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U

검색결과 682건 처리시간 0.034초

김치에서 분리된 Leuconostoc 속 젖산균의 ${\beta}$-1,4-xylosidase 효소생산 특성 (${\beta}$-1,4-Xylosidase Activity of Leuconosto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장미희;김명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69-175
    • /
    • 2011
  • [ ${\beta}$ ]Xylosidase 효소활성이 높은 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김치에서 분리된 Leuconostoc 속 젖산균의 ${\beta}$-xylosidase 활성을 탐색하였다. 김치에서 분리된 55개의 Leuconostoc 속 젖산균 중 36개의 균주만이 자일로스를 탄소원으로 이용하였으며, 배추김치에서 분리된 Leu. lactis KCTC 13344 균주가 가장 높은 세포내 ${\beta}$-xylosidase 효소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효소활성은 pH 6, $30^{\circ}C$ 반응조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Zn^{2+}$을 제외한 금속이온은 효소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Fe^{2+}$은 1 mM의 농도에서 ${\beta}$-xylosidase 대조구와 비교하여 효소활성을 약 40% 증가시켰다. 균주를 배양할 때 사용한 탄소원 중 자일로스가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고, 효소활성을 위한 최적의 자일로스 농도는 30 g/L였다. 단백질 전기영동 및 활성염색을 수행한 결과 분자량이 약 64 kDa인 Leu. lactis KCTC 13344 균주의 ${\beta}$-xylosidase는 자일로스에 의하여 발현이 유도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자일로스가 30 g/L의 농도로 첨가된 MRS 배지에서 Leu. lactis KCTC 13344 균주의 성장은 20시간 후에 최고에 도달하였고, ${\beta}$-xylosidase 효소활성은 16시간 후에 최대 $7.1{\pm}0.3units/mL$이었다. 배양 초기에 주입한 자일로스는 약 20% 정도 소모하였고, 젖산과 아세트산은 3.0 g/L 수준으로 생성되었지만 에탄올은 생성되지 않았다.

저수준의 Lysine 사료에서 L-leucine 첨가수준이 비육후기 Duroc 품종 돼지의 성장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L-leucine Levels in Low-lysine Diets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Parameters in Finishing Duroc Pigs)

  • 박준철;김영화;정현정;이성대;조규호;김인철;이상진;문홍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813-81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비육후기 Duroc 품종 돼지를 대상으로 저수준의 lysine 사료에 합성 L-leucine 첨가수준이 생산성, 도체 및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시험동물은 평균 74±1kg의 Duroc 품종 54두를 각 처리 당 6반복, 반복 당 3두씩 공시하였다. 시험사료는 lysine 0.45%의 기초사료에 합성 L-leucine을 각각 0% (CON), 1.5% (LEU 1.5) 및 3.0% (LEU 3.0) 첨가한 후 30일간 급여하였다.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도체특성에 있어서는 도체율 및 등지방두께는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등심단면적은 L-leucine의 첨가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근내지방도는 L-leucine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육질 특성에서 조지방 함량이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L-leucine 첨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CIE L*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Effects of Intra-duodenal Infusion of Limiting Amino Acids on Plasma Insulin-like Growth Factor I, Growth Hormone, Insulin and Liver Insulin-like Growth Factor I mRNA in Growing Goat Fed a Maize Stover-based Diet

  • Sun, Z.H.;Tan, Z.L.;Yao, J.H.;Tang, Z.R.;Shan, J.G.;Hu, J.P.;Tang, S.X.;Jiang, Y.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5호
    • /
    • pp.733-741
    • /
    • 2007
  • The effects of intra-duodenal infusion of methionine (Met), lysine (Lys) and leucine (Leu) on dry matter intake (DMI), the concentration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I (IGF-I), growth hormone (GH) and insulin in plasma, and liver IGF-I mRNA level were investigated in two experiments for Liuyang Black growing wether goats. In Experiment 1, three goats ($10.0{\pm}0.1$ kg) were fitted with ruminal, proximal duodenal and terminal ileal fistulaes to determine the infusion amounts of Met, Lys and Leu at the duodenum according to essential amino acid flows into the duodenum and their apparent digestibility. The infusion amounts were 0.77 g/d, 0.91 g/d and 0.58 g/d respectively. In Experiment 2, 4 groups of goats (($10.0{\pm}0.2$ kg) for each group, were cannulated at the duodenum, and were infused with a mixture of Met, Lys and Leu (Control), or mixtures with 21% Met, Lys or Leu replaced with glutamate respectively on a nitrogenous basis. The replacement of 21% Met, Lys or Leu with glutamate did not affect intakes of maize stover, concentrate or both (p>0.05)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replacement of 21% Met or Lys significantly (p<0.05) reduced plasma GH, insulin and IGF-I concentrations and liver IGF-I mRNA level. The replacement of 21% Leu with glutamate reduced (p<0.05) plasma IGF-I concentration only, but not plasma insulin and GH, as well as liver IGF-I mRNA level (p>0.05).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supplying Met and Lys in the lumen of the duodenum and plasma IGF-I, GH and insulin concentrations, as well as liver IGF-I mRNA level in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ffects of the limiting amino acids on nutrition of animals are likely intermediated via their effects on these hormones, and these hormone profiles could be used as intermediate markers for the limiting order of amino acids.

