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U

검색결과 682건 처리시간 0.039초

김치에서 젖산균의 분리 및 이 세균들의 배추즙액 발효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ing Kimchi and Their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Juice)

  • 심선택;경규항;유양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73-379
    • /
    • 1990
  • 김치류 발효 중에 분리 될 수 있는 젖산균은 Leu. mesenteroides, Lac. plantarum, Lac. brevis 및 Ped. pentosaceus와 같이 이미 잘 알려진 젖산균 외에도 젖산 생성능은 약하나 발효초기에 숫자나 번식속도면에서 Leu. mesenteroides와 비슷한 간균들이 여러종 발견되었다. 이 초기간균들은 Lac. leichimannii, Lac. fermentum, Lac, sake 등으로서 이들을 합쳐 초기 숫자가 $10^4\;cells/ml$를 능가하였고 발효 중 최대숫자 $10^9cells/ml$까지 번식하였다. 김치로부터 분리동정된 젖산균을 식염이 첨가되지 않은 배추즙액과 3.9%의 식염이 첨가된 배추즙액을 개별적으로 순수배양했을 때 Leu. mesenteroides한 종과 Lac. leichimannii는 산생성에 차이가 없었으나 Leu. mesenteroides 다른 한 종과 Lac. fermentum 및 Lac. plantarum은 식염이 존재할 때 산생성능이 저하되었다. 분리된 젖산균을 조합하여 복합균주로 3.9% 식염이 첨가된 배추즙액을 발효시켰을 때 초기간균들은 발효에 유의할만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고, Leu. mesenteroides가 조합에 포함되어 산이 생성되었으며 최종 산생성량도 많았다. 김치원료 혼합물 중의 초기 젖산균수는 $10^4cells/ml$ 이상이었으며 Lac. plantarum수는 이보다 훨씬 적어서 $0.36{\sim}240cells/g$으로 나타났고 각 원료당 Lac. plantarum의 수는 특이하게 높은 숫자 $(3.6{\times}10^2{\sim}4.4{\times}10^6cells/g)$를 나타내는 깐마늘을 제외하고는 $0.0{\sim}240cells/g$의 범위에 있었다.

  • PDF

된장 숙성 중 정미 성분의 변화에 관한 연구(III) (Studies on the Changes of Taste Compounds during Soy Paste Fermentation (III))

  • 김미정;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61-265
    • /
    • 1993
  • 된장의 맛성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이는 펩타이드의 분리를 통해 된장의 수용도를 높이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개량식 제조 된장에서 펩타이드의 특성을 연구한 결과 ,된장 숙성중에 단백질의 분해로 생성되는 pe-ptide는 숙성에 따라 그 길이가 짧아져 A.p.L.(average peptide length)는 숙성 0일에 102에서 10일에는 15로 급격히 줄었고 20일에 7.9, 숙성 60일에는 4.9.E, 180일에는 4.1로 나타났다. HPLC로 분리한 펩타이드는 숙성 60일과 180일 분획이 거의 비슷하여 저분자량의 펩타이드는 숙성에 따른 변화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확인된 저분자량의 펩타이드는 Gly-Glu, Ala-Ser, Glu-ser, Asp-Tyr, Asp-Glu, Glu-Ser-Ala, Asp-Ala-Ser, Ala-ser-Glu, Ala-Lys-Met이었다. 180일 숙성시킨 시료에서 쓴맛 펩타이드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chloroform-me-thanol에 추출한 '용매추출 분획1'을 겔 크로마토그라피 한 결과 세개의 피크로 나뉘어 졌는데 fraction I과 ll는 쓴맛을 나타내었고 이들의 아마노산 조성은 각각 Glu-(Asp, Pro, Val, lie or Leu)-Met와 Pro-(Glu, Val, Phe)-lie or Leu인 것으로 나타났다. Chloroform-methanol 불용성인 잔사를 물에 녹인 뒤 분자량 1200이하의 것을 투석시켜 얻은 '용매추출 분획2'는 겔크로마토그칵피 결과 다섯개의 피크로 나뉘어 졌고 여기서 쓴맛을 내는 fraction IV, V, Vl의 아미노산 조성은 각각 Glu-(Asp, Ala, Tyr, Leu or lie)-Phe와 hia-(Met, Glu, Ala, Pro)-lie or Leu와 Asp-(Phe, Ser, Gly)-Val이었다.

