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U

검색결과 683건 처리시간 0.026초

버섯의 항암효과 -영자 균사체 다당류의 항종양 활성-

  • 이준우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1997년도 창립 10주년기념 학술심포지움 행사집
    • /
    • pp.13-14
    • /
    • 1997
  • 영지의 약리효과는 triterpenoid계의 저분자와 polysaccharide인 고분자로 대별할 수 있다. 저분자 물질은 항염증작용, 항알러지작용, 간암세포 성장 억제작용, 혈압 강하작용, 혈소판 응집저해작용 등이 있으며, 고분자 물질은 혈압강하작용, 정혈작용, 고지혈증 개선작용, 혈당 강하작용, 면역 증강작용 및 항종양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의 영지에 관한 연구는 주로 자실체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들의 산지, 환경조건, 채집시기 및 실험자들에 따라 약리 효과 등에 많은 차이가 있다. 이들에 대한 효과가 영지의 대표적 약리효과라고 언급하기엔 부족한 점이 많으므로 약리효과가 우수하고 일관성이 있는 영지 유래 다당류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균사체의 대량배양법 및 분리방법이 확립 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항암활성 다당류의 개발을 위해 국내 자생 영지를 채집하여 검색 및 계통적 분류를 행하였으며 분리된 균주의 최적 액체배양 조건, 다당류 분리 조건, 다당류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약리활성 등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약리활성이 우수한 G- lucidum IY009 균주를 선발 하였다. 구조적 특징과 종양 면역 활성과의 관계 규명을 위해, G- lucidum IY009 배양균사체로부터 다당류를 T-AS, U-AS, M-AS, S 및 H로 분획 하였다. 추출조건에 따른 다당류 GLG의 수율은 열수 추출 분획이 2.98g/l로 가장 높았으며, U-AS및 T-AS에서 각각 2.32g/l, 2.07g/l이었다. GLG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용성과 비수용성으로 분리한 결과 수용성 분획은 비수용성 분획보다 높은 당 함량을 나타냈으며, T-AS는 70.3%의 당과 7.8%의 단백질로 구성 되었다. GLG 대부분의 분획들은 60~93%의 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으며, 주로 $\beta$-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다. 아미노산은 Asp 및 Glu의 산성 아미노산과 Ala, Leu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알칼리 추출물에서 Ser과 Thr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는 평균 분자량이 2,000 kD와 12kD에서 주 peak를 나타냈으며, 수용성 분획의 평균 분자량은 12kD이고 비수용성 분획은 36~2,000 kD의 평균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IR과 NMR 분석 결과 890 cm-1에서 흡수 peak를 나타내어 $\beta$-(1,3)0glucan과 $\beta$-(1,6)-glucan의 구조를 갖는 다당류로 확인 되었다. T-AS 분획은 C:H:O:N의 함량비가 38.9:5.7:49.6:1.84%이며, 이 물질의 융점은 163 $^{\circ}C$로 연한 갈색을 나타낸다. 분리된 GLG의 항암활성 기전 규명을 위해, in vivo 항암실험, 항보체 활성능, 항체 생성능, serum protein 분비능, 대식세포의 탐식능과 활성능 및 세포간 물질 분비 등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다당류 GLG 분획물들 가운데 항보체의 활성이 높았던 분획은 sarcome 180에 대한 항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의 보체 활성화 기작은 classical과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의 양 경로를 통해 활성화 되었다. T-AS 분획은 mouse내의 특정 혈청단백을 증가시켰으며, 항체 생성능의 증가가 관찰되어 effect T 세포의 활성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AS는 생체내 투여시에 대식세포의 탐식능이 증진되었으며, 대식세포 기능 저해제에 의한 대식세포의 기능 저해 현상이 회복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로부터, T-AS의 항암 활성은 활성화된 보체 성분 및 당 수용체들이 존재하는 대식세포의 개입을 시사한다.

