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Fermentation

검색결과 963건 처리시간 0.023초

갓김치 숙성 중의 무기질, 색소, 조직, 관능 및 미생물군의 변화 (Changes in Mineral, Pigment, Texture, Sensory Score and Microflora during Fermentation of Gat(Leaf Mustard)-Kimchi)

  • 박석규;전순실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1-138
    • /
    • 1995
  • In order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Gat-Kimchi, a salted and fermented lear mustard, changes in mineral, pigment, texture, sensory score and microflora during fermentation at 5$\pm$2$^{\circ}C$ were investigated. Changes in mineral, including iron, calcium and potassium were obviously shown and their contents were markedly decreased after 14 days of fermentation. Contents of total chlorophyll and carotenoid were slowly decreased after 6 and 10 days of fermentation, respectively and ratios of chlorophyll a/b were not changed and similar to those of other cruciferous vegetable Kimchi during fermentation. Shear force of Gat-Kimchi in rheometer during fermentation was increased. The sourness and hardness(p<0.05) of Gat-Kimchi after 24 days of fermentation were significant different in sensory evaluation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ff-flavor, color and hotness. Compared with other Kimchi, taste of Gat-Kimchi was desirably kept for 54 days of fermentation. Total viable count and lactic acid bcateria(Genus Lactobacillus) observed to be Increased in the range of 18 to 24 days and yeasts to be gradually increased during overall period of fermentation.

  • PDF

김치 유래 유산균을 이용한 단호박 발효음료 제조 기술 개발 (Fermentation of Cucurbita maxima Extracts with Microganisms from Kimchi)

  • 노현지;김기은
    • KSBB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49-155
    • /
    • 2009
  • 김치유래 유산균 단호박 발효음료의 개발을 위해 김치에서 유산균 19종을 분리하였다. 이후 진행된 인공 위액 및 인공 담즙산 실험에서 살아남은 유산균 1종을 선별하였고 이를 C332라 명명하였다. 이 C332는 앞으로 진행되는 모든 실험에서 종균으로 사용하였다. C332는 인공 위액에서 1.66 ${\times}$ $10^5$ CFU/m${\ell}$, 담즙산에서 1.49 ${\times}$ $10^6$ CFU/m${\ell}$ 만큼의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C332를 단호박 배지에서 호기적과 혐기적으로 배양한 결과 광밀도, pH에서 큰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여 통성혐기성 미생물임을 확인하였고, E.coli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결과 14 mm의 클리어존이 생겨나 E.coli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발효가 끝난 단호박 배지는 pH가 3.8까지 떨어졌으며, 산도는 1.41%이다. 16s rRNA full sequencing을 통해 C332는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다. 이후 관능검사를 통해 발효 시간별, 농도별로 발효음료가 유의수준 5%로 유의성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저장성평가를 통해 12일간의 저장기간 중 약간의 산도증가 경향과, 약간의 pH 저하경향을 확인하였고, 우리나라 호상요구르트의 유산균 기준치 (1.0 ${\times}$ $10^8$ CFU/m${\ell}$)를 상회하는 생균수 (발효 후 경과 12일 1.15 ${\times}$ $10^8$ CFU/m${\ell}$)를 확인하여 저장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향주 누룩으로부터 분리한 젖산균의 동정 및 발효 특성 (Identifica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Hahyangju Nuruk)

  • 박치덕;정희경;박환희;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8-193
    • /
    • 2007
  • 하향주의 제조에 이용되는 누룩으로부터 젖산균을 분리하고, 배양학적 특성과 생리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분리된 총 11균주를 이용하여 알코올 10%와 pH 4.0에서 생육이 억제되는 양조학적으로 적합한 5균주의 젖산균을 분리하였고, 16S r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1균주, Lactobacillus sakei 1균주 및 Lactobacillus curvatus 3균주로 나타났으며 모두 젖산 간균으로 확인되었고, 이들을 각각 L. plantarum L-3, L. sakei L-10 그리고 L. curvantus L-8, 11, 12로 명명하였다. L plantarum L-3이 배양 초기 pH 4.0일 때 0.78%의 산도를 나타내어 나머지 4균주에 비해 약 10배정도 높은 산을 생성하였다. 분리된 5균주는 모두 $30^{\circ}C$에서 가장 산생성능이 우수하였고, L. sakei L-10을 제외한 모든 균주는 $45^{\circ}C$에서 생육이 정지되었으나, L. sakei L-10은 $40^{\circ}C$에서 생육이 저해되었다. 그리고 에탄을 농도가 6%일 때 산의 생성이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L. curvatus L-8, 11, 12는 8% 에탄올에서 거의 생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에탄올에 대한 내성이 낮았으며, L. plantarum L-3과 L sakei L-10은 10% 에탄올에서 생육이 정지되었다.

