explore beneficial phenotypes. In a previous study, L. fermentum JN2019 was used to ferment the by-product of tumeric for use in livestock feed. The 2.3 Mb genome had a high guanine (G) + cytosine (C) content of 50.6% and a 30 kb plasmid. The data will inform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JN2019 and provide insights for potential applications.

3T3-L1 전지방세포에서 발효 삼정환의 지방 분화 억제 효과 (Effect of Probiotics-Fermented Samjunghwan on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 송미영;;김호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3T3-L1 전지방세포를 이용하여 발효 삼정환의 지방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삼정환을 5가지 주요 유산균으로 각각 발효시킨 후, Oil Red O 염색법으로 지방세포 분화 억제 여부를 알아보고, 이의 기전을 알기 위해서 지방생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transcription factor 및 지질 조절 효소의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하여 보았다. Oil Red O 염색 분석에서는 Lactobacillus plantarum, Enterococcus faecium으로 발효한 삼정환에서 지방구 수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ranscription factor로 $C/EPB{\alpha}$, $PPAR{\gamma}$, UCP-2 및 콜레스테롤 조절과 관련된 효소인 HMG-CoA reductase의 4가지 유전자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는데, 발효시키지 않은 삼정환의 경우 농도가 $100{\mu}L/mL$ 이상일 때 네 가지 항목에서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발효시켰을 때는 유산균의 종류에 따라 효과 억제효과가 있었는데,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삼정환이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삼정환은 동일 농도의 발효하지 않은 삼정환과 비교했을 때, Oil Red O 실험에서 염색된 지방구 수가 더욱 감소하였으며, $PPAR{\gamma}$, UCP-2, HMG-CoA reductase의 경우 농도가 $200{\mu}L/mL$일 때 각각 35%, 57%, 54%로 5가지 발효 삼정환 중 가장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이에 지방분화 억제 효과를 가진 삼정환을 발효시키면 그 효과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삼정환은 $PPAR{\gamma}$, UCP-2, HMG-CoA reductase의 유전자 발현조절을 통해 지방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발효 삼정환은 항비만 혹은 항고지혈증 약물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robiotics의 병원성미생물에 대한 길항적 억제효과 (Antagonistic inhibitory effects of probiotics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vitro)

  • 육영삼;이영기;김가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110-116
    • /
    • 2019
  • Probiotics와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간의 혼합배양에서의 길항적 억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국내 김치로부터 다양한 probiotics 균주를 분리하여 16S rRNA sequencing을 통한 계통학적 분석을 통해 140주의 프로바이오틱스를 동정하였다. 이중 항균력이 우수한 probiotics 4종(Enterococcus faecali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hamnosus, and Lactobacillus reuteri )과 병원성 미생물 6종 (Candida albicans, Salmonella Enteritidis, E. coli O157:H7, Shigella flexneri, Staphylococcus aureus, and Pseudomonas aeruginosa)간의 혼합배양에서의 길항적 억제시험에서 probiotics 균주들은 대부분 배양 후에 균수가 정상적으로 크게 증가했지만 C. albicans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병원성미생물들은 S. Enteritidis 를 제외하고 거의 완전하게 성장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in vitro 에서의 길항적 억제효과는 생성된 젖산과 유기산등의 낮은 pH에 의한 효과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한국 김치에서 분리된 probiotics 균주 4종은 여성질염, 대장 및 피부관리 관련 치료제로써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이러한 치료제는 probiotics 관련 국민건강 및 보건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유산균을 이용한 전통안동식혜의 제조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Traditional Andong sikhe with Lactic Acid Bacteria)

