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ED광원

Search Result 605, Processing Time 0.05 seconds

A Study on Color Reproduction and Flatness of the LED Light Source in Broadcasting Lighting (방송조명에서 LED광원의 색 재현성과 평탄도 연구)

  • Kim, Young-Jin;Park, Gooma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1 no.4
    • /
    • pp.538-551
    • /
    • 2016
  • At the on-site of broadcasting production, the light source of tungsten halogen has been used as a primary light source for representing video images. Although tungsten halogen light has drawn attention in terms of the color reproducibility which is more similar to the sun light than that of other light sources, meanwhile it had problems in energy efficiency. Recently, the LED light source with high efficiency and long lifetime of the energy source has started getting attention as a substitute light source at the broadcast field. Because of the unique light emission principles, compared with tungsten halogen, LED light sourc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quality of the light projec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color reproduction of the video image through a camera. These characteristics cause the delayed introduction of the LED as the broadcast light source.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latness of the color reproduction and light of the LED light source and will present the experimental data whether it is suitable as the broadcasting light source compared to a reference light source of tungsten halogen. In addition, we suggested the future challenges and standards which are needed to expand usage of LED as a broadcast light source.

Development of LED Lamp which using Transparent Plastic Substrates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한 LED 투명 광원 구현)

  • Hong, Dae-Woon;Lee, Song-J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4 no.5
    • /
    • pp.1-7
    • /
    • 2010
  • LEDs, compared to conventional light sources, have many advantages and their applications are rapidly expanding, especially in areas such as back-lights for LC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LED lamp structure suitable for applications requiring a low power. In the proposed LED lamp structures, LED chips are mounted on a transparent polycarbonate plate, and thus photon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both sides of the plate. The copper layer deposited on the polycarbonate plate is patterned to form circuit patten and the chip mount pad, on which LED chips are mounted. We speculate that our proposed LED lamp structures may be used as a type of plate light source.

Effects of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of LED Light Sources and a Flourescent Light Source on Visual Performance (LED광원과 형광광원의 상관색온도가 시작업 성능에 미치는 영향)

  • Baik, Seung-Heon;Jeong, In-Young;Shin, Hwa-Young;Kim, Jeong-Ta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3 no.1
    • /
    • pp.18-26
    • /
    • 2009
  • Recently, from an environmental conservative point of view, the need of high-efficiency lighting system, using LED(Light Emitting Diode) light sources have been increased. However, applied LED light sources without regard to its color and pattern provide visual discomfort to occupa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ask work under different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condition, but also furnish the preliminary data as concerning its purpose and user of inner spa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types of LED light sources and a fluorescent light source were selected. Thirty undergraduate students served as the participants. Two different task work shee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duration of time. Results from subjective performance, task work of error modification showed that LED light sources were 2.5[%] higher in accuracy with 17.1[%] lower duration than a fluorescent light source. In the case of reading task work, It is presented 20.6[%] decrease with the LED light sources comparison with a fluorescent light source.

한국광기술원 LED광원 개발현황

  • Yu, Yeong-Mun
    • Photonics industry news
    • /
    • s.38
    • /
    • pp.10-13
    • /
    • 2007
  • 현재 조명용 LED 광원모듈의 세계시장규모는 약 200억불로 Osram, GE, Philips 등의 다국적기업이 시장의 70-80%를 독점하고 있으며, 국내업체는 기술력 부족 등으로 세계 시장진입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시장 규모는 약 6,000억원 규모로 약 80%이상을 Osram, GE, Philips 등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백색조명용 LED 광원모듈은 세계적으로 기술개발 단계이거나 시장진입 초기로서 동 개발제품의 기술을 국내업체가 이전해 온다면 반도체 조명시장 조기진입 및 세계시장 선점에도 크게 기여 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차기 LED조명시장을 염두에 두고 한국광기술원을 중심으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LED/반도체조명연구사업부가 개발한 2,500 루멘급 백색조명용 LED 광원모듈 시제품의 개발 성공은 백색조명용 LED 광원모듈의 핵심 원천기술 확보에 한발 더 나아가 결과이며, 시제품 개발결과가 조명제품으로 이어진다면 2010년에는 3,000억원의 무역역조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국내 최초로 개발된 3mW급 380nm UV(자외선) LED는 위폐감지기, 살균기 등 의료.환경.바이오산업 등에 적용 가능하며, 조명용 백색 LED 제작을 위한 펌핑광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20mW 급 380nm UV LED 개발이 완료되는 2008년에는 반도체조명산업과 의료/환경산업 등에 활용되어 약 연 10억불 이상의 수입대체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광기술원 LED/반도체조명연구사업부는 다양한 LED 광원모듈의 연구개발을 통해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LED광원 모듈의 국산화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LED Operating Light (LED를 이용한 수술용 무영등의 회로설계 방안의 연구)

  • Cheon, Woo-Young;Song, Sang-Bin;Kim, Ji-Hoon;Kim, Jin-Hong;Park, Joung-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617_1618
    • /
    • 2009
  •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조명은 의사가 환자의 환부에 대해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조명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의료용에 사용되는 조명은 일반 조명으로 사용되는 광원에 비해 보다 특별한 사양들이 요구되어 진다. 기존의 수술용 무영등으로 사용되어 지는 광원은 대부분이 할로겐이나 제논 램프를 이용한 광원이었다. 할로겐이나 제논 램프의 경우는 100-1,000시간 정도의 수명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광원들은 환자의 환부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UV 파장을 발생한다. 제논램프의 경우는 광원의 특성상 많은 양의 발열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명 및 발열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광원을 LED로 대체할 경우 LED가 가지고 있는 장점들을 수술용 무영등에 반영할 수 있다. LED광원은 다른 광원에 비해 장수명의 광원이며 인체에 유해한 파장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고연색성의 조명을 구현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조명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LED의 장점을 고려하여 의료용 조명에 적용한다면 기존의 많은 의료용 조명을 LED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Microalgae Cultivation Using LED Light (LED광원을 활용한 미세조류의 배양)