유청배지에 Lactobacillus acidophilus KCCM 32820과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31227로 혼합배양시 유기산 생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 by Fermentation with Mixed Cul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KCCM 32820 and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31227 in Whey Broth)

  • 이정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5-61
    • /
    • 2007
  • L. acidophilus KCCM 32820과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성장곡선 및 5%와 10% 유청 배지를 고압증기멸균 및 저온살균하여 L. acidophilus KCCM 32820과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을 혼합배양시 생성되는 propionic acid와 acetic acid 양을 측정하였다. L. acidophilus KCCM 32820의 대수기는 $6\sim21$시간,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대수기는 $36\sim108$시간으로 나타났다. 혼합배양시 propionic acid의 생성량은 5% 유청 배지보다는 10% 유청 배지에서, 고압증기 멸균보다는 저온살균에서 많은 양이 생성되었다. Propionic acid의 최대 생산량은 10% 유청 배지를 저온살균하였을 때 배양 120시간에 7.88 mg/mL이었다. Acetic acid도 5%보다는 10% 유청 배지에서 높은 생성량을 나타냈고 그 생성량은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ropionic acid 생성량의 $2:1\sim3:1$이었다.

  • PDF

Phage ${\phi}$ FSV가 Lactobacillus casei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Phage ${\phi}$ FSV on the Growth of Lactobacillus casei)

  • 김경태;이정준;서인영;나석환;백영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7-152
    • /
    • 1991
  • In order to study effect of the phage ${\phi}$ FSV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casei YIT 9018(wild type strain with prophage) or L. casei HYM 1213 (prophage cured strain) was infec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phage ${\phi}$ FSV (called Lac S21) or wild type virulent phage (called Lac J-1). When L. casei YIT 9018 was infected with Lac S21 under the concentration of $6.0{\times}10^6$ pfu/ml, the growth and lactic acid production of the strain were normal and the number of phages decreased. But L. casei HYM 1213 was susceptible to Lac S21. Regardless of the concentration of the phage infection, the number of phages increased rapidly into $10^9$ to $10^{10}$ pfu/ml at 2 day cultures and was maintained $10^7$ to $10^9$pfu/ml phage until 6 day cultures. The lactic acid production of L. casei HYM 1213 infected with Lac S21 was abnormal. Therefore, phage ${\phi}$ FSV had an evil effect on growth of L. casei HYM 1213, but not L. casei YIT 9018. On the other hand Lac J-1 caused abnormal fermentation to either L. casei YIT 9018 or L. casei HYM 1213.

  • PDF

Lactobacillus acidophilus에 의한 보리당화액의 젖산 발효 (Lactic acid Fermentation of Barley Malt Syrup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 이성갑;김기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3호
    • /
    • pp.255-260
    • /
    • 1988
  • 보리를 이용한 유산균음료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malt syrup, skim milk, 및 분유첨가 malt syrup을 배지로 하여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배양할 때의 각종 배양조건을 시험 조사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L. acidophilus를 stater로 하여 malt syrup에서의 유산발효시킬 때의 최적당도는 $10^{\circ}Bx$ 이었고 3% 이상의 skim milk를 첨가하면 유산균의 생육 및 산생성을 현저히 촉진하였으나 품질 및 기호성을 고려하면 5%의 탈지분유를 첨가하는 것이 적당하였다. 5%의 탈지분유를 첨가한 $10^{\circ}Bx$의 malt syrup에서 L. acidophilus를 배양할 때 배지의 열처리조건으로서는 $50^{\circ}C$, 30분간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최적배양온도는 $40^{\circ}C$였고 pH는 6.0이었다. L. acidophilus의 생육은 malt syrup, skim milk 및 분유첨가한 malt syrup배지 중 분유 5% 첨가한 맥아당화액배지에서 가장 왕성하였으며 16시간까지가 대수기(log)로 인정되었다.

  • PDF

꽃송이버섯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 및 폴리페놀 함량 변화 (Antioxidant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 of fermented Sparassis latifolia extracts)

  • 양승화;이용조;김다송;신현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8-27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꽃송이버섯을 4종의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L. acidophilus, L. helveticus,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을 사용해 발효를 하였다. 발효된 꽃송이버섯 발효물을 항산화 활성(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OD activity, 총 폴리페놀 함량(TPC), HPLC 분석, protease 활성을 동해 발효 전 후 생리활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꽃송이버섯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은 IC50 28.09-64.46 ㎍/mL, SOD 활성은 IC50 15.75-39.42 ㎍/mL, TPC는 57.66-100.43 GAE ㎍/mL 와 85.25-110.68 ㎍/mL 로 확인되었다. 꽃송이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보다 약 8배 이상 증가된 결과로 확인되었다. 또한 꽃송이버섯 발효물의 HPLC 분석 결과는 ascorbic acid, gallic acid, chlorogenic acid의 함량이 높게 확인되었으며, protease 활성 또한 발효물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Lactobacillus 균주들의 작용에 의하여 꽃송이버섯이 발효되면서 폴리페놀류가 증가하여 생리활성이 꽃송이버섯 추출물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추측된다. Lactobacillus 균중에서 L. helveticus 균주로 발효된 꽃송이버섯 발효물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꽃송이버섯을 발효하는데 있어 L. helveticus 균주가 가장 적합한 균주로 확인되었다.

