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DLcholesterol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6초

마황이문탕(麻黃二門湯)이 흰쥐의 고지혈증 병태모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hwangimun-tang in Cholesterol Diet and Triton WR-1339 -induced Hyperlipidemic Rats)

  • 김학준;김정범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2-110
    • /
    • 201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hyperlipidemia-healing effect of aqueous extract from Mahwangimun-tang(麻黃二門湯) and it was performed on the hyperlipidemia of rats induced by high cholesterol diet and Triton WR-1339. We prepared two types of hyperlipidemia model in rats induced by high cholesterol diet and Triton WR-1339. The amount of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 -cholesterol, triglyceride, phospholipid, free fatty acid,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were measured. The aqueous extract from Mahwangimun-tang showed significant decreasing effects on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triglyceride in the both model. And it showed significant increasing effects on HDL-cholesterol, the activity of SOD in both mod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queous extract from Mahwangimun-tang has healing efficacy on hyperlipidemia induced by high cholesterol diet and Triton WR-1339.

고콜레스테롤혈증 성인에서 울금과 명일엽 복합 추출물의 복용에 따른 혈중지질, 항산화 및 염증 관련 지표의 변화 (The Effects of Angelica keiskei Koidzumi and Turmeric Extract Supplementation on the Blood Lipids, and Antioxidant and Inflammatory Markers in Hypercholesterolemic Adults in Korea)

  • 윤선주;연지영;김명희;강명화;김태현;손연경;김미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17-525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gelica keiskei Koidzumi and turmeric extract supplementation(ATE) on blood lipids, antioxidant and inflammatory markers in 35 hypercholesterolemic Korean adults with high blood cholesterol levels (serum total cholesterol$\geq200mg/d{\ell}$ or LDL-cholesterol$\geq130mg/d{\ell}$). They received ATE(n=21, 14 females and 7 males) or placebo(control group, n=14, 11 females and 3 males) for 4 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erum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levels after ATE supplementation in the both groups. However, the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ratio(LP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both serum prostagrandin E2(PGE2)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ose receiving ATE. No significant changes were evident in interleukin(IL)-$1\beta$, IL-6, IL-8, 8-isoprostane, malondialehyde, total antioxidant capacity and oxidized-LD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lex extract of Angelica keiske and turmeric has the potential to decrease cardiovascular risk by reducing LPH and inflammatory mediator $PGE_2$ in hypercholesterolemic adults.

메타분석에서 평균차를 이용한 마늘의 항-고지혈증 효과 (Hyperlipidemia effect of garlic using mean difference of meta analysis)

  • 윤아름;최기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3호
    • /
    • pp.413-421
    • /
    • 2011
  • 평균차를 이용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마늘을 투여한 고지혈증 유발 쥐들의 체중과 각 기관의 무게, 혈액 내 혈당량,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간의 콜레스테롤, 간의 중성지방의 평균비교를 통해 마늘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고정효과 모형에서는 체중과 간, 신장, 심장의 무게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혈액 내 혈당량과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간의 콜레스테롤, 간의 중성지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고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동질성 검정을 통해 연구 간의 이질성을 보인 모든 변수에 대해 랜덤효과모형을 적용시킨 결과 간의 무게와 혈액 내 혈당량,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간의 콜레스테롤, 간의 중성지방의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고, 고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의 증가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마늘의 투여기간이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장의 무게와 고환의 무게,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간의 콜레스테롤, 간의 중성지방에 대해 마늘의 투여기간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대사증후군 동반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 비교 및 심혈관질환과의 관련성 (Comparative of the Nutritional Status and Correla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Type Ⅱ Diabetes Mellitus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s)

