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SHEATH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32초

대구 달성 55호분 출토 삼엽문이자태도의 재보존처리와 제작 기법 연구 (Re-conservation of the Iron Sword with Ring Pommel with Three-Pointed Leaf Decoration Excavated from Tomb No. 55 at the Dalseong Ancient Tomb Complex in Daegu and a Study of Its Production Method)

  • 이희성;허일권;노지현;박승원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4권
    • /
    • pp.1-16
    • /
    • 2020
  • 대구 달성 고분군 중 하나인 55호분에서 발견된 부장품 중 삼엽문이자태도의 재보존처리와 제작 기법에 관한 연구이다. 이자태도는 모도가 2점, 자도가 4점이 부착된 이합도이고 출토된 완형으로는 유일하다. 과거 2회의 보존처리가 실시된 기록이 있으며 이번에 균열부 보강제 교체를 위한 재보존처리와 함께 컴퓨터 단층촬영(CT), XRF분석, 실체현미경 관찰을 통해 유물의 재질, 성분, 제작 기법을 조사하였다. 주성분은 구리(Cu)이고 금색 부분에서는 금(Au)과 수은(Hg)이 함께 검출된 것으로 보아 구리에 수은 아말감 금도금을 한 금동으로 추정된다. 제작 기법을 조사한 결과 둥근 삼엽문의 환두부와 병부의 연결은 슴베 부분을 만들어 끼웠고 병판만 금속판으로 제작되어 있는 것을 보아 장식으로서의 기능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부 자도의 결합 방식은 모도와 같고, 하부 자도는 하나의 금속판을 재단하여 만들었다. 검초는 총 2개의 판을 재단하여 만들었고 상부 자도를 검초에 고정하기 위해 자도 도신부의 아래쪽에 지지대를 넣었으며 하부 자도는 검초 일부를 재단하여 안으로 꽂아 넣었다. 표현된 문양은, 환두부는 삼엽문, 병판은 횡주 연호문, 초구금구와 초미금구는 파상형 점열문, 어미형 초미금구는 점열문을 시문하여 제작되었다.

한국산 사초속 사초아속 (Carex subgen. Carex) 6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six sections Ischnostachyae, Anomalae, Capitellatae, Debiles, Capillares and Molliculae of Carex L. in Korea (Cyperaceae))

  • 오용자;이창숙;윤자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97-319
    • /
    • 2004
  • 한국산 사초속 사초아속 (Carex subgen. Carex)의 염주사초절 (sect. Ischnostachyae), 참삿갓 사초절 (sect. Anomalae), 바늘사초절 (sect. Capitellatae), 길뚝사초절 (sect. Debiles), 묏풀사초절 (sect. Capillares), 애기흰사초절 (sect. Molliculae) 등 총 6절 14분류군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고,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과낭, 수과, 잎의 표피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정량적 형질(줄기, 잎, 이삭, 비늘조각, 포, 과낭, 수과의 길이와 너비, 잎의 기공복합체의 크기와 빈도, 기본세포줄, 기공줄의 수)과 정성적 형질[암/수꽃이삭, 비늘조각, 과낭, 수과, 과낭, 수과의 표피세포, 잎의 표피 구성요소(기본표피세포의 모양, 세포벽의 굴곡, 규소체의 모양, 부세포의 모양), 잎의 앞 뒷면의 유두돌기, 가시돌기 및 털의 유무] 등이 종을 동정하고 식별하는데 유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이삭의 수, 암/수꽃이삭의 배열, 포의 유무로 바늘사초절과 나머지절로 2개의 그룹으로 크게 나눌 수 있었다.

생육시기별수도(生育時期別水稻)의 가리부족(加里不足)에 대(對)한 감수성(感受性) -II 수량(收量)에 대(對)한 가리결제(加里缺除)의 영향(影響) 및 수량(收量)과 양분함량(養分含量)과의 관계(關係) (Sensitivity of rice Plant to Potassium Stress of Various Growth Stages -II Effect of potassium depression on grain yield and its relation to nutrient content)