지상신호설비의 유지보수 효율화를 위한 집중화 및 전자화 연구 (The Study on Centralization & Electronic for Maintenance Efficiency of Ground Signaling System)

  • 백종현;김용규;이강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983-2988
    • /
    • 2010
  • 국내 철도 신호시스템은 전자화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 중 연동장치의 전자화는 57%에 이르고 있고, 선로변장치 중 건널목 보안장치는 통합시스템으로 개발이 완료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선 전 구간의 폐색장치는 전자화 및 통합화가 되어있지 않아 건설과 유지보수 측면에서 많은 보완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국내 기존선에 사용되고 있는 ABS와 경부 및 호남선에 설치중인 LEU는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열차의 신호정보에 의해 열차를 제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 별개의 시스템으로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정보를 각각 별개로 나누어 송수신하여 열차를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ABS와 LEU에서는 램프검지부나 전원부 등과 같이 중복 설치된 부품이 많기 때문에 전체적인 제품의 제조 원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시공비 역시 2중으로 소요되고 유지보수에도 많은 인력과 비용을 투자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 중인 ABS에 통신 및 전자기술을 접목시켜서 집중형 전자폐색제어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으며, 해당역 관내 폐색장치를 집중감시 및 관리를 하고 ATP 시스템의 지상장치인 LEU와 연계하여 정보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An investigative study of enrichment reduction impact on the neutron flux in the in-core flux-trap facility of MTR research reactors

  • Xoubi, Ned;Darda, Sharif Abu;Soliman, Abdelfattah Y.;Abulfaraj, Tareq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2권3호
    • /
    • pp.469-476
    • /
    • 2020
  • Research reactors in-core experimental facilities are designed to provide the highest steady state flux for user's irradiation requirements. However, fuel conversion from highly enriched uranium (HEU) to low enriched uranium (LEU) driven by the ongoing effort to diminish proliferation risk, will impact reactor physics parameters. Preserving the reactor capability to produce the needed flux to perform its intended research functions, determines the conversion feasibil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eutron flux in the central experimental facility of two material test reactors (MTR), the IAEA generic10 MW benchmark reactor and the 22 MW s Egyptian Test and Research Reactor (ETRR-2). A 3D full core model with three uranium enrichment of 93%, 45%, and 20% was constructed utilizing the OpenMC particle transport Monte Carlo code. Neutronics calculations were performed for fresh fuel, the beginning of life cycle (BOL) and end of life cycle (EOL) for each of the three enrichments for both the IAEA 10 MW generic reactor and core 1/98 of the ETRR-2 reactor. Criticality calculations of the effective multiplication factor (Keff) were executed for each of the twelve cases; results show a reasonable agreement with published benchmark values for both reactors. The thermal, epithermal and fast neutron fluxes were tallied across the core, utilizing the mesh tally capability of the code and are presented here. The axial flux in the central experimental facility was tallied at 1 cm intervals, for each of the cases; results for IAEA 10 MW show a maximum reduction of 14.32% in the thermal flux of LEU to that of the HEU, at EOL. The reduction of the thermal flux for fresh fuel was between 5.81% and 9.62%, with an average drop of 8.1%. At the BOL the thermal flux showed a larger reduction range of 6.92%-13.58% with an average drop of 10.73%. Furthermore, the fission reaction rate was calculated, results showed an increase in the peak fission rate of the LEU case compared to the HEU case. Results for the ETRR-2 reactor show an average increase of 62.31% in the thermal flux of LEU to that of the HEU due to the effect of spectrum hardening. The fission rate density increased with enrichment, resulting in 34% maximum increase in the HEU case compared to the LEU case at the assemblies surrounding the flux trap.

