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 Detection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24초

랩뷰 비전 빌더를 이용한 LED 결함 검출 시스템 (LED Deformity Detection Using LabVIEW Builder)

  • ;유성구;정길도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6권5호
    • /
    • pp.15-21
    • /
    • 2009
  • LED와 같은 소형 제품의 불량검색은 제품의 질을 향상 시키는 것만 아니라 생산성 향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LED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불량을 자동으로 검사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LABVIEW Builder를 사용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 상에서 LED의 불량을 검출을 자동판단하며, 사용자가 쉽게 사용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1394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고 Vision Builder의 각 영상처리 요소를 적용하였다. 에지탐색, 기하학 위치 설정, 거리측정 등의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조합하여 색과 크기가 다른 다양한 LED의 불량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The Detection Distance of Colored Target using Various Automotive Headlamps

  • Kim, Jung-Yong;Lee, Ho-Sang;Min, Seung-Nam;Lee, Min-Ho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21-426
    • /
    • 2012
  • As headlamp technology advances, newly developed various headlamps were introduced in the marke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detection distance of the recently developed LED headlamps and existing headlamps, complying with specific technical standard. Background: The detection distance of headlamps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automobile accident at night time. The studies of detection distance of LED, Halogen and HID headlamp have been conducted, but no study has shown the detection distance of pedestrian target with various colors (Black, White, Blue). Method: The experiment of detection distance was conducted with 30 people, which divide into 2 groups as 15 men and 15 women. Automatic transferable target on the rail was manufactured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of study's result, and ANOVA also conducted to analyze the main effect with sign color, sex and headlamp classified by detection distance. In addition, the luminance by average detection distance was measured as well. Results: The detection distance of headlamps was HID > LED > Halogen. The luminance measure of LED headlamp was lower than HID and Halogen headlamps. Conclusion: The headlamp performs a very significant role for safety at night time but it needs to be improved through assessment of visual characteristics. Also, it needs to be suggested the need of test method for dynamic detection distance concerning technical development is suggested.

Image Processing and Deep Learning-based Defect Detection Theory for Sapphire Epi-Wafer in Green LED Manufacturing

  • Suk Ju Ko;Ji Woo Kim;Ji Su Woo;Sang Jeen Hong;Garam Kim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1-86
    • /
    • 2023
  •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d demand for light-emitting diode (LED) due to the growing emphasis on environmental protection. However, the use of GaN-based sapphire in LED manufacturing leads to the generation of defects, such as dislocations caused by lattice mismatch, which ultimately reduces the luminous efficiency of LEDs. Moreover, most inspections for LED semiconductors focus on evaluating the luminous efficiency after packaging.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is paper aims to detect defects at the wafer stage, which could potentially improve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e costs. To achieve this, image processing and deep learning-based defect detection techniques for Sapphire Epi-Wafer used in Green LED manufacturing were developed and compared.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of each algorithm, it was found that the deep learning approach outperformed the image processing approach in terms of detection accuracy and efficiency.

  • PDF

영상장치를 이용한 차세대 스마트 LED 전광판의 불량픽셀 검출을 위한 딥러닝 구조 개발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Structure for Defective Pixel Detection of Next-Generation Smart LED Display Board using Imaging Device)

  • 이선구;이태윤;이승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345-349
    • /
    • 2023
  • 본 논문은 영상장치를 이용한 차세대 스마트 LED 전광판의 불량픽셀 검출을 위한 딥러닝 구조 개발에 관한 연구를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는 영상장치를 활용하여 딥러닝을 통해 실외 LED 전광판의 결함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LED 전광판의 효율적인 관리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류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연구 과정은 3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첫 번째로, 평면화된 전광판 이미지 데이터를 calibration을 통해 배경을 완전히 제거하고 필요한 전처리 과정을 거쳐 학습 데이터셋을 생성한다. 두 번째로, 생성된 데이터셋은 객체 인식 네트워크를 학습을 시키는 데 활용된다. 네트워크는 Backbone과 Head로 구성된다. Backbone에서는 CSP-Darknet을 활용하여 특징 맵을 추출하고, Head에서는 추출된 Feature Map을 기반으로 물체를 검출한다. 이 과정에서 네트워크는 Confidence score와 IoU가 일치하도록 오차를 수정하며 지속적으로 학습된다. 세 번째에서는 생성된 모델을 활용하여 실제 실외 LED 전광판에서 불량픽셀을 자동으로 검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LED 전광판의 불량픽셀 검출에 대한 공인 측정 실험 결과로는 실제 LED 전광판에서 불량픽셀을 100% 검출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LED 전광판의 불량 관리와 유지보수의 효율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LED 전광판 관리의 획기적인 개선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가시광통신을 이용한 로봇 위치확인 시스템 (Position Detection System of Robot by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 김응수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19-12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이동 로봇의 위치 추정을 위해 LED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에 의해 로봇의 위치를 확인하고 광센서를 이용하여 로봇의 이동 경로를 추정하는 시스템을 제작 하였다. 제작된 위치확인 시스템은 외부 빛인 태양광과 형광등의 영향은 없었으며, 실험에 사용된 4개의 LED는 다른 신호를 전송하므로 로봇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고, 광센서를 사용하여 로봇의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 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단일 파장의 LED와 CCD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방법 (Oil Spill Detection Mechanism using Single-wavelength LED and CCD)

