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acid production

검색결과 1,049건 처리시간 0.022초

김치숙성 관련 젖산균이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notated to Kimchi Fermentation on the Quality of Bread)

  • 이예경;박인경;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79-385
    • /
    • 2001
  • 김치숙성관련 젖산균이 반죽의 발효와 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젖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LP), Leuconostoc mesenteroides(LM)은 살균 무즙에 배양하여 각각 또는 혼합하여 밀가루량에 대하여 5% 및 10%씩 첨가하였으며 혼합처리구는 LP 5%와 LM 5%를 혼합하였다. 반죽의 pH는 LP+LM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다. LM 5% 첨가구는 발효시간이 가장 짧았으며, loaf volume은 LM 10%첨가구가 가장 컸다. 빵의 저장중 수분 손실율은 전반적으로 젖산균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LP+LM 혼합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다. 빵의 경도는 젖산균 첨가군에서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LP 10% < LM 10% < LM 5% < LM+LP < LP 5% < 대조구 순서였다. 빵의 노화도는 젖산균 첨가군이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LM 10%와 LP 10%에서 가장 낮았다.

  • PDF

Improving quality of common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 silage with additives

  • Asano, Keigo;Ishikawa, Takahiro;Araie, Ayako;Ishida, Motohik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1호
    • /
    • pp.1747-1755
    • /
    • 2018
  • Objective: Common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 could potentially provide an alternative resource for silage; however, its silage quality is poo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 reed that contribute to poor quality and determine how the use of additives at ensiling could improve fermentation quality. Methods: In Experiment 1, we determined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he presence of indigenous lactic acid bacteria (LAB) in reed. We further examined fermentation quality of reed silage under conditions without additives (NA) and treated glucose (G), lactic acid bacteria (L), and their combination (G+L). In Experiment 2, silage of NA, and with an addition of cellulase and lactic acid bacteria (CL) were prepared from harvested reed. The harvested reeds were fertilized at nitrogen concentrations of 0, 4, 8, and $12g\;N/m^2$ and were harvested thrice within one year. Results: The indigenous LAB and fermentable carbohydrates are at extremely low concentrations in reed. Reed silage, to which we added G+L, provided the highest quality silage among treatments in Experiment 1. In Experiment 2, N fertilization had no negative effect on silage quality of reed. The harvest times decreased fermentable carbohydrate content in reed. The CL treatment provided a higher lactic acid content compared to the NA treatment. However, the quality of CL treated silage at the second and third harves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at the first harvest, due to a reduction in carbohydrates caused by frequent harvesting. Conclusion: The causes of poor quality in reed silage are its lack of indigenous LAB and fermentable carbohydrates and its high moisture content. In addition, reed managed by frequent harvesting reduces carbohydrate content. Although the silage quality could be improved by adding CL, higher-quality silage could be prepared by adding fermentable carbohydrates, such as glucose (rather than adding cellulases).

대두 전처리 공정 및 식물 유래 유산균 혼합 배양에 의한 기능성 유산균 음료 생산기술 개발 (Development of Pretreatment and Mixed Culture Processes for Plant Originated Lactic Acid to Produce a Functional Lactic acid Beverage)

  • 조은경;조형용;김병철;신해헌;조석철;국무창;변유량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7-123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process conditions for plant-originated lactic acid production using a mixed culture of plant originated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akei B2-16, and Lactobacillus plantarum P23, which were isolated from kimchi, and Bacillus subtilis, which was TP6 isolated from Denjang. Soybean medium was pretreated for 10 minutes at $110^{\circ}C$ and hydrolyzed with 0.2%(w/v) cellulase at $55\sim60^{\circ}C$ for at least 2 hrs. The quality of the final fermentation product was influenced by the inoculation ratio of the Lactobacillus sakei B2-16, Lactobacillus plantarum P23, and Bacillus subtilis TP6. The optimum microorganism inoculation ratio was 1:0.7:0.3, Lactobacillus sakei B2-16: Lactobacillus plantarum P23: Bacillus subtilis TP6, respectively.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were a refreshing sourness and a soft flavor.

