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K-99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6초

Identification of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LK-24 and its Degradability of Crystal Violet

  • Kim, Jeong-Dong;Yoon, Jung-Hoon;Park, Yong-Ha;Fusako Kawai;Kim, Hyun-Tae;Lee, Dae-Weon;Kang, Kook-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3호
    • /
    • pp.437-443
    • /
    • 2002
  • A number of soil and waste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vicinity of an effluent treatment plant for the chemical industry. Several microorganisms were screened fur their ability to decolorize the triphenylmethane group of dyes. As a result, a novel crystal violet dye-degrading strain LK-24 was isolated. Taxonomic identification including 16S rDNA sequencing and phylo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solate had a $99.5\%$ homology in its 16S rDNA base sequence with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The triphenylmethane dye, crystal violet, was degraded extensively by growing cells of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LK-24 in agitated liquid cultures, although their growth was strongly inhibited in the initial stage of incubation. This group of dyes is toxic,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used. The dye was significantly degraded at a relatively lower concentration, below $100{\mu}g\;ml^-1$, yet the growth of the cells was totally suppressed at a dye concentration of $250{\mu}g\;ml^-1$. The degradation products of crystal violet were identified as 4,4'-bis(dimethylamino)-benzophenone and ${\rho}$-dimethylaminophenol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4,4'-bis(dimethylamino)-benzophenone was easily obtained in a reasonable yield, as it was not metabolized further by S. maltophilia LK-24; however, the ${\rho}$-dimethylaminophenol was not easily identifiable, as it was further metabolized.

미생물 에폭사이드 가수분해효소 활성을 이용한 유기용매에서의 광학활성 para-Nitrostyrene Oxide 생산 (Enantioselective Resolution for the Preparation of Chiral para-Nitrostyrene Oxide by Microbial Epoxide Hydrolase in an Organic Solvent)

  • 배현철;김현숙;이수정;이은열;양승택;김희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23-426
    • /
    • 2002
  • 방향족 에폭사이드 기질에 대한 입체선택적 가수분해 활성이 우수한 Aspergillus niger LK를 이용하여 광학활성 (S)-para-nitrostyrene oxide를 제조하였다. 수용액에서 기질 의 낮은 용해도를 극복하기 위하여 유기용매에서 광학분할 반응을 수행하였으며, 생촉매 활성 저하가 가장 적은 dodecane을 유기용매로 선정하였다. 반응온도 3$0^{\circ}C$ 및 최적 water content 2% (v/v)의 조건에서 약 10시간 정도의 반응을 통해 ee 값이 100 %인 광학적으로 순수한 (S)-para-nitrostyrene oxide를 37% 정도(이론수율 : 50 %)의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었다.

Burkholderia sp. OS17의 항균활성 증진을 위한 배양최적화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urkholderia sp. strains and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 남영호;최아영;황병수;정유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28-435
    • /
    • 2018
  • 본 연구는 담수환경에서 항균활성을 보유한 미생물을 발굴하고, 활성 증진을 위해 배양조건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상주시 중동면 오상저수지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38종의 미생물을 순수분리하였다.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에 근거하여 Proteobacteria강(22종), Actinobacteria강(7종), Bacteroidetes강(6종), Firmicutes강(3종)으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군 등 10종의 유해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보유한 Burkholderia sp. OS17 균주를 선발하였다. 항균활성 증진을 위한 상용배지, 온도, 초기 pH별 생육 및 항균활성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OS17 균주는 YPD 배지, $35^{\circ}C$, pH 6.5로 배양했을 때 가장 활성이 높았다. LB, NB, TSB, R2A 배지와 $20^{\circ}C$, $25^{\circ}C$ 배양했을 때는 생장은 가능하나 항균활성이 전혀 없었다. 이전결과를 바탕으로 YPD 배지, $35^{\circ}C$에서 배양하면서 5 L fermenter를 이용하여 생육, 항균활성, pH 확인을 통해 배양 48시간을 최적 배양시간으로 선정하였다. 항균활성을 보유한 미생물의 배양 최적화는 항균물질 생산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상업적 응용에 이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b10-xCux(PO4)6O polycrystalline samples

  • Huiwon Kim;Minsik Kong;Minjae Kim;Seohee Kim;Jong Mok Ok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5-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PCPO 물질에서 보고된 초전도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arXiv 원논문에서 보고된 시료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PCPO 시료를 합성하였다. X선 회절 분석을 통해 PCPO상이 성공적으로 합성됨을 확인하였으나, 많은 불순물상이 함께 형성되는 것 역시 관측하였다. 전기저항 측정을 통해 360~380 K 및 ~160 K 온도 근처에서 저항 변화를 관측하였으며, 이는 합성과정에서 형성된 불순물 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고순도의 PCPO 시료 제조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어, 화학 양론적으로 정확한 화학 반응을 통해 불순물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구체를 활용한 합성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였다. 하지만 활용된 전구체의 높은 안정성과 고온에서의 강한 휘발성으로 인하여 PCPO상 합성이 효과적으로 이뤄지지는 않았다. PCPO상의 물성을 정확히 측정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순도의 PCPO시료 제작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반응성을 높이면서 불순물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절한 전구체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