  • 최청;손규목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59-270
    • /
    • 1992
  • 국민소득과 문화수준의 향상에 따라 식생활 양식이 변화되어 가정에서의 안동식혜제조는 점차 사라져 가고 있다. 그러므로 전통안동식혜의 제조법을 계승보존하고 제조공정 및 상품성을 높여 보다 우수한 가공식품으로 개발할 목적으로 안동식혜로부터 분리 선발한 균주와 종균협회에서 분양받은 젖산균들을 첨가하여 안동식혜를 제조하였다. 안동식혜의 숙성과정 중 성분분석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가장 우수한 L. delbreuckii를 선발하였다. 안동식혜에서 분리한 균은 초기에는 Lactobacillus의 간균이 많았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Streptococcus의 구균이 많았다. 숙성기간동안 일반성분의 변화는 조단백질의 함량은 주발효 기간인 4일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로는 차차 감소하였고 pH는 급격히 감소하여 2일째 4.20이었으며 총산은 2일째 0.38이었으며 그 후 조금씩 증가하였다. 총당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유리당의 조성은 maltose를 포함하여 6종류였으며 또한 미확인 물질도 1개 검출되었다. Maltose의 함량은 4일까지 증가하여 76.4%였으나 그 후로는 감소하였다. 아미노태질소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2일째 38.5mg%였으며 이며 식혜의 맛이 가장 좋았다. 암모니아태질소와 수용성 및 염용성 단백질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proline 및 aspartic acid였으며 methionine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나 lysine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수용성 및 염용해성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glutarmic acid 및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염용해성 단백질의 경우 arginine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지방산의 조성은 linoleic acid 및 oleic acid가 주요지방산으로 총지방산의 90%이상을 차지하였으며 palmitic acid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효소의 활성은 acid protease와 liquefying amylase는 숙성 4일째, saccharogenic amylase 와 lipase는 숙성 2일째 가장 높았다.

  • PDF

전통장류로부터 분리한 발효미생물을 이용한 꾸지뽕 열매 발효물의 특성 및 장류제품 개발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 (Cudrania tricuspidata) fruits produced using microbes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 and development of fermented soybean food)

  • 이은실;조승화;임은정;김윤순;박해석;김명곤;조성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66-877
    • /
    • 2014
  •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한 발효능이 우수한 미생물과 기능성이 밝혀진 농특산 향토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기능성 장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꾸지뽕 열매를 A. oryzae koji, Lactobacillus 6종 및 Bacillus 2종에 대하여 발효시킨 결과, B. licheniformis SCDB 1234 균주가 kaempferol 함량을 $9.54{\mu}g/g$에서 $217.04{\mu}g/g$을 약 22배 증강시켜 최종 발효균주로 선발되었다. 꾸지뽕 열매를 선발균주를 활용하여 발효한 발효물 20배 희석액의 DPPH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인 BHA, BHT의 92~99 ppm 농도와 유사한 활성을 보였고, tyrosinase 저해 활성도 arbutin이나 kojic acid의 95 ppm과 90 ppm과 같은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꾸지뽕 열매 발효물을 첨가한 된장을 개발하여 유기산, 유리당 및 유리 아미노산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꾸지뽕 열매 발효물을 첨가하지 않은 장류와 유의적인 차이점을 보이진 않았다. 꾸지뽕 열매 발효물과 개발한 된장의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발효물의 경우에는 발효전보다 발효후에 더 높은 80% 이상의 높은 저해능을 보여주었다. 개발한 된장은 숙성전 된장이 숙성후 된장에 비해 더 높은 저해능을 보여주었다. 항당뇨 효과로 AGI활성을 분석한 결과, 꾸지뽕 열매는 발효전보다 발효후에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고, 꾸지뽕 열매 발효액 10%를 첨가한 숙성전 된장의 AGI활성은 $84.89{\pm}0.08%$, 숙성후 된장은 $91.25{\pm}0.04%$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꾸지뽕 열매의 발효물의 생리활성 및 항산화 활성은 발효를 통하여 상승함을 보여주었고, 새로운 건강기능성 식품 개발에 활용가능성이 높은 잠재적 소재임을 보여준다.

