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Market Outcome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4초

The Study on Retirement Age Adjustment Reflecting Possible Workability of Elderly Population

  • Jonghoon Park;Hyewon Shi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2권3호
    • /
    • pp.363-382
    • /
    • 2023
  • This study aims to discern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workability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and delineate an appropriate retirement age within the labor market context. Employ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this research utilizes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2008, 2012, 2016, and 2020)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Welfare. The findings indicate that key factors shaping the elderly's perception of workability encompass familial responsibilities (household and marital status) and their levels of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Econometric analysis suggests an anticipated retirement age for the elderly population ranging between 67 and 69 years. In addressing labor market demands and informing policymakers, the study proposes deliberations on extending the retirement age for individuals aged 60 to 65. This range serves as a compromise between the identified retirement age of 67 to 69 and the current average retirement age for elderly labor market participants. Bridging the disparity between the perceived workability age and the prevailing labor market baseline is crucial for achieving social consensus. Therefore, any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should carefully consider both the demand and supply perspectives within the labor market. The study's contribution lies in two main aspects: firstly, presenting a retirement age framework for the labor market that integrates the workability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secondly, providing evidence-based research outcomes to guide informed labor policies.

대졸 청년층의 내일배움카드제 참여경험과 노동시장 성과 (A Study on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Experiences and Labor Market Outcomes of the College Graduate Youth)

  • 권혜영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1호
    • /
    • pp.151-178
    • /
    • 2016
  • 본 연구는 대졸 청년층의 내일배움카드제 참여현황을 살펴보고, 참여경험이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내일배움카드제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는 2,707명(27.6%)이며, 이중 실질적으로 참여한 사람은 695명(25.7%)으로 나타났다. 내일배움카드제의 참여경험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참여경험은 취업여부와 고용형태(정규직취업)에 있어 긍정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월평균임금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결과의 함의를 도출하고, 내일배움카드제의 정책 효과성 향상을 위한 정책 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Effects of Institutions on the Labour Market Outcomes: Cross-country Analysis

  • KIM, YONG-SEONG;KIM, TAE B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9권4호
    • /
    • pp.69-94
    • /
    • 2017
  • This paper re-examines the impacts an institutional arrangement may have on labour market outcomes such as the employment and unemployment rates. Based on the results from a generalized econometric model, the generosity of unemployment insurance benefits, organized labour and active labour market policy have effects on a labour market in line with previous findings. However, taxes on labour and the degree of employment protection are found to affect neither the employment rate nor the unemployment rate. Thus, some findings in this paper validate earlier findings, whereas others do not.

Labor Market Governance and Regional Development in The Philippines: Uneven Trends and Outcomes

  • Sale, Jonathan P.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1권3호
    • /
    • pp.192-205
    • /
    • 2012
  • Globalization has fuelled the desire for simplicity and flexibility in rules and processes within nations. de Soto (2000) calls for the simplification of rules to enable people to join the formal economy. Friedman (2005) echoes the need for simpler rules, to attract business and capital. Market-based approaches to governing have been adopted in many nations due to globalization. Recent developments demonstrate that such approaches fail. Globalization may lead to impoverishment in the absence of proper forms of governance (Cooney 2000). That is why it has the tendency to become a "race to the bottom." Regulatory measures can be costly, and the costs of doing business are uneven across nations. This unevenness is being used as a comparative advantage. Others call this regulatory competition (Smith-Bozek 2007) or competitive governance (Schachtel and Sahmel 2000), which is similar to the model of Charles Tiebout. Collaborative governance is an approach that governments could use in lieu of the competitive method. Mechanisms that enable stakeholders to exchange information, harmonize activities, share resources, and enhance capacities (Himmelman 2002) are needed. Philippine public policy encourages a shift in modes of realizing labor market governance outcomes from command to collaboration (Sale and Bool 2010B; Sale 2011). Is labor market governance and regional development in the Philippines collaborative? Or is the opposite - competitive governance (Tiebout model) - more evident? What is the dominant approach? This preliminary research tackles these questions by looking at recent data on average and minimum wages, wage differentials, trade union density, collective bargaining coverage, small and bigger enterprises, employment, unemployment and underemployment, inflation, poverty incidence, labor productivity, family income, among others, across regions of the country. The issue is studied in the context of legal origins. Cultural explanations are broached.

재학 중 근로경험의 실태와 노동시장 성과 (The Effects of In-School Work Experience on Subsequent Labor Market Outcomes)

  • 이병희
    • 노동경제논집
    • /
    • 제26권1호
    • /
    • pp.1-22
    • /
    • 2003
  • 재학 중 근로경험의 실태와 이후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제1차 "청년패널" (2001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재학 중의 근로경험은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며, 이러한 근로경험은 학교교육을 마치고 첫 일자리를 획득하기까지의 이행을 신속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 첫 일자리의 임금을 높이는 효과를 갖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재학 중의 근로경험이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적극적인 직업태도를 함양하는 데는 도움을 주지만 대부분 전공과 무관한 단순업무에 그쳐 학교교육을 보완하여 평생 일자리 (career job)를 획득하는 데 나아가고 있지 않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경력중시형 노동력 수요로의 구조적인 변화에 대응하여 재학 중 근로경험을 학교교육과 연계하여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 PDF

결혼과 출산이 여성의 노동시장 성과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rriage and Childbearing on Labor Market Outcome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Women)

  • 유인경;이정민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4호
    • /
    • pp.35-86
    • /
    • 2020
  • 본 논문은 결혼과 출산이 여성의 노동시장 성과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고자 한다. 결혼 여부와 시점의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중차분-사건사 방법을 사용하였고, 결과의 강건성을 확보하기 위해 4개의 비교집단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결혼한 해에 고용확률이 약 12%p 떨어지며 결혼 6년 차에 이르면 미혼시절보다 약 46%p 낮은 고용률이 나타났다. 고용확률의 감소로 인해 근로소득 역시 결혼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반면에 주관적인 생활만족도는 중기적으로는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지만 남녀 모두 결혼 이후에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및 친인척 관계와 사회적 친분에 대한 만족도는 남녀 모두 결혼 이후 유의하게 높아졌다.