  • 임희숙;김순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4호
    • /
    • pp.327-340
    • /
    • 200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 statu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type 2 diabetes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The subjects were 66 patients and divided into Non MS (a group without metabolic syndrome, n = 37) and MS (a group with metabolic syndrome, n = 29). The percentage of patients accompanying metabolic syndrome was 43.9% and family history such as DM, skipping meal and eating speed were higher in MS (P < 0.05) The average values of BMI, body fat (%), waist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of MS than that of Non MS. For hamatological values, MS showed higher FRS, HOMA-IR, LDL-Cholesterol, CRP. Percentage of FRS was 21.63% in MS that is relatively higher in comparison with 16.81% in Non MS. Moreover,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appeared 13.8% in MS that is higher than 2.7% in Non MS. The intake of sodium and vitamin E were higher, but the intake of fat, vitamin A and zinc were lower in MS than in Non MS. Close correlations were elucidated among FRS, occurr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weight, waist circumference, Total-Cholesterol, LDLCholesterol, sodium in both groups. In conclusi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would be higher in type 2 diabetes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and there were distinctive patterns that were associated with hamatological values, nutrition intake risk factors. This resul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nutrition study and intervetion programs.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노인수검자의 성별에 따른 관련 요인분석 (The Analysis on Related Factors of the Aged Examines Who Get Diagnosed in Their Climacteric Period According to Sex)

  • 금은순;서부일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19-134
    • /
    • 2010
  • Objectives & Method:Based on the statistic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08 include 66-year-old 375 people (159 men, 216 women) who got examined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his study set a goal to establish a new health index by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cardio-cerebra vascular disease and risk factor such as obesity, smoking, exercise, alcohol consumption, blood pressure, blood sugar and cholesterol. Results:1) Examine results, health status according to gender;People who are diagnosed as abnormal health status have higher risk for both men and women. As for the detailed diseases, high blood pressure was highest followed by hyperlipidemia and obesity. In case of the women, 96.3% in bone mineral density was highest. 2) Correlation of disease and health risk factors based on gender;Correlation of disease according to gender in the obesity(p<0.001), lipid abnormalities(p<0.001), kidney diseases(p<0.001), chest diseases(p<0.05), osteoporosis(p<0.001)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en have more obesity and lipid abnormalities as well as thoracic disease than the women, but the women have more kidney disease than the men. As for the osteoporosis examine which is conducted only for the women, most of the women were abnormal even though it cannot compare the result according to gender. Obesity(p<0.001), alcohol(p<0.001), smoking(p<0.001) and LDLcholesterol(p<0.001) showed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gender and health risk factor. And only high blood pressure(p<0.001) showed a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gender and risk of cardio-cerebra vascular disease. 3) Risk of cardio-cerebra vascular disease related to health risk factor characteristic;Obesity assessment(p<0.001), alcohol(p<0.05), smoking(p<0.05), blood pressure(p<0.001), glucose(p<0.001) showed correlation between health risk factor and stroke. Drinking(p<0.001), smoking(p<0.05), exercise(p<0.001), blood pressure(p<0.001), LDL cholesterol(p<0.001) showed health risk factor and myocardial infarction. Obesity assessment(p<0.001), smoking(p<0.05), blood pressure(p<0.001), glucose(p<0.001) and showed correlation between health risk factor and diabetes. Obesity assessment(p<0.001), blood pressure(p<0.001) showed correlation between health risk factor and high blood pressure. Conclusion:Therefore, we have to take one step farther after the health examination. In order to prevent and reduce the risk of disease, people have to understand their health status exactly first, and correct their habit with recognizing the amount of risk related to cardio-cerebra vascular disease.

오갈피나무 속(屬) 식물의 항당뇨 및 혈당강하 효과 (Anti-diabetic and Hypoglycemic Effect of Eleutherococcus spp.)

