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8초

문헌정보학분야 연구자들의 학회지 게재논문과 인용학술지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the Articles and Cited Journals Suggested by LIS Researchers of Korea)

  • 조인숙;한미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9-105
    • /
    • 2007
  • 본 연구는 동일한 학문분야를 전공하는 연구자들의 연구행태를 분석하여 그 분야의 연구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학술지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가를 조사하고 해당 대학도서관에서 필수적으로 구독해야 할 학술지 구독리스트를 제안하는 데 있다. 이러한 인용문헌 분석결과는 국내 문헌정보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각 대학도서관에서 구독하고 있는 문헌정보학분야의 소장 학술지의 과부족을 파악하여 국내외 학술지 구독 선정을 위한 기준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성과 문헌정보학 (Women and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 김갑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1-212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에서의 여성관련연구를 검토하고, 여성주의 문헌정보학을 전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정보생산자, 정보이용자, 정보관리자로 여성관련연구를 범주화한 여성의 재현양식을 제시하고, 지난 27년간 (1970-1996)의 국내외 21종의 주요 문헌정보학 학술지의 여성관련연구 83편을 분석하였다. 여성주의 문헌정보학은 여성주의 이론을 인식론적 기반으로 하여, 문헌정보학 연구에 있어 성별을 유용한 분석범주로 채택하는 것이다 .

  • PDF

ALA인가 문헌정보학 학위 과정의 데이터 사서 양성과 관련된 교과목의 강의계획서 분석 (An Examination of the Course Syllabi Related to Data Librarian in the ALA-accredite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gree Programs)

  • 박형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07-33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2023년 미국도서관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LA)인가 문헌정보학 학위과정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사서와 관련된 교과목의 강의계획서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2023년 ALA인가 문헌정보학과에서 공개한 강의계획서 184개를 수집하였다. 데이터 사서의 주요 역량인 데이터 관리와 큐레이션,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메타데이터, 정보 서비스, 도서관 경영, 연구 방법론, 학술 도서관, 컴퓨터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과목 등을 식별하였다. 이에 기반하여 데이터 사서와 관련된 강의계획서 127개를 식별한 후, 강의계획서의 내용을 집중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교과목 명, 교과목 목표, 교과목 설명, 교육 내용, 과제(assignments)를 집중 분석하였다. 데이터 사서 양성을 위한 국내외 교과목의 비교를 위하여 국외 61개 문헌정보학과에서 개설한 교과목 명 3,045개, 교과목 설명 2,559개와 국내 37개 문헌정보학과에서 개설한 1,330개의 교과목 명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국내외 문헌정보학과 모두 데이터 사서 양성을 위한 교과목을 골고루 개설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문헌정보학과에서 데이터 사서 양성을 위한 교육 과정의 개발 및 개정 시 논의의 시작점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문헌정보학 전공의 진로탐색을 위한 애자일 기반 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Agile-based Data Analysis Framework for Career Explor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이정윤;김학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89-210
    • /
    • 2024
  • 문헌정보학 전공자는 사서직 공무원,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등 도서관 분야로 취업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최근의 정보기술 발전과 직업관의 변화는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진로를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하고 있다. 진로탐색에 대한 연구는 대학의 전공 또는 직업군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지속적인 진로탐색을 위해 애자일 방식으로 설문조사와 데이터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진로탐색 조사에 대한 결과를 분석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문헌정보학 전공자는 사회변화에 따라 급여, 가치관에 대한 변화가 있고, 사서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직종을 희망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진로탐색을 위한 효과적인 지원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문헌정보학과 현장분야로서 학교도서관의 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ue of School Libraries in the LIS(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he Field of Libraries in Korea)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3-97
    • /
    • 2013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문헌정보학과 현장분야로서 학교도서관의 가치를 규명하고, 가치실현을 위한 과제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은 국민 대다수가 경험하는 초 중 고 학생을 이용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문헌정보학과 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일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되며, 문헌정보학의 지속적 연구분야로서 그리고 양질의 사서직 진출분야로서 높은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교도서관의 가치실현을 위해서는 사서교사를 중심으로 하는 전담인력배치에 대한 도서관계의 협력과 법제화 노력이 필요하며, 전문성 높은 사서교사의 양성과 더불어 학교도서관 현장연구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연구인력을 확대해야 한다.

독자상담을 위한 사서교육에 관한 연구 (Education for Readers' Advisory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grams)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73-98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북미 공공도서관의 독자상담에 주목하고, 독자상담과 관련한 사서직의 역할과 독자상담 사서의 양성실태를 고찰해보았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미도서관협회(ALA)가 승인한 문헌정보대학원(미국 50개 대학과 캐나다 7개 대학)을 대상으로 독자상담 및 관련 교과목을 조사하여 교수요목과 교수계획표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독자상담과 관련한 교과목의 운영현황과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우리나라 문헌정보학에서 도서관의 독서서비스 및 사서교육과 관련하여 검토할 사항과 과제를 논의해보았다.