유산발효에 의한 발효한약의 기능분석 (Functionality Analysis of Korean Medicine Fermented by Lactobacillus Strains)

  • 강동희;김현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59-26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중풍, 고혈압, 동맥경화, 염증성 피부질환에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질환들에서 연구되어 있는 방풍통성산을 선정하여 4가지 약재를 가미한 후 기존의 기능성 물질과 Lactobacillus 균주에 의해 생성되거나 증가된 기능성 물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약을 이용한 복합배양은 공시균주의 수 및 접종시기를 달리하여 여러 조합으로 수행하였다. 전자공여능 및 superoxide dismutase 유사 활성 측정을 통해 한약의 항산화 활성은 각각 31.7%와 36.3%로 나타났으며, 복합배양을 통해 발효된 한약의 항산화 활성은 각각 77% 이상, 42% 이상으로 나타나 한약보다 항산화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항균 활성은 한약의 경우 모든 시험균주에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복합배양 된 한약의 경우에는 B. subtilis PCI 219, P. aeruginosa KCTC 2004, S. aureus subsp. aureus KCTC 1916에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여드름을 유발시키는 P. acnes KCTC 3314에 항균 활성을 보였다. RBL-2H3 세포주에서 알레르기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한약은 60% 알레르기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발효한약은 57% 알레르기 억제 효과를 보였다. 발효한약은 알레르기 억제 효과와 함께 항균 활성과 항산화 활성의 증가로 인하여 알레르기 개선, 피부노화 및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피부질환의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Food-Grade Lactobacillus kefiranofaciens β-Galactosidase Overexpression System

  • He, Xi;Luan, MingJian;Han, Ning;Wang, Ting;Zhao, Xiangzhong;Yao, Yany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550-558
    • /
    • 2021
  • Lactobacillus kefiranofaciens contains two types of β-galactosidase, LacLM and LacZ, belonging to different glycoside hydrolase families. The difference in function between them has been unclear so far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this study, LacLM and LacZ from L. kefiranofaciens ATCC51647 were cloned into constitutive lactobacillal expression vector pMG36e, respectively. Furtherly, pMG36n-lacs was constructed from pMG36e-lacs by replacing erythromycin with nisin as selective marker for food-grade expressing systems in Lactobacillus plantarum WCFS1, designated recombinant LacLM and LacZ respectively. The results from hydrolysis of o-nitrophenyl-β-galactopyranoside (ONPG) showed that the β-galactosidases activity of the recombinant LacLM and LacZ was 1460% and 670% higher than that of the original L. kefiranofaciens. Moreover, the lactose hydrolytic activity of recombinant LacLM was higher than that of LacZ in milk. Nevertheless, compare to LacZ, in 25% lactose solution the galacto-oligosaccharides (GOS) production of recombinant LacLM was lower. Therefore, two β-galactopyranosides could play different roles in carbohydrate metabolism of L. kefiranofaciens. In addition, the maximal growth rate of two recombinant strains were evaluated with different temperature level and nisin concentration in fermentation assay for practical purpose. The results displayed that 37℃ and 20-40 U/ml nisin were the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recombinant β-galactosidase strains. Altogether the food-grade Expression system of recombinant β-galactosidase was feasible for applications in the food and dairy industry.

전주 생 밀 막걸리의 산패 원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ndenfication of Acid-forming Bacteria from a Fresh Wheat Makgeolli in Jeonju)

  • 박순희;이슬;진효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51-956
    • /
    • 2012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iscover acid-forming bacteria during fermentation of Makgeolli, as Makgeolli loses its commercial value due to overproduced acidic materials. In Makgeolli kept at $25^{\circ}C$, a sudden increase of acidity as well as the disappearance of yeast cells occurred at day 6, whereas the total cell count and bacterial type remained unchanged; the result implies that a succession of bacterial types, including acid forming bacteria, occurred. Two acid-form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acidified Makgeolli and were identified as Acetobacter pasteurianus and Lactobacillus casei. When fresh and heat-treated Makgeolli were inoculated with Acetobacter pasteurianus and/or Lactobacillus casei, the greatest amount of acid was formed in Makgeolli inoculated with Acetobacter pasteurianus and Lactobacillus casei and also in Makgeolli with Acetobacter pasteurianus alone. This result indicates that Acetobacter pasteurianus is the main acidifier; furthermore, it shows the synergy effect in acid formation with Lactobacillus case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