  • PDF

유산균의 항암효과

  • 배형석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1997년도 창립 10주년기념 학술심포지움 행사집
    • /
    • pp.15-17
    • /
    • 1997
  • 암 발생의 원인 중 80% 이상이 식사습관과 환경오염에 있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음식물, 담배, 술, 대기오염, 스트레스, 자외선이 그 대표적인 원인물질로 꼽을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매일 섭취하는 음식물이 가장 중요한 발암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대장암과 유방암의 발생에 대한 Wynder 등의 역학조사에서도 식사습관이 암 발생에 중요함을 시사 하고 있다. 동물성 단백질과 지방의 다량 섭취가 대장암과 유방암의 발생을 증가 시키고 섬유질이 풍부한 곡류와 야채의 섭취는 대장암 발생을 억제한다는 상관관계가 밝혀졌다. 그러나 우리가 늘 섭취하는 음식물 자체는 대장암과 유방암을 유발하는 기능이 거의 없다. 섭취된 음식물이 암을 일으키려면 장내 부패 미생물의 분해작용에 의하여 발암물질로 변환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 발암물질들이 장관으로 흡수 자극함으로써 암을 유발할 수 있다. 반대로 일부장내 미생물들은 장내 발암물질들을 무독화 하거나 숙주의 면역기능을 증강 시킴으로써 암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Mitsuoka는 장내 미생물이 암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강조하였다. Veer 등은 유산균 발효유를 많이 섭취하면 유방암 발생이 억제됨을, 국제암연구위원회는 섬유질을 많이 섭취하고 있는 핀란드 쿠피오의 거주자들에게는 덴마크의 코펜하겐에 거주하는 사람들에 비하여 대장암 발생율이 1/4에 불과하고 분변내 유산간균수는 100배 높은 사실을 역학조사에서 밝혔다. 이 외에 유산균과 발효유제품의 항암효과에 대한 실험결과들이 많이 발표되었다. 여기에서는 유산균의 항암효과에 대한 지금까지의 관련 자료들을 요약, 정리하여 고찰하고자 한다.높은 당 함량을 나타냈으며, T-AS는 70.3%의 당과 7.8%의 단백질로 구성 되었다. GLG 대부분의 분획들은 60~93%의 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으며, 주로 $\beta$-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다. 아미노산은 Asp 및 Glu의 산성 아미노산과 Ala, Leu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알칼리 추출물에서 Ser과 Thr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는 평균 분자량이 2,000 kD와 12kD에서 주 peak를 나타냈으며, 수용성 분획의 평균 분자량은 12kD이고 비수용성 분획은 36~2,000 kD의 평균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IR과 NMR 분석 결과 890 cm-1에서 흡수 peak를 나타내어 $\beta$-(1,3)0glucan과 $\beta$-(1,6)-glucan의 구조를 갖는 다당류로 확인 되었다. T-AS 분획은 C:H:O:N의 함량비가 38.9:5.7:49.6:1.84%이며, 이 물질의 융점은 163 $^{\circ}C$로 연한 갈색을 나타낸다. 분리된 GLG의 항암활성 기전 규명을 위해, in vivo 항암실험, 항보체 활성능, 항체 생성능, serum protein 분비능, 대식세포의 탐식능과 활성능 및 세포간 물질 분비 등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다당류 GLG 분획물들 가운데 항보체의 활성이 높았던 분획은 sarcome 180에 대한 항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의 보체 활성화 기작은 classical과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의 양 경로를 통해 활성화 되었다.

  • PDF

이동 객체의 패턴 탐사를 위한 시공간 데이터 일반화 기법 (KISS Korea Computer Congress 2007)

