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ED 광원 기술

Search Result 19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velopment Trend of Element Technology for Shipboard LED Light Production (선박용 LED 조명등 제작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동향)

  • Nam, Dae-Geun;Lee, Su-Hyung;Jung, Chang-Il;Yoon, Hyung-Pyo;Jo, Hyung-H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64.1-164.1
    • /
    • 2010
  • 최근 에너지 절감과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LED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며, 국가 저탄소 녹색성장에 맞는 신성장동력산업의 하나로 LED가 선정되어 적극적으로 육성되고 있다. LED를 활용한 조명등은 현재까지 활발한 연구개발이 진행되었으며 백열전구를 능가하는 조명 효율을 확보하여 조명 광원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선박용 조명등의 경우에는 아직 관련 기술개발이 초기단계에 머물러있어 대부분의 선박들이 기존의 백열등 및 형광등과 같은 조명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리 조명등은 고소비전력과 제한된 수명에 따른 높은 유지비 및 제품 누수나 파손 등과 같은 안전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선박용 LED 조명 등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기술 개발을 저해하는 요소인 방열, 가격 등에 대한 추가적인 기술개발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는 부산광역시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선박용 LED 조명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연구를 위하여 선박용 LED 조명등의 요소기술에 대한 연구동향과 기술특성을 분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용 LED 조명등 개발에서 요구되는 요소기술에 대한 기술개발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고효율의 선박용 LED 조명등 개발에 필요한 요소기술로는 방열, SMPS, 광학, 제품 내진동, 제품 방수 등의 설계 및 제작기술이 있다. 이러한 요소기술을 알아보고 선박용 LED 조명등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o-channel Interference Reduction using Multi code MC-CDMA in Visual Light Communication System (가시광 통신 환경에서 Multi code MC-CDMA를 통한 동일 채널 간섭 감쇄 기법)

  • Lee, Kyujin;Kim, Guij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8
    • /
    • pp.249-255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d to reduce the interference in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with multi-LED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ER and satisfied the QoS. LED is not only lighting device, but also transmitting device in the VLC. Our proposed system is aim to decrease the interference in the multi-LEDs. In addition, it occurred the ISI and CCI by transmitter to receiver different distance.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d the multi-LEDs system using walsh code to reduce ISI and CCI. In addition, our proposed system is a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BER and satisfied the Qos to desire users.

미래성장 LED 융합 기술 - LED 농생명 융합 기술의 현황 및 전망

  • Lee, Gyu-Han
    • The Optical Journal
    • /
    • s.145
    • /
    • pp.36-40
    • /
    • 2013
  • LED(light emitting diode)는 반도체의 P-N 접합 다이오드의 일종으로, 순방향으로 전압이 걸릴 때 단파장 광이 방출 되는 현상인 전기발광 효과를 이용한 화합물 반도체 소자의 일종으로 발광 다이오드라고도 한다. LED는 화합물 반도체의 화합물의 종류 및 조성비를 조절하여 적외선, 자외선과 빨강에서 보라에 이르는 모든 가시광선이 구현 가능하고, 소비전력이 기존의 광원에 비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일반 조명, 산업용 조명, 전광판, TV의 BLU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 PDF

Research Trends in Light Guide Plates for LED Backlight Units (LED 백라이트유닛 도광판의 연구동향)

  • Park, So Hee;Choi, Eun Seo;Ahn, Sun Young;Shin, Yong Ji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8 no.6
    • /
    • pp.314-326
    • /
    • 2017
  • The displa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modern life, is being developed as a window on a network connecting individuals, devices, and even other individuals from simple display devices, as the IT industry develops. To achieve a thinner, brighter unit with less consumption for backlighting, the LED light source has applied, and the study of complex light-guiding plates to improve luminance, uniformity, and viewing angle has been initiated. In this paper, we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for the scatterers' pattern formation of the light-guiding plate and the arrangement and composition of the light source, which have enabled remarkable development of the LED backlight unit over the last 10 years. In addition, a large-area flat-screen illumination system, applying the light-guiding-plate technology to a currently noteworthy LED light-fixture design, is outlined. Finally, we discuss the direction and way to develop the current technology more progressively.