  • PDF

Information Dimension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octoral Mentoring: Qualitative Findings

  • Lee, Jongw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5-28
    • /
    • 2018
  • Socialization of doctoral students refers to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y acqui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bout their work, department, university, and discipline for their future career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nformation behaviors, with emphasis on identifying types of information exchanged in mentoring between faculty advisors and their doctoral studen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As a first step to developing a content framework for LIS doctoral mentoring, the author interviewed ten LIS doctoral students from nine U.S. universities. Based on data from these interviews, the author identified sixteen types of information exchanged: language, history, coursework, research, skills, teaching, networking, structure, politics, goals, strategies, values, norms/tradition, rules/policies, benefits, and personal life. In comparison with a content framework used, four dimensions were newly added. In addi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content dimensions, the author observed four meaningful contextual levels to which the content types can be applied: work, department/school, university, and discipline. The qualitative data also showed that interpersonal factors of advisees/advisors and contextual factors might relate to information exchange in doctoral mentoring. In a following paper, the author will present the results of a follow-up survey that tests and generaliz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정체성과 미래의 전망 (Identity and a view to the future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

  • 구본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93-113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정체성을 밝히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교과과정, 전통적인 도서관 대 가상도서관으로의 변화, 전통적인 기술 업무에서 이용자 중심 서비스로의 변화, 그리고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기술과 역할에 대해 제시하였다. 전통적으로 사서직의 가치는 인문학적이고 민주적인 것이었으며, 사람들의 지혜를 증진시키고 오락을 제공하며 그리고 교육을 담당하여 도서관 이용자들의 지식과 삶을 향상시키고 풍요롭게 하는 문화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사서직 기능). 그런데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정보의 양이 급증하고, 다양한 정보매체와 정보형태는, 적절한 정보를 적자(이용자)에게 적시에 제공하기 위해, 정보검색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보창출을 위한 정보전달의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정보전문직 기능). 현재 우리는 전통적인 도서관과 디지털도서관 환경을 함께 맞고 있다. 전통적인 도서관에서는 기록정보를 보전 전승하는 문화적인 기능이 강하고, 디지털 도서관은 정보전달과 정보공유의 기능이 강하다. 전통적인 도서관과 디지털 도서관이 공존할 수 밖에 없는 현재의 정보환경에서, 사서직과 정보전문직의 기능을 함께 수행해야 할 막중한 책임이 우리에게 있기 때문에 문헌정보학의 정체성 규명은 필요한 연구이다.

Research Output of the Pakistani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uthors: A Bibliometric Evaluation of Their Impact

  • Anwar, Mumtaz Ali;Jan, Sajjad Ullah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5권2호
    • /
    • pp.48-61
    • /
    • 2017
  • This paper uses 601 cited papers of Pakistani LIS researchers with the purpose to examine the individual performance of thes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researchers in terms of their research output and its impact on the LIS (national/international) literature by using various bibliometric indicators. A list of 139 authors was compiled with the help of the Library,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bstracts (LISTA) and some other sources. Data were collected from Google Scholar and SPSS version 20 was utiliz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itations and various performance indices of the authors. The average citations received per paper vary from 1.80 to 10.08. About half of the papers were single-authored whereas less than one-fifth were by three or more authors. The authors who worked in collaboration produced more papers and received more citations. The h-index, g-index, hI-index, hI-norm, and e-index were used to determine the rank for each author. The intra-group citations grid revealed the volume of self-citations and a small group who cite each other more due to close academic and social relationships. The correlations between self-citations and the impact indices used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Findings are useful for concerned institutions regarding award, promotions, etc. Further, future research should seriously consider the self-citations and social networking of authors while examining their citations-based research performance.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신규교과목 개설추이 분석 연구 (A Study on New Courses Offered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9-5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년간(1991년~2011년)의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교과목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총 개설과목 수가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왔고, 학부제로 전환하면서 학부기초과목 수는 증가하였고, 핵심과목 수는 감소하였으며, 다시 학과제로 전환하면서 학부기초과목 수는 감소하고, 핵심과목 수는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국 34개 4년제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을 문헌정보학일반, 정보조직학, 정보조사제공학, 도서관 정보센터경영학, 정보학, 서지학, 기록관리학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분포도를 조사하였는데, 지난 20년간 정보조사제공학과 정보학 분야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서 그 교과목 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서 사라진 과목, 과목 명칭이 바뀐 과목, 여러 과목이 통합된 과목, 하나의 과목이 여러 과목으로 세분화된 과목, 그리고 시대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과목들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