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acid fermentation extract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2초

젖산발효한 연근, 도라지 당추출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과 음료기호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Beverage Preferences Relating to Fermented Lotus Root and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s with Sugar through Lactic Acid Fermentation)

  • 이경수;김주남;정현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83-192
    • /
    • 2015
  • 본 연구는 가정에서 즐겨 먹는 대표적인 근채류인 연근과 도라지의 당추출 발효액을 제조하고, 이를 젖산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한 후 생리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 관능 검사를 통해 기능성 음료 제조 가능성을 대한 기초 자료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최종 당 농도는 도라지가 $48.1^{\circ}brix$, 연근이 $52.0^{\circ}brix$로 나타났다. 당추출 발효액을 $12^{\circ}brix$로 희석한 후 젖산발효하는 동안 변화하는 당 농도는 도라지가 $11.5{\sim}12.1^{\circ}brix$, 연근이 $11.9{\sim}12.4^{\circ}brix$ 범위로 나타났다. 젖산 발효기간 동안 초기 젖산균은 $10^{9{\sim}10}CFU/mL$ 수준이었으나, 연근 및 도라지 젖산발효액 둘 다 발효기간이 늘어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을 조사한 결과, 젖산발효하지 않은 control인 경우 연근이 도라지보다 3배 이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젖산발효시 도라지인 경우 control보다 각각 L. acidophilus(77%), L. brevis(90%), L. delbrueckii(177%) 정도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함량 역시 연근이 도라지보다 함량이 많았으며, control과 비슷하게 나타난 L. delbrueckii 발효액을 제외하고는 젖산발효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라지인 경우 CUPRAC 측정시 L. brevis에서, FRAP 측정시는 L. delbrueckii로 젖산발효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원력은 도라지에서 L. brevis로 젖산발효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근과 도라지 젖산발효액의 관능검사 결과, 두 발효액 모두 control이나 L. acidophilus 보다 L. brevis, L. delbrueckii로 젖산발효한 액의 관능검사 결과가 모든 면에서 좋게 나타났다. 이상의 관능검사 결과, 연근이나 도라지를 이용한 당추출 젖산발효 음료로써의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특히 L. delbrueckii와 L. brevis 같은 일부 젖산균은 전반적으로 활성이 좋게 나타나, 기능성 젖산발효 음료로 제조하는데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지터블 추출물 및 유산균 발효물의 진생사포닌 대사산물과 장건강 활성성분 효과 (Effects of Ginseng Saponin Metabolites and Intestinal Health Active Ingredients of Vegetables Extracts and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a)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43-95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사과, 배, 무 등 8종 과채류를 절단하고 열수추출물과 과채류 증숙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실험기질로 사용하였다. 실험기질에 홍삼추출물 1%(W/V)와 유산균발효 추출물에 유산균 8종 혼합스타터를 첨가하여 발효한 결과, ginsenosides의 패턴과 함량은 과채류 추출물군과 증숙 처리군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유산균 발효군에서는 발효과정과 처리에 따라 TLC 패턴이 변하여 Rg3(S) 및 Rg5으로 전환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하였다. 4종의 과채류추출물 모두에서 유산균 수(cfu)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유산균 CFU의 수는 과채류 추출물의 4가지 발효군에서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익균의 생장 억제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3가지 유해균의 증식억제 효과는 4가지 과채추출물에서 대장균과 슈도모나스의 증식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살모넬라균의 증식은 억제되었으며, 이는 과채류 증숙 열수추출물 및 홍삼추출물 첨가 여부에 관계없이 과채류 추출물의 생장억제효과로 확인되었다.

젖산균 발효를 통한 녹차 추출물의 Epigallocatechin 함량의 증대 (Increase of Epigallocatechin in Green Tea Extract by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 최찬영;박은희;주영운;김명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2-67
    • /
    • 2016
  • 전통발효 식품으로부터 젖산균을 분리하고, ${\beta}$-glucosidase, ${\beta}$-glucuronidase, ${\beta}$-xylosidase, ${\beta}$-galactosidase, ${\beta}$-arabinofuranosidase, ${\beta}$-arabinosidase, ${\beta}$-arabinopyranosidase 등 생물전환과 관련된 유용 효소활성을 조사하였다. 효소활성 평가를 통하여 선발된 9점의 젖산균 발효에 의한 epigallocatechin-3-gallate(EGCG), epigallocatechin(EGC), epicatechin gallate(ECG), 및 epicatechin(EC)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배추 김치에서 분리된 Leuconostoc mesenteroides MBE1424로 명명된 균주는 발효에 의하여 카테킨 중 EGC의 함량을 약 60% 증가시켰으며, 배양온도 $40^{\circ}C$에서 가장 우수한 비성장속도를 나타내어 기존에 보고된 균주보다 상대적으로 내열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Leuconostoc mesenteroides 균주는 녹차 추출물의 생물전환에 필요한 유용한 효소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Optimization of Lactic Acid Fermentation of Prickly Pear Extract