  • Kim, Dae Geun;Choi, Yoon-E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2 no.1
    • /
    • pp.8-16
    • /
    • 2014
  • Microalgae have been considered as a promising microorganism in the field of bio-industry due to their abilities to fix carbon dioxide as well as biosynthesize valuable secondary metabolites. Of many lighting sources for microalgal cultivation, LED (Lighting Emitting Diode) has been emerged as the appropriate choice with multiple advantages over the conventional bulbs. However, it is only in recent years that we have witnesse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LED into microalgae cultivation system. LED will serve as an evolutionary lighting source for microalgae cultivation system and open the frontier for integrative bio-industrie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comprehensive review on the recent trends of LED applications into microalgal biotechnology.

The construction of laboratory for color and interior lighting atmosphere evaluation under LED lighting (LED 조명에 의한 색채 및 실내 조명환경 평가 실험실 구축)

  • Jung, Seung-Gyun;Kim, Hyun-Ji;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4-207
    • /
    • 2009
  • LED 광원의 광학적 성능이 발전함에 따라 광원으로서의 광학효율이 기존 광원을 대체할 정도의 수준을 만족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실내 조명광원으로서 활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LED 광원의 경우 기존 광원과는 판이한 분광분포를 가지고 있으며, 소형 광원의 군집체로서 조명기구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이전의 조명기구와는 크게 다른 느낌, 분위기 등을 가질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광원과 LED 광원과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이러한 차이점 즉, 분광분포 및 조명기구의 구성 형태 등에 따른 피험자들이 느끼는 색 편차, 조명 분위기의 변화 등을 평가 시험할 수 있는 실험실의 구성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Fingerprint Identification and Scientific Crime Detection Using LED (LED를 이용한 지문감식 및 과학수사에 관한 연구(I))

  • Kim, Soon-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0a
    • /
    • pp.97-99
    • /
    • 2008
  • 본 논문은 고출력 LED를 이용하여 대한민국 경찰청 및 지방경찰청 과학수사에 사용하는 지문감식을 위한 효과적인 휴대용 교광원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광반도체(光半導體) 관련 형광물질 등 원천기술의 획기적인 R&D가 진행 중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산업체는 물론 생활주변에 사용되는 핸드폰 백라이트, LED 평면광원, 가로등용 LED광원, 오징어잡이에 사용되는 집어용 LED, OLED, CNT 광원 등에 적용되는 기술을 광학적 논리를 근거로 하여 고고학에 적용되는 문화재, 미술품의 진품감정, 지문현출을 통한 지문감식 등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미국 유럽 남미 등에서 개발하여 과학수사에 사용하고 있는 교광원은 기동성 및 휴대하기에 매우 무겁고 고가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LED 신광원 UV 파장을 이용하여 지문현출 및 지문감식 등에 적용하면 소형경량화가 가능하여 무게와 부피를 급감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여 기동성이 뛰어나고 신속정확하게 매우 효과적으로 감정 및 감식이 가능하여 그 기대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이러한 장점을 조명공학 및 광학적 이론을 근거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하여 국산화된 세계적인 신제품 개발을 위해 타당성을 검토 고찰하였다.

  • PDF

Life time test & Failure mode analysis of LED chip level for LCD back lighting unit (LCD BLU 광원용 LED chip level의 수명시험 및 고장모드 분석)

  • Park, Seung-Hyun;Lim, Sue-Hyun;Hwang, Nam;Cho, Young-Ic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556-1557
    • /
    • 2007
  • LCD BLU에 광원의 수명을 측정하고, 고장모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광원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성분 중에서 광원 자체를 구성하고 있는 R/G/B 광원에 대한 Burn-in test 및 고장모드를 분석하였다. LCD BLU에 있어서 R/G/B LED광원의 역할은 BLU 자체의 수명과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서로 각각 사용조건하에서의 수명과 성능의 차이에 따라서 BLU 자체의 수명이 결정된다. 이를 평가가기 위해 LED device에 대한 가속수명테스트를 위한 Burn-in test를 실시하였으며, 발생한 고장모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누설전류 증가로 인한 불량이 주로 발생하였다. 누설전류 증가를 평가하기 위해 Photo emission microscope(PHEMOS-1000, MoDooTEK Inc.)을 이용하여 저전류에서의 LED chip의 누설전류에 의한 발광을 관찰함으로 인해, LED chip의 신뢰성 및 평가 기준이 됨을 알 수 있다.

  • PDF

LED Light Source and its Application to Display (LED 광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개발)

  • Kim, Dae-Sik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4.07a
    • /
    • pp.232-233
    • /
    • 2004
  • LED 광원의 특성인 높은 색재현성, 친환경성, 저소비전력 등을 디스플레이 광원으로 그 활용도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 최근 비약적인 광효율 증가를 보이고 있는 고출력 LED 광원을 대화면의 LCD TV 용 BLU 와 Projection TV의 조명계에 적용하기 위하여 기술개발에 필요한 주요 요소들을 살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