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atory soil test

검색결과 919건 처리시간 0.023초

철도 강화노반재료의 정ㆍ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Sta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Reinforced Roadbed Materials)

  • 황선근;신민호;이성혁;이시한;최찬용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34-41
    • /
    • 2000
  • The analysis of sta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reinforced roadbed materials was performed through model and laboratory tests. The strength characteristic of reinforced roadbed materials such as HMS-25 and soil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unconfined axial compression test, the model soil box test and the combined resonant column and torsional shear test. The unconfined axial compression strength of HMS-25 shows a steady increasement in strength due to the chemical hardening reaction between HMS-25 and water. The result of model soil box test reveals that railroad roadbed of HMS-25 is better than that of soil in several aspects, such as, bearing capacity and settlement. The combined resonant column and torsional shear test result indicates that shear modulus of HMS-25 and soil increase with the power of 0.5 to the confining pressure and linear relationship to normalized shear modulus and damping ratio.

  • PDF

A simplified directly determination of soil-water retention curve variables

  • Niu, Geng;Shao, Longtan;Guo, Xiaoxi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3권5호
    • /
    • pp.431-439
    • /
    • 2020
  • Soil-water retention curve (SWRC) contains key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of unsaturated soil mechanics principles to engineering practice. The SWRC variables are commonly used to describe the hydro-mechanics of soils. Generally, these parameters are determined using the graphical method which can be time consuming. The SWRC is highly dependent on the pore size distribution (PSD). Theoretically, the PSD obtained by mercury intrusion porosimetry test can be used to determine some SWRC variables.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WRC and shrinkage curve has been investigated. A new method to determine total SWRC variables directly without curve-fitting procedure is proposed. Substituting the variables into linear SWRC equations construct SWRC. A good agreement was obtained between predicted and measured SWRCs, indicating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for unimodal SWRC.

여러가지 다짐 평가장비의 적용성을 위한 실내시험 (Laboratory Tests for the Applicability of Various Testing Devices for Measuring Degree of Compaction)

  • 유완규;임남규;김병일;김주형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1178-1187
    • /
    • 2008
  • Quality assurance for embankment compaction is one of very important procedures to guarantee high quality construction. However, only sand replacement method (KS F2312) and static plate load test (KS F2310) which are conventional and tiresome methods are used to evaluate degree of compaction at construction fields. Recently, new types of devices such as the geogauge and the light falling weight deflectometer (LFWD), the soil impact hammer (CASPFOL) and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etc. which are able to substitute for the conventional methods are begun to use to evaluate soil stiffness. In this study, a laboratory model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correlations among test results obtained from the new devices and to assess the potential use of them. All test results have correlations with relative density and water content. Especially, the coefficients of correlation between $E_G$ from the geogauge and $K_{30'}$ from the soil impact hammer and between $E_G$ from the geogauge and $E_{LFWD}$ from LFWD are more than 0.7 but those between the results from DCP and others are less than those between $E_{G{\cdot}}$ and $K_{30'}$ and $E_G$ and $E_{LFWD}$.

  • PDF

흙의 변형국지화 편재에 관한 연구 (Omnipresence of Strain Localization in Soils)

  • 권태혁;조계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199-210
    • /
    • 2003
  • 흙이 변형하는 동안 전단지역 내에서 변형국지화가 자주 관찰된다. 사실상, 그 현상은 예외적이라기보다는 전형적으로 보인다. 개념적으로, 행해진 일의 증가가 음인 경우 변형국지화가 쉽게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검증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배수상태의 조밀한 흙, 비배수상태의 느슨한 흙, 비배수전단하의 조밀한 흙에서의 공동화, 비균질한 흙, 판상형의 입자로 된 흙에서의 입자배열, 입자 깨짐을 가지는 흙, 그리고 낮은 함수비나 약한 시멘트결합이 된 흙 등 다양한 흙과 다양한 조건에 대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경우들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시험할 수 있도록 시료를 제작하였고 실험절차를 구상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최고점후 변형연화거동을 가지는 흙은 변형국지화, 전단대형성, 그리고 점진적 파괴가 되기 쉽다. 응력상태, 흙밀도, 흙입자의 고유적인 역학적$.$지형학적인 특성, 저함수비, 그리고 비균질성이 변형국지화를 일으키는데 공헌을 하였다. 국지화가 가능한 모든 경우들을 고려해 볼 때, 실내시험으로부터 한계상태정수를 결정하는 최선의 방법은 배수전단하의 느슨하고 균일한 포화시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ingle piles under cyclic lateral loads - Full scale tests and numerical modelling

  • Hocine Haouari;Ali Bouafi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2권1호
    • /
    • pp.21-34
    • /
    • 2023
  •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yclic lateral loading on the response of a pile-soil system, a full-scale single steel pile was subjected to one-way cyclic loading. The test pile was driven into a bi-layered soil consisting of a normally consolidated saturated clay overlying a silty sandy layer, the site being submerged by water up to one meter above the mudline in order to reproduce the conditions of an offshore pile founda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main results of interpretation of the cyclic lateral tests in terms of pile deflections, bending moment, and cyclic P-Y curves. From these latter an absolute secant reaction modulus EAS,N was derived and a simple calculation model of the test single pile is proposed based on this modulus. Two applications of the proposed model are carried out, one with a 2D finite element modelling, and the second with a load transfer curves-based method.