  • Son, Min-Jeong;Lee, Sam-P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1호
    • /
    • pp.7-13
    • /
    • 2004
  • Lactic acid fermentation of prickly pear extract (PPE) was performed by Lactobacillus rhamnosus LS,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Lactobacillus brevis. The PPE was pasteurized to eliminate indigenous microorganisms as well as to dissolve the partially insoluble pulp. The PPE fermented without yeast extract by L. rhamnosus LS exhibited 0.57% acidity and 3.5${\times}$10$^{8}$ CFU/mL bacteria count. With the addition of 0.2% edible yeast extract the PPE fermented by L. rhamnosus LS exhibited 1.15% acidity,2.7${\times}$10$^{9}$ CFU/mL bacteria count and 95.0% retention of red color. When 5% fructose syrup was added, the PPE fermented by L. rhamnosus LS had 1.09% acidity, 6.5${\times}$10$^{8}$ CFU/mL, and 97.7% retention of red color. With 1∼3% (w/v) concentrations of starter, the PPE fermented by L. bulgaricus and L. brevis showed 0.97% and 0.65% acidities, respectively. The viable cell counts from L. rhamnosus LS fermentation were higher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LAB. During cold storage at 4$^{\circ}C$, the viable cell count was well maintained for 3 weeks, but then rapidly decreased. The red pigment was highly stable during cold storage for 4 weeks. The pasteurized PPE fortified with 5% fructose syrup, 0.2% yeast extract, and 0.05% CaCO$_3$ was successfully fermented by inoculating with 3% LAB and incubating at 3$0^{\circ}C$ for 2 days. Both viable cell counts and the red color of the fermented PPE were well maintained during cold storage for 3 weeks.

LAB Fermentation Improves Producti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ithania somnifera Extract and Its Metabolic Signatures as Revealed by LC-MS/MS

  • Yu, Jinhui;Geng, Yun;Xia, Han;Ma, Deyuan;Liu, Chao;Wu, Rina;Wu, Junrui;You, Shengbo;Bi, Yupi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473-483
    • /
    • 202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LAB) fermentation on the ingredi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ithania somnifera extract. Four strains of LAB could proliferate normally in medium containing W. somnifera extract after the pH reached 3.1~3.5. LAB fermentation increased the content of alcohols and ketones, endowing the extract with the characteristic aroma of ferment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the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rates in the fermented sampl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ranging from 48.5% to 59.6% and 1.2% to 6.4%. The content of total pheno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36.1% during the fermentation of mixed bacteria. Moreover, the original composition spectrum of the extract was significantly changed while the differentially accumulated metabolites (DAMs) were closely related to bile secretion, tryptophan metabolism and purine metabolism. Therefore, LAB fermentation can be used as a promising way to improve the flavor and bioactivity of the extracts of W. somnifera, making the ferments more attractive for use as functional food.

고초균-젖산균의 순차적 복합 발효를 통한 복합 기능성 물질 함유 황칠나무 추출물의 생산 (Production of Dendropanax morbiferus extract containing multi-functional ingredients by serial fermentation using Bacillus subtilis HA and Lactobacillus plantarum KS2020)

  • 손수진;강혜미;박윤호;황보미향;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8-148
    • /
    • 2024
  • 황칠나무 추출물의 순차적 복합발효를 통한 복합 기능성 물질들을 강화시킨 발효소재를 개발하였다. 황칠 추출물에 MSG와 glucose를 첨가한 후 1차 B. subtillis HA 발효를 통해 γ-PGA와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성시켰다. 이후 skim milk와 glucose, yeast extract를 추가적으로 첨가하여 30℃에서 L. plantarum KS2020에 의한 2차 복합 발효를 통해서 기능성 물질인 GABA를 생산하였다. 황칠 추출물의 고초균 발효에서 생성된 점질물 및 점조도은 발효 2일 4.21±0.04 Pa·s, 4.1%±0.48%로 높은 점조도 값과 점질물을 함량을 보였다. pH 및 산도는 각각 8.9±0.01, 0.00±0.00이었으며 생균수는 7.27 log CFU/mL에서 발효 2일에 9.50 log CFU/mL로 높은 생균수를 보였다. 순차적 복합 발효가 진행되면서 고초균의 생균수는 4.30 log CFU/mL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젖산균은 9.12 log CFU/mL로 증가하였다. Protease 활성 및 tyrosine 함량은 각각 0.8 unit/g, 57 mg%로 측정되었다. 이후 연속적 복합 발효 과정에서 발효 5일 차 106 mg% 정도로 증가되었으며, SDS-PAGE를 이용하여 casein 단백질이 분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GABA 정성분석 결과 skim milk 5%만을 첨가한 조건을 제외하고 glucose, yeast extract가 추가로 첨가된 모든 조건에서 전구물질 MSG가 소진되면서 GABA로 전환되었다. 이중 최적 조건을 골라 정량분석을 진행하였으며 18.29 mg/mL의 GABA 함량을 나타내었다. 최종 황칠 복합 발효물은 γ-PGA, peptides, 고농도 GABA를 함유한 발효소재로써 다양한 식품의 원료 활용이 기대된다.