  • 임상현;박유화;권창주;함헌주;정햇님;김경희;안영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761-1768
    • /
    • 2010
  • 오갈피나무 속의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 섬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gracilistylus), 오가나무(Eleutherococcus sieboldianus),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의 잎 부위를 이용하여 $\alpha$-glucosidase와 $\alpha$-amylase 활성 저해 효과를 통한 혈당강하 효과를 평가 하였다. $\alpha$-Glucosidase 활성 저해 효과를 비교한 결과 섬오갈피 잎 추출물이 acarbose 대비 약 43.38%의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가시오갈피 잎 추출물이 41.24%의 저해 효과를 보였다. $\alpha$-Amylase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acarbose가 10 mg/mL의 농도에서 73.25%의 활성 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가시오갈피 잎 추출물이 acarbose 대비 91.90%의 높은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streptozotocin (STZ)으로 당뇨를 유도한 모델에 2주간 오갈피나무 속 식물 추출물을 섭취시킨 후 혈당과 지질 개선 효과를 탐색한 결과 STZ 투여로 인하여 모든 당뇨 유발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혈당 수준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당뇨 유발 대조군(C)과 대비하여 시료 투여군인 가시오갈피(T1), 섬오갈피나무(T2), 오가나무(T3), 오갈피나무(T4)군 모두 혈당이 크게 감소하였다. 혈중 지질 농도 변화 실험 중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당뇨 유발 대조군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반면 약물 투여군인 가시오갈피(T1), 오가나무 (T3), 오갈피나무(T4)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HDL-cholesterol은 오가나무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55.61% 가장 크게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LDLcholesterol의 경우 정상군과 대조군과의 큰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섬오갈피나무, 오가나무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가시오갈피와 오갈피나무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중 중성지방의 경우 또한 총 콜레스테롤과 유사하게 대조군의 경우 혈중 농도가 증가하였다. 약물 투여군인 오가나무군은 60.16%, 오갈피군은 60.80%, 가시오갈피군은 50.16%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적출한 간 내의 중성지방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의 경우 정상군에 비교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가시오갈피군, 섬오갈피나무군은 각각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에서 오갈피나무 속 추출물들은 혈당강하 및 당뇨대사 이상으로 인한 지질대사의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숙과 복분자 열매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시킨 C57BL/6 Mice의 지질대사 개선 효과 (Effects of Unripe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on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in C57BL/6 Mice Fed a High-Cholesterol Diet)

  • 정명아;조숙현;이선영;김지혜;오교녀;김영숙;유구상;이동욱;김선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50-655
    • /
    • 2014
  • 미숙성 복분자 5% 주정 추출물의 지질대사 개선 효과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고콜레스테롤혈증 모델에게 미숙성 복분자 5% 주정 추출물 50, 100, 300 mg/kg/day의 농도(uRC 50군, uRC 100군, uRC 300군)로 60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체중증가량은 HC군과 N군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uRC 투여에 의해서도 유의차는 없었다. 식이섭취량은 HC군에 비하여 uRC 100군, BO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식이효율은 각 군 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간 조직의 무게는 HC군이 N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uRC 100군, uRC 300군, BO군에서는 HC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그중 uRC 100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신장의 무게는 거의 유사하여 복분자 추출물 투여에 의한 변화는 없었다. 비장의 무게는 HC군은 N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uRC 50군, uRC 100군, uRC 300군에서는 감소한 경향을 보였으며 BO 투여군에서는 HC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N군에 비해 HC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러한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시킨 C57BL/6 mice에 uRC 300군, BO군에서 총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HDL-cholesterol은 HC군이 N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HC군에 비해 uRC 50군, uRC 100군, uRC 300군, BO군으로 증가한 경향을 보였으며 BO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LDLcholesterol은 NC군에 비해 HC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에 비교하여 uRC 50군, uRC 100군, uRC 300군, BO군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GOT와 GPT 활성 모두 HC군이 N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HC군에 비하여 uRC 100군, uRC 300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의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지수는 HC군이 N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uRC 100군, uRC 300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미숙과 복분자 5% 주정 추출물은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발된 고콜레스테롤혈증 모델에서 지질대사 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혈중 지질대사의 개선 효과와 더불어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그 외에 미숙과 복분자 추출물의 어떠한 생리활성 성분이 어떻게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추후 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