  • PDF

김치로부터 분리한 Exopolysaccharide생성 유산균 Leuconostoc kimchii GJ2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Leuconostoc kimchii GJ2, An Exopolysaccharid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Mice)

  • 이재준;이유미;장해춘;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61-567
    • /
    • 2007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분리한 EPS생성 유산균 Leu. kimchii GJ2에 대한 급성독성시험을 위하여 복강 및 경구로 1회 시료물질을 최고 용량(복강: 2,500 mg/kg, 경구: 5,000 mg/kg)으로, 10마리 ICR계통 암수 마우스에게 투여한 후 14일간의 일반증상, 사망률, 체중, 임상증상 및 육안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복강 및 경구투여한 후 24시간 이내에 일부 시료투여군에서 부분적으로 사망례가 관찰되었으나 나머지 시험동물은 계속 생존하여 평균치사량을 산출할 수 없었다. 복강 혹은 경구투여한 후 마우스의 체중변화에 있어서도 암수 모두 대조군과 시료물질 투여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생존동물의 부검결과에서도 내부장기의 육안적 이상 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물질인 Leu. kimchii GJ2는 복강 및 경구투여 시 마우스에서 독성학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LD_{50}$은 복강투여가 2,500 mg/kg, 경구투여가 5,000 mg/kg 이상인 저독성의 안전한 물질로 사료된다.

젖산균과 온도가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I)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 (I))

  • 조영;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25
    • /
    • 1991
  • 김치 발효 중에 주로 나타나는 Lac. plantarum, Leu. mesenteroides, Ped. acidilactici, Lac. brevis 등의 젖산균들이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이 젖산균들을 순수배양하여 염도 2.31%의 김치즙에 접종한 후 $30^{\circ}C$, $21^{\circ}C$, $14^{\circ}C$, $7^{\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pH및 총산도의 변화, 휘발성 유기산과 비휘발성 유기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Control group과 Leu. mesenteroides를 접종한 시료, 4종의 젖산균을 혼합 접종한 시효들의 발효온도에 따른 pH 및 산도 변화 경향은 서로 매우 유사하며, 특히 1$14^{\circ}C$에서 이러한 경향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Lac. plantarum이나 Ped. acidilactici 그리고 Lac. brevis를 접종한 시료들은 control group이나 Leu. mesenteroides, 4종의 젖산균을 혼합접종한 시료보다 더 느리게 pH 및 총산도가 변화하였으며 특히 $14^{\circ}C$에서는 control group과 Leu. mesenteroides 그리고 4종의 젖산균을 혼합 접종한 시료에서만이 발효가 진행되었다. 휘발성산과 비휘발성산의 변화 양상도 control group, Leu. mesenteroides를 접종한 시료, 4종의 젖산균을 혼합 접종한 시료에 있어서 서로 매우 유사하였다. 검출한 휘발성 유기산으로는 formfic, acetic acid뿐이었으며, 이들은 Leu. mesenteroides나 Lac. brevis 등에 의해 주로 생성됨을 알 수 있다. Leu. mesenteroides를 접종한 시료에서 다른 발효온도에서보다 $14^{\circ}C$에서 acet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모든 시료에서 lactic acid가 검출되었고, Leu. mesenteroides를 접종한 시료에서 $21^{\circ}C$$14^{\circ}C$에 citric aicd가 검출되었으며 succinic acid는 controlgroup과 Lac. brevis를 접종한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 PDF

식물생장조절물질 말포민 A동족체의 화학구조 및 생리활성 (Chemical Structur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lant Growth Substance, Malformin A's)