  • 박훈;목성균;김성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3-175
    • /
    • 1974
  • 수도생육시기별(水稻生育時期別) 2 또는 3 주간(週間)의 가리결제(加里缺除)가 수량(收量), 수량구성인(收量構成因) 및 영양함량(營養含量)에 대(對)한 영향(影響)을 진흥품종(振興品種)을 사용(使用) 사경재배(砂耕栽培)(1973년 K 40ppm)로 검토(檢討)하였다. 1. 수량(收量)의 분산분석(分散分析)은 2 주결제(過缺除)에서 1% 수준(水準)의, 3주결제(週缺除)에서 5%수준(水準)의 처리간(處理間) 유의성(有意性)을 보였다. 2. 가리부족(加里不足)에 가장 회감(悔感)한 시기(時期)는 출수(出穗)까지 2주간(週間)(42% 감수(減收))이고 이를 중심(中心)으로 멀어짐에 따라 감수성(感受性)은 점차 감소(減小)하였다. 이앙후(移秧後) 30일간2주간결제(週間缺除)는 모두 증수(增收)하였으나 3주결제(週缺除)는 감수(減收)되었다. 출수후(出穗後) 약(約) 30일(日)까지 가리결제(加里缺除)는 감수(減收)되었다. 3. 근(根)의 가리(加里)는 수확지수(收穫指數), 등숙율(登熟率) 및 입중(粒重)과 유의상관(有意相關)을 가지며 수당입수(穗當粒數)와도 상당히 관련되어있으며 엽초십간의 가리(加里)는 수당입수(穗當粒數) 및 주당수수(株當穗數)와 상당히 관련되어 있다. 상대전건물생산량(相對全乾物生産量)은 주당수수(株當穗數), 수당입수(穗當粒數) 및 엽초십간에서만의 K 또는 K/Ca+Mg와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있다. 이는 근(根)의 가리(加里)는 수기(受器)의 건설(建設)과 생산구조(生産構造) 및 효율향상에 기여(奇與)하는 반면 엽초십간의 가리(加里)는 급기(給器) 즉(卽) 생산구조(生産構造)의 건설(建設)에 주(主)로 기여(寄與)하는 것을 의미(意味)한다. 4. 상대수량(相對收量)은 근(根) 및 엽초십간중의 K와, 근중(根中)의 K/Ca+Mg 또는 결제처리전(缺除處理前)에 대(對)한 후(後)의 이의 비율(比率)과 유의상관(有意相關)을 갖는다. 이는 가리부족(加理不足)이 근(根)에서 크게 일어나며 K/Ca+Mg는 K보다 근(根)에서 K 부족시(不足時) 더 큰 의미(意味)를 갖는 것을 나타난다. 5. 수량(收量)과 관련(關聯)하여 한 부위(部位)에서의 가리(加里)의 함량(含量)과 역할(役活)과는 생육전기간(生育全期間)에 동일(同一)하다고 한다면 엽신(葉身)에서는 3% 엽초십간에서는 4% 근(根)에서는 1%가 호적수준(好適水準)이다. 근(根)에서 K/Ca+Mg는 2.5로서 이 값은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 불변(不變)해야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가리결제(加里缺除)로 Na가 증가(增加)하는데 가리부족(加里不足)에 가장 감수성(感受性)이 적은 시기(時期)의 엽초에서 특히 현저하여 K결제(缺除)에 대(對)한 감수성(感受性)이 큰 시기(時期)(생육후기(生育後期)) 또는 기관(器管) 근(根)에서는 Na의 K부분대체역할(部分對替役割)이 극미(極微)한 것으로 보였다.

  • PDF

벼종자의 비중차이가 유묘생장 및 유관속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ain Specific Gravity on Seedling Growth and Vascular Bundle Development of Two Rice Cultivars)

  • Chae, Je-Cheon;Lee, Dong-J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2-67
    • /
    • 1996
  • 본 실험은 비중선으로 종자밀도를 5등급으로 세분한 뒤 각 등급별 유묘의 유관속 발달 및 생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인디카형인 IR58과 자포니카형인 운봉7호를 공시하여 수해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자의 밀도가 1.00이하에서 1.20이상으로 높아질수록 유묘의 엽신과 엽초에 발달된 유관속수와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IR58은 운봉7호보다 유관속수와 크기가 양호하게 발달하였다. 2. 유묘의 생육특성인 초장, 엽수, 근수 및 근장은 종자의 밀도가 1.20이상까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3. 엽신과 엽초에 발달된 유관속수는 건물중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제4, 5엽신의 대유관속수는 엽신폭과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다. 4. 종자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유묘의 유관속 발육을 좋게 하며 양수분의 원활한 이동으로 인하여 생육이 양호하게 건묘육성에 바람직하였다.

  • PDF

Comparison of ecophysiological and leaf anatomical traits of native and invasive plant species

  • Rindyastuti, Ridesti;Hapsari, Lia;Byun, Chae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1호
    • /
    • pp.24-39
    • /
    • 2021
  • Background: To address the lack of evidence supporting invasion by three invasive plant species (Imperata cylindrica, Lantana camara, and Chromolaena odorata) in tropical ecosystems, we compared the ecophysiological and leaf anatomical traits of these three invasive alien species with those of species native to Sempu Island, Indonesia. Data on four plant traits were obtained from the TRY Plant Trait Database, and leaf anatomical traits were measured using transverse leaf sections. Results: Two ecophysiological traits including specific leaf area (SLA) and seed dry weight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lant invasion in the Sempu Island Nature Reserve. Invasive species showed higher SLA and lower seed dry weight than non-invasive species. Moreover, invasive species showed superior leaf anatomical traits including sclerenchymatous tissue thickness, vascular bundle area, chlorophyll content, and bundle sheath are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showed that leaf anatomical traits strongly influenced with cumulative variances (100% in grass and 88.92% in shrubs), where I. cylindrica and C. odorata outperformed non-invasive species in these traits. 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 that the traits studied are important for plant invasiveness since ecophysiological traits influence of light capture, plant growth, and reproduction while leaf anatomical traits affect herbivory, photosynthetic assimilate transport, and photosynthetic activity.