한약재 및 채소류 물추출물 첨가에 의한 깍두기 숙성 적기의 연장 효과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Natural Plants on the Prolongation of Optimal Fermentation Time of Kakdugi)

  • 김미리;모은경;김진희;이근종;성창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65-370
    • /
    • 1999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tural plants on the prolongation of optimal fermentation time of kakdugi, various kakdugies, added with hot water extract from 105 kinds of natural plants(68 medicinal plants and 37 vegetables), were fermented at 20oC until optimal fermentation time. In case of control without addition,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optimum acidity(0.6% lactic acid) was 60 hr. Among 105 kinds tested, 48 plant(42 medicinal plants and 6vegetables) extracts decreased the acidity after 60 hr fermentation to less than 50% of control. In addition, these extracts extended the optimal fermen tation time(>120 hr) by more than 2 folds. Moreover, among the above 48 kinds, 12 sorts of extracts raised the hardness of kakdugi, by more than 30%, compared to control. And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in kakdugi added with the above 12 kinds was not smaller than that of control. In sensory test, 8 kinds of medicinal plants(including Phyllostachys edulis) were found to be acceptabl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kakdugi added with 8 kinds of medicinal plants was adequate in the prolongation of optimal fermentation time of kakdugi.

  • PDF

감식초 제조를 위한 초산발효 최적 조건 및 감식초의 품질특성 (Optimum condition of Acetic acid Fermentation for Persimmon Vinegar Preparation and Quality evaluation of Persimmon Vinegar)

  • 정석태;김지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71-178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persimmon vinegar. The acetic acid bacteria strain JST-3, using acetic acid fermentation was isolated from the traditional persimmon vinegar. The optimum conditions for high yield of acetic acid were studied in the shaking bath. Acetic acid bacteria was cultured at 3$0^{\circ}C$ for 4 days and transferred to persimmon alcoholic juice for acetic acid fermentation. The optimum initial acidity for acetic acrid fermentation was 1%(w/v) and the addition of glucose or yeast extract was observed to produce relatively low yield of acetic acid. Succinic and acetic acid were major organic acid in the persimmon vinegar, The contents of lactic acid which was known to increase off-flavor were very low.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the persimmon vinegar prepared in this study was superior to two commercial ones in the aroma and taste.

  • PDF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추출물이 김치 숙성에 미치는 영향

  • 이신호;최우정;임용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9-234
    • /
    • 1997
  • Shizandra chinensis(SC) and Pinus regida(PR)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3 strains(B-5, D-1, A-1) of lactic acid bacteria(LAB) isolated from kimchi among eight kinds of plant extracts such as Shizandra chinensis, Phellodendron amurense, ornus officinalis, Pinus regida, Allium tuberosum, Machilus thunbergii, Cyperus rotundus and Schizonepeta tenuifloia. The growth of LAB was inhibited apparently in modified MRS broth containing 1% Schizandra chinensis at $35^{\circ}C$. Pinus regida showed weaker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isolated LAB than Shizandra chinensis. pH of SC added kimchi did not change greatly compare with control during 25 days of fermentation. Degree of titratable acidity change and ratio of reducing sugar utilization in control were more higher than in SC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Growth of total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was inhibited about 1 to 2 $log_10$ cycle by addition of SC extracts during kimchi fermentation for 10 days at $10^{\circ}C$. Fermentation of kimchi was delaved about 5 to 7 days by addition of 1 or 2% of SC. extract, but sensory quality (falv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SC added kimchi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p>0.05).

  • PDF

GABA 함량이 강화된 발효다시마 추출액 제조 (Production of Fermented Saccharina Japonica Extract with Enhanced GABA Content)

  • 허상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17-52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효소 가수분해 및 유산균 혼합발효기술을 이용하여 GABA 함량이 강화된 발효 다시마 추출물을 생산함에 있다. TLC 분석방법을 통해 GABA 생성능력이 우수한 균주 L. plantarum KCTC 21004, L. acidophilus KCTC 3164, L. sakei subsp. sakei KCTC 3598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균주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의 특성은 배양 시간이 증가 할수록 적정 산도는 증가하였고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GABA 생성능력이 우수한 3종의 균주 중 L. plantarum KCTC 21004이 GABA 함량이 136.4 mg/100g으로 우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산균을 이용한 GABA 생산과정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