  • 김건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3-84
    • /
    • 1995
  • 종래의 말포민류에 대한 화학구조 연구에 있어서의 난제들이 최신의 각종 기기분석 및 새로운 정제 방법의 적용에 의해 해결되어졌으며, 이 결과 말포민 A로부터 신규의 $A_4$를 포함한 4종의 A동족체들이 단리 구조결정되었다. 본 연구에 의해 말포민 A동족체의 화학 구조는, $A_1$(1)이 cyclo-D-Cys-D-Cys-L-Val-D-Leu-L-Ile, $A_2$(2)가 cyclo-D-Cys-D-Cys-L-Val-D-Leu-L-Val, $A_3$(3)가 cyclo-D-Cys-D-Cys-L-Val-D-Leu-L-Leu, $A_4$(4)가 cyclo-D-Cys-D-Cys-L-Val-D-Ile-L-Val으로서 확정 되었다. 이들 중, 말포민 $A_3$(3)는 말포민 C와 동일한 화합물로 확인되었다. 단리된 말포민 A동족체에 대해서 옥수수 근 부굴곡활성과 녹두 상배축신장활성을 지표로 하여 생물검정을 실시하였다. 옥수수 근부굴곡 활성의 검정으로부터, 모든 A동족체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분자량 529의 동족체는 분자량 515의 동족체보다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녹두 상배축신장활성의 검정에서는 분자량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이들 중 말포민 $A_4$는 활성형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양검정법에서 모두 최고 수준의 활성을 나타낸 말포민 $A_1$은, $0.25{\mu}m$ 에서 83%의 옥수수 근부굴곡활성을 나타냈으며, 녹두 상배축신장활성의 경우, $0.1{\mu}m$에서 대조구에 비해 165%의 신장촉진을 보였다.

  • PDF

효소 억제제에 의한 토끼의 점막 추출액중 로이신엔케팔린 및 [D-알라$^2$-로이신엔케팔린아미드의 분해 억제 (Inhibition of Enzymatic Degradation of Leucine Enkephalin and $[D-Ala^2]$-Leucine Enkephalinamide in Various Rabbit Mucosal Extracts by Inhibitors)

  • 전인구;박인숙;현진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6권3호
    • /
    • pp.175-185
    • /
    • 1996
  • To inhibit the enzymatic degradation of leucine enkephalin (Leu-Enk) and its synthetic analog. $[D-ala^2]$-leucine enkephalinamide (YAGFL), in the nasal, rectal and vaginal mucosal and serosal extracts of rabbits, effects of enzyme inhibitors such as amastatin (AM), puromycin (PM), thiorphan (TP), thimerosal (TM), EDTA, N-carboxymethyl-Phe-Leu (CPL), phenylethyl alcohol (PEA), phenylmercuric acetate (PMA), benzalkonium chloride (BC) and modified cyclodextrins, alone or in combination, were observed by assaying the pentapeptides staying intact during incubation. Mucosa extracts were prepared by exposing freshly-excised mucosal specimens mounted on Valia-Chien cells to isotonic phosphate buffer while stirring. The degradation of Leu-Enk and YAGFL followed the apparent first-order kinetics. The half-lives (mean) in the nasal, rectal and vaginal mucosal extracts were found to be 1.07, 0.33 and 1.14 hr for Leu-Enk, and 16.9, 6.2 and 6.8 hr for YAGFL, respectively. AM or PM, which is an aminopeptidase inhibitor, did not show a sufficient inhibition of Leu-Enk $(50\;{\mu}g/ml)$ degradation in all kinds of extracts. $Dimethyl-{\beta}-cyclodextrin\;(DM-{\beta}-CyD)$ decreased the degradation rate constants of Leu-Enk about 2 or 3 times, comparing with no additive. However, the use of mixed inhibitors of AM $(50\;{\mu}M)$/TM (0.25 mM)/EDTA (5 mM) resulted in a full stabilization of Leu-Enk by decreasing the degradation rate constants 67.3, 161.3 and 113.8 times far the nasal, rectal and vaginal mucosal extracts, respectively, comparing with no inhibitor. With mixed inhibitors, Leu-Enk remained intact more than 90% after 6 hr-incubation. In the stabilization of YAGFL, hM, TP or CPL alone showed little efffct, and some additives demonstrated a considerable inhibition of YAGFL degradation in the rank order of TM > BC > EDTA. However, the addition of mixed inhibitors such as TM (0.5 mM) and EDTA (5 mM) into the extracts protected YAGFL from the degradation by more than 85% even after 24 hr-incubation, suggesting almost complete inhibition of YAGFL degradation in the extract. On the other hand, $DM-{\beta}-CyD\;or\;hydroxypropyl-{\beta}-cyclodextrin$ (10%) were also found to retard enzymatic degradation rates of YAGFL markedly, and resulted in staying intact more than 80% of YAGFL in the nasal and vaginal mucosal extracts, and more than 60% in the rectal mucosal extract after 16 hr-incubation.