혼합반도체 시스템에서의 광화학적 수소제조 : CdS-WO3/RuO2, CdS-TiO2 (Photochemical hydrogen production from coupled semiconductor systems : CdS-WO3/RuO2, CdS-TiO2)

  • 서정기;허귀석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5-15
    • /
    • 1993
  • Hydrogen production in visible light with the following semiconductor systems, $CdS-WO_3$, $CdS-TiO_2$,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redox catalyst (Pt, $RuO_2$). MeOH, EtOH, isopropanol, sulfide/sulfite mixture, lactic acid were used as sacrifical reagents. The optimal condition for $H_2$ evolution was found to be in qgueous lactic acid media for $CdS-WO_3/RuO_2$. The photochemical efficiency for this system was 1.05 % and the $H_2$ evolution rate was 26.5ml/min. at $6.07{\times}10^{-5}$ einstein/sec photon rate

  • PDF

감마선 조사된 감자분말 첨가가 요구르트의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reeze-Dried Potato Flour Addition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Yogurt)

  • 안병용;김동한;최동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74-381
    • /
    • 2004
  • 우유에 감자분말을 첨가하여 2종의 Lactobacillus bulgaricus, Streptococus thermophillus 젖산균을 혼합하여 배양할 경우 젖산발효가 어떤 메카니즘에 의해 촉진되며 요구르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코자 젖산균의 산생성 능력과, 요구르트의 점도, 유리아미노산 및 관능검사를 하였다. 0.5%(w/w) 감자분말을 첨가하여 배양한 젖산발효의 경우 무 첨가군에 비하여 산도는 높았고, pH는 낮았으며 점도는 증가되었다. Streptococus thermophillus와 Lactobacillus bulgaricus를 혼합배양한 경우 산의 생성은 가장 높았으며, 각각의 균을 단독 배양 시에는 S. thermophillus가 L. bulgaricus보다 산 생성도가 높았다. 감자분말을 첨가하여 각각의 균을 배양한 경우 L. bulgaricus와 S. thermophiilus 균주에서 모두 lysine의 이용률은 높았으며, L. bulgaricus는 glutamic acid를 다량 생성한 반면, S. thermophillus는 glutamic acid를 소모하였다. 감자분말을 첨가한 요구르트 관능평가에서 조직감은 향상되었고, 색, 맛, 후미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다소 저하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L. bulgaricus는 S. thermophillus 균주가 요구하는 유리 glutamic acid을 공급함으로써 S. thermophiilus의 생육이 촉진되어 감자분말 첨가 요구르트의 발효기간을 단축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클로렐라 분말을 첨가한 물김치의 제조와 품질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kimchi Added with Chlorella)

  • 김동청;원선임;인만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1호
    • /
    • pp.23-28
    • /
    • 2014
  • 클로렐라를 식품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클로렐라 분말을 0-0.1% 첨가한 물김치를 제조하여 $15^{\circ}C$에서 6일간 발효시키면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H는 발효 3일만에 급격하게 감소하여 0.1%를 첨가한 경우 pH 6.31에서 3.89로, 대조구는 pH 5.98에서 3.83으로 하락하였으며, 감소정도는 클로렐라 첨가량에 비례하였다. 적정산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으며, pH 변화와 동일한 경향이었다.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환원당 함량은 발효 초기 최대값을 보인 후 감소하였으나 0.1%의 경우 환원당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다. 젖산균 수는 발효초기에 급속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0.1%를 첨가한 물김치에서 매우 빠르게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클로렐라 첨가는 물김치의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클로렐라 물김치를 $4^{\circ}C$에서 19일간 저장하는 동안 pH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적정산도는 약간 증가하였고, 젖산균 약간 감소하였으나 전체적으로 $10^7CFU/g$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관능평가의 결과와 저장성을 고려하면 클로렐라의 첨가량은 0.05% 수준이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양인삼 요구르트의 제조 및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Cultured Ginseng)