Phenology of Zostera caespitosa in Tongyeong on the coast of Korea

  • Yoon, Joon-Sik;Kim, Nam-Gi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3호
    • /
    • pp.121-128
    • /
    • 2021
  • The variations of morphological features, density and biomass of vegetative shoots and characteristics of reproductive shoots of Zostera caespitosa were examined in Tongyeong, Korea. 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leaf length, width and sheath length of Z. caespitosa showed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 (p < 0.001). The highest aboveground value was recorded in late spring to summer and the lowest value in winter. Density and biomass also showed seasonal variations. Annual average shoot density and biomass of Z. caespitosa were recorded as 1,223.4 leaf m-2 and 5,956.9 g w.w.m-2, respectively, and had the highest value in June and lowest values in November and January. Reproductive shoots were observed from April (13℃) to June (21℃). Pistils erected outside sheath, anther dehiscing and small embryos were found in April. Mature fruit and released seeds were found in May and Ju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species had a high growth rate in late spring and early summer (15℃-20℃). Reproductive shoots of Z. caespitosa may initially appear at about 10℃ in spring and seed have been released at about 20℃ in fall.

한국산 골풀아재비속 3종의 분류학적 검토 (A taxonomic study on genus Rhynchospora Vahl in Korea)

  • 오용자;이창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93-409
    • /
    • 2003
  • 한국산 골풀아재비속 3종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다. 줄기와 잎의 단면, 및 수과와 잎의 표피형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줄기, 잎, 잎싸개, 포, 꼬마이삭, 비늘조각, 수과의 길이와 너비, 암술머리의 수, 꼬마이삭, 비늘조각, 수과의 모양 등의 외부형태형질과 줄기와 잎의 횡단모양, 유관속의 수, 수과의 표피 세포의 모양, 잎표피의 규소체의 형태, 기공복합체의 빈도, 부세포의 모양 등의 미세형태형질이 이들 분류군의 유용한 분류형질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난지형 마늘의 인경 발육 및 이차생장 과정 중 Gibberellin, Abscisic Acid, Jasmonic Acid 및 당 함량 변화 (Changes in Gibberellin, Abscisic Acid, Jasmonic Acid and Sugar Contents during Bulb Development and Secondary Growth Period in the Southern Type of Garlic (Allium sativum L.))

  • 손은영;김윤하;장수원;김정태;이현숙;서동환;이인중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4호
    • /
    • pp.279-287
    • /
    • 2011
  • 본 연구는 난지형 마늘인 '산동마늘'과 '남도마늘'의 인경비대 및 이차생장에 미치는 식물 생장 물질의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산동마늘'과 '남도마늘'의 내생 GA, ABA, JA 함량 변화 양상은 품종군 간에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 난지형 마늘의 내생 GA와 JA는 인편 분화기 전에 최대에 달하여 그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반면 ABA 함량(leaf sheath: 6.58-18.59$ng{\cdot}g^{-1}$ DW)은 비대개시기부터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산동마늘'과 '남도마늘'의 GA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두 품종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GA 함량은 마늘의 이차생장에는 크게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JA 함량(33.0-76.16$ng{\cdot}g^{-1}$ DW)은 이차생장이 적게 발생하는 '남도마늘'에서 '산동마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결과로 볼 때 JA가 마늘의 이차생장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 된다. '산동마늘'과 '남도마늘'간에 총 당 함량은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당 함량은 인편분화기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엽 한국잔디류 신품종 '건희(Konhee)' 육성 (Development of Narrow Leaf Type Cultivar "Konhee" in Zoysiagrass)

  • 김두환;이재필;김종빈;모숙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7-151
    • /
    • 1999
  • "Konhee" zoysiagrass[Zoysia matrella (L) Merr.](Patent registration no. 2000-723), a vegetative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Dept. of Horticultural Science, Konkuk University, Seoul. "Konhee" was selected from the cross, ZKV6$\times$ZKV10, in 1997 and F1 seed were produced in the greenhouse in 1996. "Konhee" is superior to the other fine leaf zoysiagrass lines in many traits such as erect type, plant height($8.5\pm$2.0cm), short 3rd stolon length($3.4\pm$0.5cm), dark green, fine leaf($2.3\pm$0.2mm), low first sheath height($0.9\pm$0.2cm), rapid establishment and recoverage, many stolon number, and high shoot density. When "Konhee" was compared to the five other zoysisagrass lines at the DNA level using 35 PCR primers, it had the specific bands with primer No. 740, 544, 765, 772 by RAPD analysis.No. 740, 544, 765, 772 by RAPD an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