  • PDF

Dextransucrase 고활성 젖산균을 이용한 스타터 증편의 품질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of Quality in Jeung-pyun Prepared with Lactic Bacteria Having High Dextransucrase Activity as Starters)

  • 이아영;박주연;한영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00-407
    • /
    • 2006
  • 26균주의 젖산균을 증편 반죽에서 분리하여 dextransucrase 활성을 측정할 결과 T. halophilus 1-12가 36.95 DSU/mg으로 가장 높았다. 이 중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2-9, T. halophilus 1-12,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5-13을 선별하여 starter로 이용하였다. 증편의 점도변화를 관찰한 결과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2-9를 첨가한 증편은 발효 적기인 2시간째에 첨가량이 많을수록 점도가 높아졌고 T. halophilus 1-12를 첨가한 증편의 경우는 첨가량에 따라 차이 없이 증편의 점도가 증가하였다.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5-13를 첨가한 증편 반죽의 경우에는 첨가량에 차이 없이 starter 균을 첨가하지 않은 증편 반죽의 발효패턴과 같은 점도 변화를 보였다. 증편반죽의 pH는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2-9 와 T. halophilus 1-12를 첨가한 경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초기 pH도 낮았으며 발효가 진행되면서 계속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5-13의 경우에는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증편의 비체적은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5-13 1.0% 첨가한 군이 2.00으로 가장 높았고, T. halophilus 1-12를 1.0% 첨가한 군이 0.33으로 가장 낮았다. 증편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2-9를 0.5 % 첨가한 것이 균일하였고, T. halophilus 1-12는 첨가량이 많을수록 기공이 거칠고 불규칙하였다. 반면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5-13를 첨가한 군은 첨가량이 많을수록 기공이 균일하고 부피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Texture는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5-13를 0.5%, 1.0% 첨가한 증편이 hardnesubsp과 gumminesubsp, chewinesubsp가 대조군에 비해 매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5-13 0.5%를 첨가한 시료가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8.500을 받아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김치 서식 미생물,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Kluyveromyces marxianus 생육에 Ethanol과 유기산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and/or Organic Acids on the Growth of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Kluyveromyces marxianus Identified from Mul-kimchi)

  • 한영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25-43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ethanol 과 일부 유기산(adipic acid, citric acid, acetic acid)을 첨가하였을 때 물김치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 생육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Ethanol 및 유기산의 첨가가 물김치 서식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pH 4.3 의 buffer 용액에 ethanol 과 유기산을 농도별로 첨가하고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Kluyveromyces marxianus을 접종하여 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L. plantarum 와 Leu. mesenteroides에서는 ethanol 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유기산 종류에서는 adipic acid를 첨가했을 때 성장 억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비교 균주에서는 L. plantarum이 Leu. mesenteroides보다 유기산과 에탄올에 영향을 받아 생육이 더욱 억제되었다. Ethanol에 대해서는 L. plantarum이 Leu. mesenteroides보다 숙성 72 시간째에 40.0% 정도 생육이 억제되었으나 유기산의 경우에는 종류에 따라 생육억제 정도가 달랐다. Acetic acid의 경우 L. plantarumol 약 40.0% 정도, citric acid의 경우는 L. plantarum이 약 15.0% 정도 생육이 억제되었지만 adipic acid의 경우는 L. plantarum 와 Leu. mesenteroides 모두에게 억제 효과가 있어 무첨가군에 비해 50.0∼60.0% 정도 생육이 감소되었다. K. marxianus에서도 ethanol 농도가 높을수록 성장 억제에 효과적이나 유기산에 대해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Ethanol 및 유기산이 각 균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을 알기 위해 균체내 물질의 누출을 26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관찰한 결과 L. plantarum 에서는 ethanol 2.0% 첨가 에서와 adipic acid 0.1 를 첨가한 실험군에서 24 시간 후의 흡광도가 가장 많이 증가되었다. Leu. mesenteroides에서는 ethanol 첨가시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고 유기산 중 adipic acid 첨가시 흡광도가 많이 증가되었다. K. marxianus 에서는 ethanol 농도가 높을수록 흡광도가 증가되었고 유기산 중 citric acid 에서 많이 증가되었다.