증숙 발효 공정에 의한 파삼의 진세노사이드 전환 수율 증진 (Enhancement of Ginsenosides Conversion Yield by Steaming and Fermentation Process in Low Quality Fresh Ginseng)

  • 최운용;임혜원;최근표;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3-230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nhance contents of low molecular ginsenoside using steaming and fermentation process in low quality fresh ginseng. For increase in contents of Rg2, Rg3, Rh2 and CK in low quality fresh ginseng, a steaming process was applied at $90^{\circ}C$ for 12 hr which was followed by fermentation process at Lactobacillus rhamnosus HK-9 incubated at $36^{\circ}C$ for 72 h. The contents of ginsenoside Rg1, Rb1, Rc, Re and Rd were decreased with the steaming associated with fermentation process but ginsenoside Rg2, Rg3, Rh2 and CK increased after process. It was found that under the steaming associated with fermentation process, low molecule ginsenosides such as Rg2, Rg3, Rh2 and CK were increased as 3.231 mg/g, 2.585 mg/g and 1.955 m/g and 2.478 mg/g, respectively. In addition, concentration of benzo[${\alpha}$]pyrene in extracts of the low quality fresh ginseng treated by the complex process was 0.11 ppm but it was 0.22 ppm when it was treated with the steaming process. This result could be caused by that the most efficiently breakdown of 1,2-glucoside and 1,4-glucoside linkage to backbone of ginsenosides by steaming associated with fermentation process. This results indicate that steaming process and fermenration process can increase in contents of Rg2, Rg3, Rh2 and CK in low quality fresh ginseng.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Cellulases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 and Chemical Composition of Rhodesgrass (Chloris gayana Kunth.) and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Silages

  • Ridla, M.;Uchid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4호
    • /
    • pp.525-530
    • /
    • 1999
  • Prior to ensiling Rhodesgrass (RG) and Italian ryegrass (lRG) were tre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LAB) or with LAB+cellulases to compare their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s. LAB (Lactobacillus casei) was added to all ensiling materials (except the untreated control) of RG and IRG at a concentration of $1.0{\times}10^5\;cfu.g^{-1}$ fresh forage. The enzymes used were Acremoniumcellulase (A), Meicelase (M) or a mixture of both (AM). Each enzyme was applied at levels of 0.005, 0.01 and 0.02 % of fresh forage. The silages with each treatment were incubated at 20, 30 and $40^{\circ}C$ and stored for about 2 months. While no marked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RG and IRG silages with various treatments on dry matter (DM),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nd water soluble carbohydrate (WSC) cont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value, and lactic acid and butyric acid contents. LAB inoculation did not affect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either the RG or IRG silages. The combined treatments of LAB+cellulases improved the fermentation quality of both the RG and IRG silages as evidenced by the decrease in pH value and increase in lactic acid content. Increasing the amount of added cellulase resulted in a decrease in pH value and an increase in lactic acid content in both the RG and IRG silages. Cellulases A and AM had a greater effect than cellulase M on the fermentation quality of the RG and IRG silages. Incubation temperatures of 30 and $40^{\circ}C$ appeared to be more appropriate environments for stimulating good fermentation than $20^{\circ}C$.

쌀의 젖산발효 및 발효중 전분가수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품질 향상 (Lactic Acid Fermentation of Rice and Quality Improvement by Amylolytic Enzyme Treatment during Fermentation)

  • 목철균;한진숙;김영진;김남수;권대영;남영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39-744
    • /
    • 1991
  • 호화시킨 쌀을 액 당화한 후 젖산발효하고 균질화하여 호상 쌀젖산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발효시 ${\alpha}$-아밀라제와 글루코아밀라제를 각각 0.02%수준으로 처리하여 2차 당화와 동시에 발효를 진행함으로써 쌀젖산발효물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들 효소처리에 의하여 쌀젖산발효물의 신맛과 단맛이 증대되었으며 꺼끌꺼끌한 촉감을 주는 불용성 고형물 입자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쌀젖산 발효물의 관능적 품질은 매우 양호하였으며 기호도가 높았다. 최적화된 공정에 의거하여 제조된 쌀젖산발효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