조명측면에서 본 LED광원 특성과 조명시스템 응용

  • 정봉만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8 no.3
    • /
    • pp.19-25
    • /
    • 2004
  • 2001년 기준 국가 총 전력의 21%(54,167GWh, 총 에너지의 약 6%)을 조명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지난 15년 간 전기소비 증가율이 10.7%인 반면 조명용 전기소비 증가율은 11.9%로 조만간 선진국 수준인 25%로 증가될 전망이다. 이와 같이 막대한 량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조명기술은 광원, 구동장치 (안정기), 등기구가 일체화된 시스템 기술로써 (표 1)에서 보듯 에너지 이용효율이 0.3∼2.0%로 매우 낮아 다른 어느 기술보다 에너지 절약 잠재량이 크고, 실현가능성이 높으며, 시장 침투력이 큰 기술분야이다. (중략)

  • PDF

Design of LED Driving Circuits to Detect Degradation Characteristics (열화특성을 고려한 LED 조명의 구동회로 설계)

  • Lee, Mi-Young;Lee, Woo-Hee;Lee, Jun-Ha;Lee, Hoong-J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5.07a
    • /
    • pp.81-83
    • /
    • 2005
  •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기존에 전자회로 부품으로 사용되던 LED(Light Emitting Diode)는 차세대 조명용 광원으로 대두되고 있다. LED는 소비전력이 작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명이 길어 유지보수 비용이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현재 신호등과 같은 지시용 조명기기를 대체할 광원으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LED는 자체적인 발열은 적지만 주변온도에 민감하게 광도가 변화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높은 온도는 LED의 수명에도 영향을 미쳐 열화를 빨리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정전류제어를 통해 LED의 전류를 일정하게 하고 온도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광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전류 구동회로에 열화로 인한 LED의 수명의 연장하기 위해 온도변화에 따라 LED의 구동전류와 일정한 광출력을 유지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제어회로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ging Change of Exit Light by Measuring the Ratio of Luminance (휘도비 측정을 통한 유도등의 경년변화 연구)

  • Jung, Jong-Ji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3 no.6
    • /
    • pp.181-185
    • /
    • 2019
  • In this study, Exit light installed in offices, malls, hospitals, and factories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luminance performance of CCFL and LED light sources. In addition, fire protection products with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Exit light may change their performance due to ambient temperature, humidity, and dust. So it was extracted by installation place and analyzed its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Exit light for CCFL type showed the value of 'ratio of luminance 2' for large, medium and small. Considering that the reference value was 'lower than 9', the value was very good an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lmost no change in ratio of luminance due to aging. The Exit light for LED type showed a value of 'ratio of luminance 5', which means that the light on the display surface is not uniform. In addition, there was almost no change in ratio of luminance due to ageing, but the ratio of luminance was larger than Exit light for LED type. This is an unsatisfactory result from a visual point of view.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disperse the light of LED light source and strengthen the regulation on ratio of luminance.

Effect of Lighting Condition of Eco Energy LED on Growth and Flowering Quality of 'Viking' Rose (친환경에너지 LED 광 조건에 따른 '바이킹' 장미의 생장과 개화품질에 미치는 영향)

  • Han, Tae-Ho;Ahn, Young-Sang;Choi, Hyun-Sug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4 no.1
    • /
    • pp.99-114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various eco light sources with various lighting distance in 'Viking' rose (Rosa spp.) on the growth and flowering quality to be applied for farm sites. Treatment included 10-, 20-, and 30-RL (-BL, -RBL, -FL, and -IL), which referred to red LED (blue LED, red+blue LED, fluorescent, and incandescent) lighting at 10 cm, 20 cm, 30 cm respectively, apart from flowers. NL referred to natural light as a control. Growth and flowering of 'Viking' rose were non-destructively measured at 4, 6, and 8 weeks after treatment (WAT). FL treatment increased plant height at 4, 6, and 8 WAT, regardless of lighting distance, with the shortest height observed for the NL-treated flowers. 30 RL treatment also increased plant height at 6 and 8 WAT. Stem diameter and number of leav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ll the treatments at 8 WAT, with the lowest values observed for RBL treated-flowers among the light source treatments. Number of root was the greatest for the 30 BL-treated flowers (10.0) but the fewest for the 30 FL (4.7). Length of flower neck at 6 WAT was the extended by 6~7 cm in the 10 FL and 20 FL treatments as well as by 5~6 cm in the 20 RL and 30 RL treatments, inducing 100% of flowering. NL increased $a^*$ (29) of flower color, with the lowest value (10) observed for 20 RL. All things considered, 30 RL would be the best interaction treatment of source and distance of eco light to improve plant height and flowering quality of 'Viking' r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