  • PDF

Plastein반응을 이용한 정어리 단백질의 기능성 개선에 관한 연구 3. Plastein의 기능성 및 소화율 (Studies on the Improvements of Functional Properties of Sardine Protein by Plastein Reaction)

  • 김세권;곽동채;조덕제;이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2-319
    • /
    • 1988
  • 정어리 단백질의 가수분해물로 합성한 plastein을 새로운 식품소재로서 고도이용 가능성을 구명하기위해 그의 기능성을 FPC 및 egg albumin과 비교검토하였으며, 아울러 소화율과 소화액의 관능검사도 실시하였다. 용해도는 plastein 제품이 FPC 보다 높았으며 glu-papain plastein은 pH변화에 관계없이 용해도가 84%로 높았으나 leu-papain plastein은 용해도가 매우 낮았다. 분산성은 plastein 제품이 egg albumin의 분산성에 비해 낮았으나 FPC보다는 월등히 높았다. Glu-papain plastein이 70.8%로 분산성이 가장 높았으나 pepsin plastin은 58.0%로 가장 낮았다. 보수력은 plastein제품이 FPC보다 약간 낮았으나 egg albumin보다 높았다. 지방흡수력은 leu-papain plastein이 2.2m1/ g 로서 가장 높았으나 glu-papain plastein이 1.6m1/ g 로 가장 낮았다. 유화성은 leu-papain plastein이 66.4%로 가장 높았으나 glu-papain plastein 51.2%로 가장 낮았다. 유화안정성도 이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포말성은 leu-papain plastein이 460%로서 egg albumin보다 4.6배 이상이었으며, 다른 plastein도 FPC보다 월등히 높았다. 포말안정성도 plastein이 egg albumin보다 좋았다. 점도는 glu-papain plastein을 제외한 plastein이 egg albumin에 비해 낮았다. In Vitro소화율은 $68.4{\sim}78.0%$였으며 glu-papain plasteul의 경우, molsin과 pretense같은 미생물 효소에 의한 plastein 소화액은 감칠맛이 매우 강하여 맛 강화제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Starter 및 멸치액젓 첨가가 김치양념 및 겉절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arter and Salt-Fermented Anchovy Extracts on the Quality of Kimchi Sauce and Geotjeori Kimchi)

  • 최택권;박소희;유진현;임호수;황성연;조재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6-104
    • /
    • 2003
  • 양념에 Leu. mesenteroides, Lac. plantarum의 젖산균과 멸치액젓 첨가가 김치 양념의 대장균군 제어, 숙성촉진여부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Leu. mesenteroides과 젓갈을 첨가한 경우 초기 숙성이 촉진되나 후기 산패는 완만하였으며 Lac. plantarum의 첨가시에는 초기 숙성에는 큰 차이가 없고 후기 산패가 현저하게 진행되었다. 대장균군은 산도 0.80% 이상에서 사별되었는데 Leu. mesenteroides의 경우가 숙성이 촉진되어 보다 신속히 사멸시켰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초기에 starter 첨가구는 $10^6\;CFU/mL$ 정도인데 반해서 starter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에서 총균수는 $10^6\;CFU/mL$, 젖산균수가 $10^4\;CFU/mL$ 이었고 숙성 후에는 첨가군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스타터의 첨가가 숙성 및 대장균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경향으로 동일하게 나왔다. 관능적 특성에서는 Leu. mesenteroides 첨가구가 Lac. plantarum의 경우보다 우수하였다. 한편, 시판 겉절이 김치는 산도가 $0.09{\sim}0.18%$, $pH\;5.46{\sim}5.89$, 총균수 $2.2{\times}10^6{\sim}3.1{\times}10^7\;CFU/ml$, 젖산균수 $2.1{\times}10^4{\sim}6.6{\times}10^5\;CFU/ml$, 대장균군수 $1.8{\times}10^4{\sim}7.1{\times}10^5\;CFU/ml$, 염분 $1.89%{\sim}2.51%$으로 스타터 첨가 겉절이에 비해 pH와 염도를 제외한 품질 특성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