  • 고현;김광종;이연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4 No.1 (C)
    • /
    • pp.153-158
    • /
    • 2007
  • 사용자들의 특성에 맞게 개인화되고 세분화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이동 객체의 위치 이력 데이터 집합으로부터 유용한 패턴을 추출하여 의미 있는 지식을 탐사하기 위한 시공간 패턴 탐사가 필요하다. 현재까지 다양한 패턴 탐사 기법들이 제안되었으나 이동 패턴들 중 단순히 시공간 제약이 없는 빈발 패턴만을 추출하기 때문에 한정된 시간 범위와 제한적인 영역 범위 내에서의 빈발 패턴을 탐사하는 문제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패턴 탐사 수행 시 데이터베이스를 반복 스캔하여 탐사 수행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를 포함하거나 메모리상에 탐사 대상인 후보 패턴 트리를 생성하는 방법을 통해 탐사 시간을 줄일 수는 있으나 이동 객체 수나 최소지지도 등에 따라 트리를 구성하고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인 패턴 탐사 기법의 개발이 요구됨으로써 선행 작업으로 본 논문에서는 상세 수준의 객체 이력 데이터들의 시간 및 공간 속성을 의미 있는 시간영역과 공간영역 정보로 변환하는 시공간 데이터 일반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공간 개념 계층에 대한 영역 정보들을 영역 Grid 해쉬 테이블(AGHT:Area Grid Hash Table)로 생성하여 공간 인덱스트리인 R*-Tree의 검색 방법을 이용해 이동 객체의 위치 속성을 2차원 공간영역으로 일반화하고, 시간 개념 계층을 생성하여 이동 객체의 시간적인 속성을 시간 영역으로 일반화함으로써 일반화된 데이터 집합을 형성하여 효율적인 이동 객체의 시간 패턴 마이닝을 유도할 수 있다.의 성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onium sulfate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가장 저조(低調)하였다. vitamin중(中)에서는 niacin과 thiamine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근소(僅少)한 증가(增加)를 나타내었다.소시켜 항이뇨 및 Na 배설 감소를 초래하는 작용과, 둘째는 신경 경로를 통하지 않고, 아마도 humoral factor를 통하여 신세뇨관에서 Na 재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이 복합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으로 초래되는 복합적인 기전으로 추정되었다., 소형과와 기형과는 S-3에서 많이 나왔다. 이상 연구결과에서 입도분포가 1.2-5mm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omopolysaccharides로 확인되었다. EPS 생성량이 가장 좋은 Leu. kimchii GJ2의 평균 분자량은 360,606 Da이었으며, 나머지 두 균주에 대해서는 생성 EPS 형태와 점도의 차이로 미루어 보아 생성 EPS의 분자구조와 분자량이 서로 다른 것으로 판단하였다.TEX>개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eat shock protein-70 (HSP70)과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에 대한 면역조직화학검사에서 실험군 Cs2군의 신경세포가 대조군 12군에 비해 HSP70과 nNOS의 과발현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nNOS와 HSP70의 발현은 강한 연관성을 보였고(상관계수 0.91, p=0.000), nNOS를 발현하는 세포가 동시에 HSP70도 발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우리는

  • PDF

Upregulation of Lipopolysaccharide-Induced Interleukin-10 by Prostaglandin $A_1$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 Kim, Hyo-Young;Kim, Jae-Ryong;Kim, Hee-S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170-1178
    • /
    • 2008
  • The cyclopentenone prostaglandins (cyPGs) prostaglandin $A_1$ ($PGA_1$) and 15-deoxy-${\Delta}^{12,14}$-prostaglandin $J_2$ (15d-$PGJ_2$) have been reported to exhibit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activated monocytes/macrophages. However, the effects of these two cyPGs on the expression of cytokine genes may diff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echanism of action of $PGA_1$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expression of inter leu kin (IL)-10 mRNA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15d-$PGJ_2$ inhibited expression of LPS-induced IL-10, whereas $PGA_1$ increased LPS-induced IL-10 expression. This synergistic effect of $PGA_1$ on LPS-induced IL-10 expression reached a maximum as early as 2 h after simultaneous $PGA_1$ and LPS treatment ($PGA_1$/LPS), and did not require new protein synthesis. The synergistic effect of $PGA_1$ was inhibited by GW9662, a specific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PPAR{\gamma})$ antagonist, and Bay-11-7082, a NF-${\kappa}B$ inhibitor. The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ERK) inhibitor PD98059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GA_1$/LPS-induced IL-10 mRNA, rather than inhibiting the IL-10 expression. Moreover, $PGA_1$ inhibited LPS-induced ERK phosphorylation. The synergistic effect of $PGA_1$ on LPS-induced IL-10 mRNA and protein production was inhibited by p38 inhibitor PD169316, and $PGA_1$ increased LPS-induced p38 phosphorylation. In the case of stress-activated protein kinase/c-Jun $NH_2$-terminal kinase (SAPK/JNK), the SAPK/JNK inhibitor SP600125 did not inhibit IL-10 mRNA synthesis but inhibited the production of IL-10 protein remarkab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ynergistic effect of $PGA_1$ on LPS-induced IL-10 expression is NF-${\kappa}B$-dependent and mediated by mitogen-activated protein (MAP) kinases, p38, and SAPK/JNK signaling pathways, and also associated with the $PPAR{\gamma}$ pathway. Our data may provide more insight into the diverse mechanisms of $PGA_1$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cytokine genes.