  • 이인선;백기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35-241
    • /
    • 2003
  • 배양인삼 추출물을 첨가한 요구르트를 제조한 다음 그 품질 특성을 살펴본 결과, 배양인삼의 첨가로 요구르트의 젖산균 증식과 산 생성이 대조군보다 촉진되었고, 발효 24시간 후 생균수는 모든 군에서 $6.0{\sim}8.0×10^8\;CFU/mL$으로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점점 증가하였다. 점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고, 특히 12시간에서 18시간 사이에 점도가 가장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의 경우 대조군과 배양인삼 첨가군 모두 17여종의 아미노산이 존재하였으며, 0.5% 첨가군은 1.0% 첨가군에 비해 배양시간이 관계없이 4종의 아미노산을 제외한 대부분의 아미노산 함량이 많이 존재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0.5% 첨가군의 경우 24시간 발효시 젖산, 구연산, 개미산, 프로피온산의 생성이 증가되다가, 30시간 이후에는 이들 함량이 다소 감소되었다. 1.0% 첨가군의 경우는 배양시간이 증가할수록 개미산, 젖산, 초산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관능검사에서 배양인삼 0.5%와 1.0%의 첨가 요구르트가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우수하였고 다른 항목들에서도 비교적 양호한 값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0.5{\sim}1.0%$의 배양인삼을 첨가하여 24시간 발효가 배양인삼 요구르트 제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삼백초를 첨가한 요구르트의 제조와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 이인선;이승욱;김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11-416
    • /
    • 2002
  • 요구르트 제조시 고형분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하고 있는 탈지분유의 일부를 삼백초 열수추출물로 대계하여 삼백초가 젖산균의 생육과 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 및 요구르트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삼백초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젖산균의 산 생성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생균수 또한 같은 경향이었다. 발효 24시간 후 대조군과 삼백초 1.0% 첨가군의 적정산도는 각각 1.04%와 1.38%였으며, 생균수는 모든 구간에서 5.5$\times$$10^{8}$~1.0$\times$$10^{9}$ CFU/mL를 보였다. pH 또한 삼백초 1.0% 첨가군이 발효 24시간 후 3.60의 가장 낮은 pH를 보였으며, 대조군은 3.97의 pH를 나타냈다. 요구르트의 점도는 6~12시간 구간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에도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또한 삼백초 첨가량에 비례하여 높은 점도를 보여 발효 24시간 후 대조군과 1.0% 삼백초 첨가군의 점도가 각각 1,650 cp과 1,930 cp(g/100 cm.sec)를 나타냈다. 관능평가 결과 0.6% 이상의 삼백초 첨가군들은 삼백초가 가지는 익숙치 못한 향과 색으로 인해 모든 항목에서 대체로 낮은 평가를 받았으나 0.4% 삼백초 첨가 요구르트는 맛과 전체적 인기호도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다른 항목에 있어서도 비교적 우수한 평가를 받아 관능적으로 가장 적당한 첨가량을 나타냈다. 삼백초 첨가로 요구르트의 젖산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그 밖에 구연산, 주석산, 초산 및 옥살산은 모든 구간에서 발효 후 약간 낮은 함량을 보였다. 발효가 완료된 요구르트의 저장성은 4$^{\circ}C$에서 15일간 산 생성과 pH및 생균수 변화가 미미한것으로 나타나 저장성이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삼백초는 젖산균의 생육 및 산 생성을 촉진시키며, 요구르트의 관능적인 면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여러 가지 유용한 생리효과를 가진 삼백초는 새로운 기능성을 가지는 요구르트의 개발에 있어 좋은 천연물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며 신제품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Yogurt 제조시 인삼성분이 Lactobacillus casei의 증식과 산생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Ginseng Component on Cell Growth and Acid Production by Lactobacillus casei Burins Yogurt Fermentation)

  • 소명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6-85
    • /
    • 1988
  • In order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he preparation of yogurt containing ginseng component, the effect of ginseng component on cell growth of Lactobacillus casei YIT 9018 and on lactic acid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Initial cell growth and acid production were markedly inhibited by the addition of ethanol extracts in the level of 8% into 15% skim milk. Crude saponin did not show any inhibitory effect on cell growth and acid production, but ether layer fraction showed inhibitory effect. It was thought to be more advantageous to add ginseng extracts after the fermentation of milk than before. The addition of ginseng extract at 8% level into liquid yogurt was most suitable in organoleptic test. Cell viability was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ethanol extracts up to 8% level during storage of liquid yogurt.

  • PDF

허브가 젖산균의 생육억제와 동치미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Herbs on the Growth-Inhibition of Lactic Acid Bacteri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 손선영;최혜련;최언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41-246
    • /
    • 2005
  • 동치미의 저장기간을 연장할 목적으로 항균력을 갖는 허브를 동치미에 첨가하였을 때에 허브가 동치미의 젖산발효 및 품질특성에 미치는 효과가 조사되었다. 8종의 서양 및 자생 허브 중에서 marta rosemary가 7종의 젖산균에 대해서 우수한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허브향을 내는 삼백초와 pepper mint, 감미를 갖는 stevia도 균주에 따라 약간의 항균작용을 나타내었다. 향신료는 젖산균의 생육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상기 4종의 허브와 3종의 젖산균을 스타터로 사용하여 동치미를 $25^{\circ}C$에서 6일 동안 담금한 바, 허브 무첨가구와 삼백초, stevia, pepper mint 허브 첨가구의 동치미 액은 담금 직후부터 pH가 급감하여 12시간에 pH 4 부근에 도달하고 그 후 점차 감소하여 pH 3.60-3.35 범위를 유지하였다. Marta rosemary를 첨가한 동치미 액의 pH는 초기에는 pH 6.06까지 증가하다가 36시간 이후 감소하여 6일까지 동치미 최적 pH범위인 3.8-4.2 이상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marta rosemary의 첨가는 젖산균의 초기발효를 진행시키고 그 후 유산균을 적절하게 억제하여 유기산의 과다생성을 방지하므로 동치미의 가식기간을 크게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