  • PDF

Higher Education Expansion and Labor Market Outcomes: The Case of Vietnam

  • TRUONG, Ha Thu;NGUYEN, Tue Da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1263-1268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dramatic increase of university and college graduates affects labor market outcomes. Using a series of seven repeated cross sections of the Vietnam Household Living Standards Surveys, this paper analyzed the changes in the rate of returns to higher education attainment along with the increased supply of university and college graduates due to the higher education expansion throughout the 2002-2014 period. The study utilized a ratio of number of university and college students to the number of upper-secondary pupils within each province as an instrumental variable to calculate the effects of higher education expansion on the labor wage. The study found that, with the basic equations, the coefficients for higher education attainmen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have positive values for the whole period. Our instrumental variables were found to be valid. For instrumental variable estimation, the return to higher education in IV earning equations was quite high.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expansion of the higher education system in Vietnam during 2002-2014 had positive effects on wages for those who increased their education attainment due to the reforms and there was a declining trend of the returns to higher education toward the end of the period.

대응일치분석을 이용한 4년제 대학졸업자들의 취업훈련기관별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Determinants of Labor Market Outcomes in Four-year graduates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orrespondence Analysis By training institution)

  • 채희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35-241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 KEEP)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 4년제 대학 졸업자들을 대상으로 노동시장 진입을 위한 성과 요인을 고찰하고, 훈련기관에 따라 노동시장 성과가 어느 정도의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탐색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첫 일자리 이행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노동시장 성과요인을 분석하였다. 노동시장 성과를 각각 (1) 첫 일자리 이행기간 (2) 고용형태 (3) 임금수준으로 명명하였다. 응답자가 취업을 위하여 훈련받은 기관의 특징가진 명목변수와 대응일치분석(correspondenc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양자 간의 연관성을 가시적인 방법으로 나타내기 위함이다. 그 결과 첫째, 첫 일자리 이행기간이 가장 짧은 훈련기관은 공공기관으로 사설학원, 대학 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고용형태 별로는 공공기관은 사설학원과 대학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일용직의 비율이 높았다. 셋째, 임금수준 별로는 공공기관의 경우 임금수준 1범위에서 3범위까지의 분포를 보였고, 사설학원의 경우는 임금수준 2범위에서 4범위까지 높은 분포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청년층의 사회진출 시 훈련기관별 노동시장 성과의 차이를 분석해 볼 수 있어, 훈련기관별 청년층 구직자의 특성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고용과 교육 고용복지를 포괄하는 정책이 확충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노동시장정책의 확대는 복지국가 재정위기 해소에 유효한가? - 소극적·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상호작용 효과 (Is Increasing of Labor Market Policy Expenditure Effective Policy Tool to Lessen the Fiscal Crisis in Welfare State? : The Interaction between Active and Passive Labor Market Policy)

  • 배은총;고혜진;조효진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4호
    • /
    • pp.185-222
    • /
    • 2017
  • 본 연구는 복지국가의 재정건전성 담보에 노동시장정책 확충이 기여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연구이다. 구체적인 분석은 20개 OECD 국가들의 1985년부터 2015년까지의 자료를 토대로 결합시계열 회귀분석과 Baron과 Kenny(1986)의 단계적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분석의 강건성 확인을 위해 시스템 동적패널분석을 추가 수행하였다. 분석모형을 설정함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간과되어온 두 측면, 노동시장정책 성과들 간의 선후 관계와 노동시장정책의 상호작용 효과를 반영하였다. 분석결과 노동시장정책은 복지국가의 부채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이때,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은 고용률을 매개하여 국가 부채 수준을 효과적으로 낮추는 것으로 나타난다. 반면에, 소극적 노동시장정책은 고용률 제고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단기적으로는 국가 부채 부담을 늘리는 경향도 있다. 다만, 이것의 영향은 적극적 노동시장정책과 결부되면 부적 영향이 상쇄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단기적으로 노동시장정책 지출 확대로 재정수지가 악화될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 이는 고용률 제고 효과를 통해 복지국가의 재정건전성을 담보하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공학계열 전공 선택 동기와 후회에 대한 남녀 차이 (Gender Disparity in Engineering: Why Chose an Engineering Major and Why Regret It?)

  • 감지혜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3-10
    • /
    • 2023
  • The underrepresentation of women in engineering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A series of policies and practices have been developed to promote gender-balanced participation in engineering. This study focuses on gender disparities in reasons for the choice of engineering majors and regret of that choice. The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s, women are found to select an engineering major primarily based on their high school GPA or CSAT scores rather than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Accordingly, women regret their major choice more than men due to mismatched expectations and abilities or unsatisfactory postgraduate labor market outcomes. The findings provide policy insights to improve gender equity in engineering by further enhancing career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