지오컴포지트를 이용한 양압력 제거공법 (Uplift Pressure Removal System in Underground Structure by Utilizing Geocomposite System)

  • 신은철;김종인;박정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9호
    • /
    • pp.61-68
    • /
    • 2006
  • 최근 대규모 토목 건설 프로젝트는 용지 매입비용 및 각종 민원으로 인하여, 공유수면을 매립하거나 해안 및 하천지역의 용지를 활용하고 있다. 공유수면을 매립한 지반이나 해안 및 하천 지역의 지반은 충분한 지지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연약지반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연약지반은 주로 점토나 실트와 같은 미세한 입자의 흙이나 간극이 큰 유기질토 또는 이탄, 느슨한 모래 등으로 이루어진 토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수위가 높기 때문에, 제체 및 구조물의 안정과 침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오컴포지트의 수리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재하중에 따른 통수성과 전수성 실내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지하수위가 높은 지반에 지하구조물을 축조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지하수 누수 및 양압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토목섬유를 적용한 배수시스템을 연구하였다. 지반의 조건상 양압력으로 인한 문제점이 많이 발생되는 매립지의 준설토를 이용하여 실내배수실험을 수행하였다. 실내 배수실험에서는 실험기 하부에 토목섬유 배수층을 설치한 후에 상부에 준설토를 다져 넣고 상부에서 단계별 수압을 가하여 배수량과 간극수압을 측정하여 각각의 수압에 따른 계측값들과 이론적인 값들과 비교하였다. 실내배수실험의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흙이나 암석과 같은 다공질 재료의 간극수압 분포나 이동을 해석하기 위한 2차원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실내실험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철도사면파괴 원인 및 대책공법 적용을 위한 강도정수 결정 (Cause of Rall Road Slope Failure and Determination of Soil Strength for Remedy)

  • 이승현;김병일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25-31
    • /
    • 2004
  • 철도사면은 예상치 못한 연약지반의 존재로 인해 붕괴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철도사면의 파괴원인을 규명하고 대책공법 적용을 위한 강도정수를 결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사면파괴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추조사, 콘관입시험, 현장베인시험 등이 수행되었다. 또한 연약지반의 강도정수를 구하기 위해 불교란상태로 시료를 채취하여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현장원위치시험 및 실내시험 결과 사면 파괴의 원인은 과압밀점토의 점진적 파괴에 따른 연약지반 강도저하영역의 전파에 기인한 것으로 밝혀졌다.

3D stress-fractional plasticity model for granular soil

  • Song, Shunxiang;Gao, Yufeng;Sun, Yife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7권4호
    • /
    • pp.385-392
    • /
    • 2019
  • The present fractional-order plasticity models for granular soil are mainly established under the triaxial compression condition, due to its difficult in analytically solving the fractional differentiation of the third stress invariant, e.g., Lode's angle. To solve this problem, a three dimensional fractional-order elastoplastic model based on the transformed stress method, which does not rely on the analytical solution of the Lode's angle, is proposed. A nonassociated plastic flow rule is derived by conducting the fractional derivative of the yielding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stress tensor in the transformed stress space. All the model parameters can be easily determined by using laboratory test. The performance of this 3D model is then verified by simulating multi series of true triaxial test results of rockfill.

친환경 지반안정재를 약액주입재로 사용하여 보강한 노후 저수지의 보강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Reinforcement Effect of Aging Reservoir Reinforced by Environmental Soil Stabilizer as Chemical Grouting Material)

  • 김세민;서세관;조대성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1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와 순환유동층 보일러의 연소재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시멘트와 유사한 경화반응을 유도하도록 개발된 친환경 지반안정재를 약액주입재로 사용하기 위한 실내시험과 시험시공에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실내시험에서는 규산소다 및 실리카졸을 A액, 친환경 지반안정재(또는 OPC)를 B액으로 사용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실내시험을 실시하여 공학적·환경적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제 노후저수지에 시험시공을 실시하고, 현장에서의 투수시험, 전기비저항탐사를 실시하여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실내시험 결과, 친환경 지반안정재를 B액으로 사용한 약액주입재의 호모겔 압축강도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하여 약 2.88~3.23배 큰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부분의 중금속 용출량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하여 적고, 어독성 시험에서의 생존율도 100%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내시험 결과를 토대로 판단할 때 OPC에 비해 강도적, 환경적으로도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노후 저수지에서의 시험시공 결과에서는 친환경 지반안정재를 약액주입재의 B액으로 사용하여 보강한 경우, 저수지 내부에서의 투수계수는 1/50 수준까지 감소하였다. 그리고 전기비저항 탐사결과 노후 저수지 내부의 전기비저항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여 포화대는 사라졌으며, 전반적으로 보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내모형실험을 통한 TDR 함수량계의 현장 함수비 보정 (Water Content Calibration of Time-Domain Reflectometry Probe Using Laboratory Model Test)

  • 신은철;류병현;박정준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11
    • /
    • 2013
  • 지하매설구조물인 상수도관 주변 지반의 간극수 동결로 상수도관의 변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현장 계측을 통한 포장 하부구조체의 함수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미국 Campbell사의 TDR(time domain reflectometry) CS616 함수량계와 독일의 IMKO사 제품의 TRIME FM를 이용한 수동 함수량계 TRIME P3, T3 Probe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TDR 함수량계와 TRIME 수동 함수량계는 흙의 종류, 입도, 다짐도, 온도 등에 의해 오차가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의 시료를 사용하여 TDR 함수량계의 실내보정실험을 반드시 수행해야 한다. 즉, TDR함수량계의 매뉴얼에서는 일반적인 흙의 보정방정식을 제안하고 있지만 현장 적용시에는 반드시 보정실험을 수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 등 지하매설구조물의 주변의 다양한 채움재료를 사용하여 실내 보정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TDR함수량계인 CS616, TRIME-T3, TRIME-P3의 보정모델식을 제안하였으며, 보정식에 대한 현장검증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