Trametes villosa Lignin Peroxidase (TvLiP): Genetic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 Carneiro, Rita Terezinha de Oliveira;Lopes, Maiza Alves;Silva, Marilia Lordelo Cardoso;Santos, Veronica da Silva;Souza, Volnei Brito de;Sousa, Aurizangela Oliveira de;Pirovani, Carlos Priminho;Koblitz, Maria Gabriela Bello;Benevides, Raquel Guimaraes;Goes-Neto, Aristoteles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179-188
    • /
    • 2017
  • White-rot basidiomycetes are the organisms that decompose lignin most efficiently, and Trametes villosa is a promising species for ligninolytic enzyme production. There are several publications on T. villosa applications for lignin degradation regarding the expression and secretion of laccase and manganese peroxidase (MnP) but no reports on th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gnin peroxidase (LiP), a relevant enzyme for the efficient breakdown of lignin.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partially characterize, for the first time, gDNA, mRNA, and the corresponding lignin peroxidase (TvLiP) protein from T. villosa strain CCMB561 from the Brazilian semiarid region. The presence of ligninolytic enzymes produced by this strain grown in inducer media wa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nalyzed by spectrophotometry, qPCR, and dye fading using Remazol Brilliant Blue R. The spectrophotometric analysis showed that LiP activity was higher than that of MnP. The greatest LiP expression as measured by qPCR occurred on the $7^{th}$ day, and the ABSA medium (agar, sugarcane bagasse, and ammonium sulfate) was the best that favored LiP expression. The amplification of the TvLiP gene median region covering approximately 50% of the T. versicolor LPGIV gene (87% identity); the presence of Trp199, Leu115, Asp193, Trp199, and Ala203 in the translated amplicon of the T. villosa mRNA; and the close phylo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vLiP and T. versicolor LiP all indicate that the target enzyme is a lignin peroxidase. Therefore, T. villosa CCMB561 has great potential for use as a LiP, MnP, and Lac producer for industrial applications.

Inhibition of Microbial Quorum Sensing Mediated Virulence Factors by Pestalotiopsis sydowiana

  • Parasuraman, Paramanantham;Devadatha, B;Sarma, V. Venkateswara;Ranganathan, Sampathkumar;Ampasala, Dinakara Rao;Reddy, Dhanasekhar;Kumavath, Ranjith;Kim, In-Won;Patel, Sanjay K.S.;Kalia, Vipin Chandra;Lee, Jung-Kul;Siddhardha, Bus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571-582
    • /
    • 2020
  • Quorum sensing (QS)-mediated infections cause severe diseases in human beings. The control of infectious diseases by inhibiting QS using antipathogenic drugs is a promising approach as antibiotics are proving inefficient in treating these diseases. Marine fungal (Pestalotiopsis sydowiana PPR) extract was found to possess effective antipathogenic characteristics.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 fungal extract against test pathogen Pseudomonas aeruginosa PAO1 was 1,000 ㎍/ml. Sub-MIC concentrations (250 and 500 ㎍/ml) of fungal extract reduced QS-regulated virulence phenotypes such as the production of pyocyanin, chitinase, protease, elastase, and staphylolytic activity in P. aeruginosa PAO1 by 84.15%, 73.15%, 67.37%, 62.37%, and 33.65%, respectively. Moreover, it also reduced the production of exopolysaccharides (74.99%), rhamnolipids (68.01%), and alginate (54.98%), and inhibited the biofilm formation of the bacteria by 90.54%. In silico analysis revealed that the metabolite of P. sydowiana PPR binds to the bacterial QS receptor proteins (LasR and RhlR) similar to their respective natural signaling molecules. Cyclo(-Leu-Pro) (CLP) and 4-Hydroxyphenylacetamide (4-HPA) were identified as potent bioactive compounds among the metabolites of P. sydowiana PPR using in silico approaches. The MIC values of CLP and 4-HPA against P. aeruginosa PAO1 were determined as 250 and 125 ㎍/ml, respectively. All the antivirulence assays were conducted at sub-MIC concentrations of CLP (125 ㎍/ml) and 4-HPA (62.5 ㎍/ml), which resulted in marked reduction in all the investigated virulence factors. This was further supported by gene expression studie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metabolites of P. sydowiana PPR can be employed as promising QS inhibitors that target pathogenic bacteria.