  • 오상우;이문진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23-32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분리된 기름-물 혼합물에 대해 단일 파장대역의 LED 광원으로 부터 흡수된 빛이 전자결합소자(CCD)에 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물 위에 기름의 존재 유 무와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광학적 기름 탐지 방법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물위에 기름의 존재 유 무와 기름의 두께 정보를 얻기 위해서, 혼합물을 통과하면서 감소되는 빛의 강도를 전자결합소자로 획득한 영상을 통해 빛의 세기를 분석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최고의 선택도를 가진 광원의 파장대역을 찾기 위해서 발광다이오드(LED)의 파장대역별로 선택도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발광다이오드 중 465 nm의 파장대역을 갖는 발광다이오드가 물과 기름의 존재유무 및 기름의 두께에 따라 감소되는 차이가 가장 크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제 해상조건에서의 탐지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밝기 조건과 수표면의 기울기 조건을 변화하는 실험을 수행하여 제안된 탐지 방법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해서 해상에 유출된 기름을 물과 기름이 갖는 특정파장대역의 빛에 대한 흡수도의 차이로 탐지할 수 있는 새로운 광학적 분석 방법론을 제안한다.

비전 기반 주간 LED 교통 신호등 인식 및 신호등 패턴 판단에 관한 연구 (Vision based Traffic Light Detection and Recognition Methods for Daytime LED Traffic Light)

  • 김현구;박주현;정호열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45-150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n effective vision based method for LED traffic light detection at the daytime. First, the proposed method calculates horizontal coordinates to set region of interest (ROI) on input sequence images. Second, the proposed uses color segmentation method to extract region of green and red traffic light. Next, to classify traffic light and another noise, shape filter and haar-like feature value are used. Finally, temporal delay filter with weight is applied to remove blinking effect of LED traffic light, and state and weight of traffic light detection are used to classify types of traffic light. For simulations, the proposed method is implemented through Intel Core CPU with 2.80 GHz and 4 GB RAM, and tested on the urban and rural road video. Average detection rate of traffic light is 94.50 % and average recognition rate of traffic type is 90.24 %. Average computing time of the proposed method is 11 ms.

병원균 및 생물독소 탐지시스템을 위한 원자외선 LED 기술동향 (Trends of Deep UV-LED Technology for the Pathogen and Biotoxin Aerosol Detection System)

  • 정유진;정영수;최기봉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277-284
    • /
    • 2015
  • The humans are under attack involving the hazardous environment and pathogen/biotoxin aerosol that is realistic concerned. A portable, fast, reliable, and cheap Pathogen and Biotoxin Aerosol threat Detection(PBAD) trigger is an important technology for detect-to-protect and detect-to-treat system because the man-made biological terror is a fast and lethal infection. The ultraviolet C(UVC) wavelengths light source is key issue for PBAD that is sensitive because of strong fluorescence cross section from fluorescent amino acids in proteins such as tryptophan and tyrosine. The UVC-light emitting diode(LED) is emerging light source technology as alternative to laser or lamps as they offer several advantages. This paper discussed about the design consideration of UVC-LED for the PBAD system. The UVC-LED and PBAD technology, currently available or in development, are also discussed.

LED-LED 간의 통신을 위한 주파수 특성 연구 (A Study on Frequency Response in LED-LED Communication)

  • 박인정;이규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15-122
    • /
    • 2012
  • 논문에서는 조명용 LED를 사용하여 실내 무선광 통신이 가능함을 보인다. 조명용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면 조명과 신호의 송신을 겸할 수 있으며, LED를 발광소자 및 수광 소자 로 겸용할 수 있으면 포토다이오드나 포토트랜지스터 등, 별도의 소자나 장치가 없이도 송수신기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통신 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전송이 가능하여 장치구조가 매우 단순화 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시특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소자의 주파수 특성을 실험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조명용 LED를 발광/수광겸용 소자로 사용하여 무선광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특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방식의 가시광 통신이 가능함을 제시하였고, 처리 주파수도 기존 방식 보다도 높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