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F(Low Frequency)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2초

위기허증으로 진단된 소화불량 환자의 임상적 특징; 위전도 검사를 중심으로 (Clinical Features of Electrogastrogram in Dyspeptic Patients with Stomach Qi Deficiency)

  • 정해인;김동윤;백소영;이하늘;이현진;조윤재;하나연;김진성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467-477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taneous electrogastrogram (EGG) and other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yspeptic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Stomach Qi Deficiency (SQD) using the Scale for Stomach Qi Deficiency (SSQD). Methods: This study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of 38 patients with dyspepsia who were evaluated with SSQD and EGG at the Department of Digestive Diseases of Kyung 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in Seoul, Korea from November 1, 2019 to February 29, 2020. We evaluated the EGG and other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QD patients to determine if there was an association between the SSQD scores and the EGG. Results: In terms of the EGG, the SQD patients showed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normal slow wave after a meal and a slightly decreased power ratio at Channel 1 and Channel 2. We also found an association between the SSQD scores and the EGG parameters at Channel 1 and Channel 3. The average Ryodoraku score of the patients was 33.00±14.90 (μA). In the Heart Rate Variability (HRV) test, the average Total Power (TP) and Low Frequency/High Frequency (LF/HF)) ratio was 1356.60±13 6.41(ms2) and 1.68±2.25,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linicians can use Electrogastrography to enhance accuracy when diagnosing the SQD pattern.

갱년기 여성의 안면홍조 증상에 대한 국내 한의학 연구 동향 분석 (A Review on Domestic Study Trends on Hot Flush in Menopausal Women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 홍누리;장영숙;양수현;최윤영;오다윤;이수진;남궁진;김진환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6-103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domestic trend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on Hot flush in menopausal women. Methods: We searched six databases and selected relevant papers according to the criteria. Results: 12 papers included case report, literature review,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RCTs), Non-RCTs, and retrospective chart analysis study design. 1. The daily diary, Kupperman's Index, Menopause Rating Scale, Menopause-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were used as a measure of the symptoms of hot flush.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rmographic images, Pulse energy, Lifestyle Habits, Low frequency power/High frequency power (LF/HF) ratio and certain items of Menopausal Symptoms Measurement. 3. The case report using Er-Xian decoction and Hwangryunhaedoktang-Gamibang showed significant effect. 4. Domestic RCT studies using herbal or acupuncture treatments showed a significant value of 3.4 on average in the quality assessment conducted in the study. However, the number of domestic studies included was five, which is not enough compared to foreign countries.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domestic research trends on hot flushes of menopausal women and found that various evaluation tools and diagnostic methods were applied. It is necessary to conduct various RCT studies in Korea, where the number of studies is insufficient compared to overseas.

교대근무자에서 각 교대근무간의 수면양상 및 자율신경계 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Sleep Patterns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among Three Shifts in Shiftworkers)

  • 윤인영;하미나;박정선;송병근
    • 수면정신생리
    • /
    • 제7권2호
    • /
    • pp.96-101
    • /
    • 2000
  • 목 적 : 본 연구는, 교대근무자에 있어 세 교대근무간의 수면양상과 자율신경계활동성을 비교함으로써, 근무자들은 어떤 근무시에 가장 적합하다고 느끼는지 그리고 교대근무자의 심리적, 신체적 문제점의 특성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근무자들이 교대근무에 좀 더 효과적으로 적응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기획되었다. 방 법 : 3일 정도 연속적으로 한 교대근무를 한 후 1일 휴무, 그 다음에 다른 교대로 넘어가는 빠른 순환주기의 교대근무자 5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각 대상은 수면일기를 작성하였으며 수면잠복기, 수면기간시간, 수면 중 깨어난 횟수를 세 교대근무간에 비교하였다. Epworth 졸음척도와 시각아날로그척도를 사용하여 졸음을 평가하였으며 기분상태는 기분상태척도로 평가하였다. 심박수변동성과, 스트레스 호르몬(아드레날린, 노르아드레날린) 및 그 대사산물을 측정하여 자율신경계 활동성을 살펴보았다. 심박수변동성에는 저주파영역의 스펙트럼 파워, 고주파영역의 스펙트럼 파워, 저주파영역의 파워와 고주파영역의 파워간의 비가 포함되었다. 결 과 : 수면기간시간은 오후근무시 가장 길었고 수면잠복기는 밤근무시 가장 짧았다. 깨어났을 때의 각성도는 오전근무시 가장 저하되었고 작업 중의 각성도는 밤근무 중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밤근무시 근무자들은 신체적인 피곤감과 인지기능의 저하를 호소하였다. 심박수변동성의 비교를 통해 오후근무시 부교감신경계가 가장 활성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아드레날린 및 노르아드레날린 분비도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지만 오후근무시 가장 감소하였다. 결 론 : 본 연구결과 오후근무가 교대근무자에게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전근무시에는 빛을 아침에 투여하고 밤근무시에는 근무 중에 빛을 투여하면 교대근무에의 적응이 촉진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드러밍 운동이 과체중 여성의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umming exercise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overweight women)

  • 권정인;이재훈;조준용;오유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19-232
    • /
    • 2024
  • 이 연구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와 드러밍 운동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30-50대의 성인 여성10명을 체질량지수가 정상인 집단(Low BMI, LBMI <23kg/m2)과 과체중 이상인 집단(High BMI, HBMI>23kg/m2)으로 나누어 드러밍 운동을 실시하였다. 드러밍 운동은 1회 50분, 주 3회, 8주간 실시하였으며, 운동 전후 신체조성과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였다. 심박변이도는 선형분석인 시간 영역 분석과 주파수 영역 분석을 통해 SDNN(Standard Deviation of NN interval), RMSSD(Root Mean Square of the Successive Differences), HF(High Frequency), LF(Low Frequency), TP(Total Power)를 측정하였다. 비선형분석인 푸앵카레 플롯(Poincaré plot)을 통해 SD1(Standard Deviation of the distance of each point from the y = x axis), SD2(Standard Deviation of each point from the y = x + average R-R interval), SD2/SD1을 측정하였다. 자율신경계 지수로 부교감신경계지수(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Index; PNS Index)와 교감신경계지수(Sympathetic Nervous System; SNS Index)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운동 전 심박변이도에서 HBMI 집단과 LBMI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8주간의 드러밍 운동 후에는 HBMI 집단이 LBMI 집단에 비해 체중(p=0.034), 체질량지수(p=0.044), 체지방량(p=0.032), 허리둘레(p=0.013)에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심박변이도에서 HBMI 집단은 LBMI 집단에 비해 선형 분석에서 RMSSD(p=0.018)와 TP(p=0.033), 비선형분석에서는 SD1(p=0.018), 자율신경계지수에서는 PNS Index(p=0.040)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RMSSD, SD1 및 PNS Index는 부교감신경계의 활동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결론적으로 8주간의 드러밍 운동이 과체중 이상 여성의 자율신경계 중 부교감신경계의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