배양 조건에 따른 유산균의 Diacetyl 생성 (The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n the Diacetyl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 김동욱;정소영;박기문;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0-126
    • /
    • 1989
  • Str. diacetylactis와 Leu. cremoris를 commercial culture로부터 분리한 후 멸균된 10%(w/v) 환원 탈지유에 단독 및 혼합(1 : 1) 배양하면서 diacetyl 생성에 미치는 배양 조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생육최적 온도는 Str. diacetylactis의 경우 $30^{\circ}C$, Leu, cremoris는 $34^{circ}C$로 나타났으나, diacetyl 생성 최적 온도는 모두 $22^{\circ}C$로, 2%(v/v) starter 접종시 Str. diacetylactis, Leu. cremoris 그리고 혼합 배양의 경우 diacetyl 생성량은 각각 배양 60, 48, 48시간에 2.24, 2.29, 2.21ppm으로 최대치를 보인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지내 초기 pH는 pH 4.8에 모두 최고의 diacetyl 생성량을 보여 각각 4.32, 6.66, 7.30ppm을 나타내었다. Starter 접종량이 많아질수록 diacetyl 생성량은 증가하였지만 증가폭은 크지 않았으며 diacetyl의 전구 물질인 citrate를 sodium citrate형태로 농도별로 첨가하였을 때 0.3, 0.1, 0.1%(w/v) 첨가시에 각각 2.58, 2.54, 2.52ppm으로 최대치를 보였다. 최적 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시 diacetyl 생성량은 각각 4.40, 6.59, 7.25ppm으로 나타났으며, diacetyl생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초기 pH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부재료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발효특성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by Addition of Different Kinds of Minor Ingredients)

  • 이진희;조영;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
    • /
    • 1998
  • 부재료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발효속도특성 및 미생물학적 발효양상을 조사하였다. 발효 진행에 따라 김치 시료들의 pH는 감소하고 총산도는 증가하였고, 산화환원전위는 감소되다가 다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고 발효 최적기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전 발효 기간 동안 생강, 고추가루 및 혼합시료에서 총생균수와 젖산균수가 많았으며, Leu. mensenteroides의 수는 생강과 고추가루 시료에 많았다. 김치의 적숙기에 젖산균 및 Leu. mensenteroides의 수가 최대이었고 Leu. mensenteroides가 감소하는 시기에 Lac. plantarum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발효속도 및 미생물 특성의 경시적 변화가 마늘 시료에서는 느리게 적생고추 시료에서는 빠르게 진행되었다. 따라서, 마늘은 젖산균 발효를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오래 지속되게 하여 김치의 가식일수를 늘이는 저장성 향상에 필요한 부재료이고, 생강과 고추가루는 젖산균과 그 중 Leu. mensenteroides의 생육을 촉진하여김치 맛을 좋게하는데 도움이 되는 부재료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산화환원전위가 김치의 발효 최적기를 찾는데 유용한 지표가 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트립토판 중합요소 알파 소단위체 $Pr28$longrightarrowLeu 잔기 치환체의 구조 변화

  • 김은주;신혜자;임운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3-47
    • /
    • 2001
  • A mutant tryptophan synthase $\alpha$-subunit, where Pro28 was replaced with Leu, tends to be expressed in recombinant E. coli. CD and fluorescence spectra of this protein indicate some changes in secondary and tertiary structure. Wild type protein was more or less affected by {TEX}$Ca^{2+}${/TEX} ion in regards of the fluorescent properties of its native, unfolded and intermediate forms, but the mutant protein was not at all. The dramatic structural changes may be related to the aggregation of this mutant protein.

  • PDF

Mo-99 생산용 LEU 표적 핵설계

  • 조동건;김명현;손동성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177-182
    • /
    • 1997
  • 하나로(HANARO)에서 Mo-99을 생산하기 위한 LEU(Low Enriched Uranium) 표적 설계를 하였다. 표적길이 및 조사위치에 따른 Mo-99의 생성수율(Ci $^{99}$Mo/gU)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표적 설계를 위하여 표적 두께, 반경크기, 밀도, 연료물질등을 채택하여 이들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수행결과 생성수율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설계변수는 표적 두께와 밀도로 나타났다. 표적 연료로 어떤 물질을 선택하던 거의 같은 생성수율을 나타내므로 핵적으로는 같은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열수력학 조건과 연간생산량을 만족하는 표적 핵연료 집합체 설계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Peptide Inhibitor for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HIV-1) Protease from a Thermolysin Hydrolysate of Oyster Proteins

  • Lee, Tae-Ge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1호
    • /
    • pp.84-87
    • /
    • 2010
  • A peptide that inhibits HIV-1 protease was isolated from a hydrolysate of oyster (Crassostrea gigas) proteins digested with thermolysin. The peptide was using membrane filtration,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reverse-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mino acid sequence of the peptide was determined to be Val-Phe-Glu-Leu. Chemically synthesized Val-Phe-Glu-Leu showed an $IC_{50}$ value of 106 ${\m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