Fish Roe Concentrates의 제조과정 중에 발생하는 Processed Waters의 식품기능성과 생리활성 (Food Functionality and Biological Activity of Processed Waters Produced during the Preparation of Fish Roe Concentrates by Cook-dried Process)

  • 윤인성;이균우;강상인;박선영;김진수;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506-519
    • /
    • 2017
  • This study evaluated the protein recovery and function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y of boiled and steamed process water (BPW and SPW, respectively) generated from the preparation of concentrated roe of bastard halibut (BH; Paralichthys olivaceus), skipjack tuna (ST; Katsuwonus pelamis), and yellowfin tuna (YT; Thunnus albacares) using the cook-dry process. The protein loss from the water extracts (EXT) of 100 g of roe protein was 15.05-19.71% and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of BPW (5.47-10.34%) and SPW (3.88-8.18%). The foam capacity of BPW (166-203%) and SPW (15-194%) was better than that of EXT. The emulsifying activity index of the original samples was lower than those ($15.40-107.86m^2/g$) of diluted protein samples.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reducing power of BPW and SPW were stronger than those of EXT.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XT (0.028-0.045mg/mL) was significantly higher those of BPW and SPW. Th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of SPW was the highest for BH (1.04 mg/mL), followed by YT and ST. The predominant amino acids in SPW were Glu, Ala, Leu, and Hi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rocessing water containing diluted organic components, including protein, can be consumed directly by humans as a functional reinforcing material after appropriate concentration processes.

Comparative Efficacy of Plant and Animal Protein Sources on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Morphology and Caecal Microbiology of Early-weaned Pigs

  • Yun, J.H.;Kwon, I.K.;Lohakare, J.D.;Choi, J.Y.;Yong, J.S.;Zheng, J.;Cho, W.T.;Chae, B.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9호
    • /
    • pp.1285-1293
    • /
    • 2005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nd compare the effects of various animal and plant protein sources on piglet' performance,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and gut morphology in weaned pigs until 28 days after weaning. The plant protein sources used were soybean meal (SBM), fermented soy protein (FSP), rice protein concentrate (RPC); and animal protein sources tested were, whey protein concentrate (WPC) and fishmeal (FM). Iso-proteinous (21%) diets were formulated and lysine (1.55%) content was similar in all the diets. The level of each protein source added was 6% by replacing SBM to the same extent from the control diet containing 15% SBM. The ADG was higher (p<0.05) in the groups fed animal proteins as compared with plant proteins at all the levels of measurement, except during 15-28 days. The highest ADG was noted in WPC and FM fed diets and lowest in SBM fed diet. The feed intake was higher in animal protein fed groups than plant proteins at all phases, but the feed:gain ratio was not affected by protein sources except during overall (0 to 14 day) measurement which was improved (p<0.05) in animal protein fed diets compared to plant protein sources. The digestibilities of gross energy,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were higher in animal protein fed groups than for plant protein fed sources.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ies of essential amino acids like Leu, Thr, and Met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animal proteins fed animals as compared with plant protein fed animals. But the apparent fecal digestibilities of essential amino acids like Arg and Ile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plant protein diets than animal protein sources. The villous structure studi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ere prominent, straight finger-like, although shortened and densely located in FM fed group as compared with others. The lactic acid bacteria and C. perfringens counts were higher in caecal contents of pigs fed plant proteins than the animal proteins. Overall, it could be concluded that animal protein sources in the present study showed better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gut morphology than plant protein sources.

Effects of Fermented Soy Protein on Nitrogen Balance and Apparent Fecal and Ileal Digestibility in Weaned Pigs

  • Yoo, J.S.;Jang, H.D.;Cho, J.H.;Lee, J.H.;Kim,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8호
    • /
    • pp.1167-1173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oviding fermented soy protein to weaned pigs on nitrogen balance and apparent fecal and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ID) of AA. Four weaned ((Yorkshire${\times}$Landrace)${\times}$Duroc) barrows (BW = 6.58${\pm}$0.98 kg), surgically fitted with a simple T-cannula approximately 15 cm prior to the ileo-cecal junction, were fed four diets according to 4${\times}$4 Latin square design. Diets were a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one of the following: 3% SDPP (spray dried plasma protein), 5% RBP (soy protein fermented by Lactobacillus spp.), 5% PSP (soy protein fermented by Aspergillus oryzae and Bacillus subtilis), and 2.5% RPP (2.5% RBP+2.5% PSP).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DM and N intakes among treatments. However, the level of urine excretion was greater in the RPP group than in the PSP group. Additionally, fecal DM excretion, fecal N concentration and fecal N excretion were increased in the RBP, PSP and RPP groups when compared with the SDPP group (p<0.05). Furthermore, total excretion was increased in the RPP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PSP group (p<0.05). In addition, N absorption and the N absorption ratio were higher in the SDPP group than in the RPP group (p<0.05). Moreover, the DM and N digestibilities were lower in the RBP, PSP and RPP groups than in the SDPP group (p<0.05), and the ash and energy digestibilities were higher in the SDPP and RBP groups than in the PSP and RPP groups (p<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DM, N, Ash, Ca, P or ileal digestibilities among treatments, although the energy digestibility was higher in the SDPP group than the RBP group (p<0.05). In addition,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ies of essential amino acids (Arg, His, Iso, Leu, Lys, Phe, Thr, and Va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DPP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p<0.05), and the levels of Ala, Cys, Glu and Try were greater in the SDPP treatment group than the RBP, PSP and RPP groups (p<0.05). Additionally, the levels of Asp, Gly and Ser were higher in the SDPP group than the PSP and RPP groups, and the level of Pro was higher in the SDPP group than the RPP group (p<0.05). Finally, total non-essential amino acid and total amino acid digestibility were higher in the SDPP group than in the other treatments (p<0.05).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nimal protein is more bioavailable than plant protein. However, the N absorption ratio and ileal digestibility were found to be similar in the SDPP and RBP groups.

코끼리조개의 월별 조성변화와 가열 전처리가 냉동저장중의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Quality and Storage Stability of Frozen Geoduck (Panope japonica A. Adams))

  • 유병진;정인학;이강호;최흥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49-556
    • /
    • 1993
  • 코끼리조개를 fast foods의 원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물리적 성상, 유리 및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 핵산관련물질, 월별 성분변화 및 냉동기간중의 선도변화를 측정 하였다. 3년생과 5년생의 경우 내장을 제거한 가식부의 수율은 각각 29.92, $38.04\%$이었다. 7월에 채취한 코끼리조개의 유리아미노산중 taurine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Gly, Ala 및 Glu 함량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구성아미노산에 있어서는 Glu 함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Ala이었다. 필수아미노산으로는 Leu과 Lys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다. 월별 성분변화에 있어서 수분, 단백질은 3월, 4월에 가장 높았으며 지방과 글리코겐은 7월에 가장 높았다. 핵산관련물질중 5'-GMP의 량은 4월에 채취된 시료보다 7월에 채취된 것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냉동저장중 VBN, TMA, $NH_2-N$의 함량변화에 있어서는 $95^{\circ}$에서 2분간 열처리한 시료는 열처리하지 않은 시료에 비하여 증가율이 낮았기 때문에 열처리조작이 선도유지에 효과적이었으며 냉동저장중 총 creatine함량의 변화에 있어서는 열처리 조작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