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D50

검색결과 743건 처리시간 0.027초

멸구 매미충류에 대한 약제저항성의 유전성에 관한 연구 I. 애멸구의 MEP제에 대한 약제저항성의 유전적 특성 (Inheritance of Insecticide Resistance to Plant- and Leaf-hoppers Inherited Properties of MEP Resistance to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 심재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5-80
    • /
    • 1978
  • 본 시험은 애멸구의 MEP제에 대한 저항성이 유전적 특성에 기인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나주지역의 야외집단을 채집하여 감수성인 실험실 계통과 교배하고 $F_1,\;BC_1F_1$$F_3$에 대하여 Probit 법으로 분석하고 $LD_{50}$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나주지역의 애멸구 야외집단은$LD_{50}$이 자충충의 경우 0.0029ug/충으로 감수성인 실험실계통의0.0008ug/충에 비하여 저항성의 차를 타나내었다. 2. 나주지역 야외집단이 나타내는 저항성은 $F_1$$BC_1F_1$ 의 분석에서$LD_{50}$ 및 사충율의 회귀가 저항성인 친쪽으로 가깝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 유전적 특성에 기인된다고 생각되었다. 3. $F_2$ 집단의$LD_{50}$은 양친의 중간 정도였으며 넓은 분산을 보이고 있어 MEP제에 대한 저항성의 유전은 수개의 유전자가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눈꽃 동충하초균의 누에감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nfectivity of Cordyceps, Paecillomyces japonica, on the Domestic Silkworm, Bombyx mori.)

  • 윤재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77-80
    • /
    • 2000
  • 건강식품으로 각광 받고 있는 누에 동충하초균의 누에에 대한 병원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동충하초균을 4령기잠에 접종 후 감염잠 발생율을 조사한 결과 $10^{7}/mm^{3}$ 시험구에서는 100%, $10^{6}/mm^{3}$ 시험구에서는 96%, $10^{5}/mm^{3}$ 시험구에서는 76%, $10^{4}/mm^{3}$ 시험구에서는 44%, $10^{3}/mm^{3}$ 시험구에서는 28% $10^{2}/mm^{3}$ 시험구에서는 8%의 감염율을 나타내었다. Probit법에 의한 생물검정 결과 감염효과는 $LD_{50}$ 값이 $3.78{\times}10^{3}\;spores/mm^{3}$ 로서 생물 살충제로 개발 가능성이 높았다.

  • PDF

제초제 Methiozolin의 급성독성평가 (Evaluation of Acute Toxicity of the Herbicide Methiozolin)

  • 구석진;권민;박철범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3-388
    • /
    • 2011
  • 본 연구는 새롭게 개발된 제초제인 methiozolin의 인체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급성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랫드를 이용한 급성 독성 시험에서 2,000 mg/kg의 용량을 고용량으로 하여 단계적으로 투여한 결과 methiozolin의 $LD_{50}$은 2,000 mg/kg bw 이상이었다. 급성 경피독성시험결과 시험물질을 고용량 4,000 mg/kg을 투여한 결과 별다른 사망동물이 발생하지 않아 시험물질의 $LD_{50}$이 4,000 mg/kg bw 이상으로 나타났다. 피부자극성 시험결과 시험물질의 약한 자극성이 나타났으며, 안점막 자극성 시험결과 약한 자극성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경구 독성의 경우 methozolin은 GHS 카테고리 IV에 해당하는 물질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methiozolin은 안전한 제초제로서 추후 만성 독성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Vinblastine과 Vincristine이 1차(次) 및 2차(次) 세포성(細胞性) 면역반응(免疫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Vinblastine and Vincristine on the Primary and Secondary Cell-mediated Immunity)

  • 표명윤
    • 생약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8-254
    • /
    • 1986
  • Effects of vinblastine(VLB) and vincristine(VCR) on cell-mediated immunity(CMI) were studied with the microcytotoxicity test(MCT) after normal or pre-sensitized Balb/c mice had been treated in vivo with a combination of two different doses of VLB or VCR(single dose of 20% and 60% $LD_{50}$, i.p.) at different times (from day -6 to day +4) plus allo-transplantation antigen(allo-TA, cells from C3H mice at day 0). The results were that $LD_{50}$ of VLB for female Balb/c mouse was 7.3mg/kg body weight (i.p.) and $LD_{50}$ of VCR was 4.3mg/kg body weight and that VLB and VCR acted as immunosuppressive agents on the primary CMI when administered after allo-TA(antigen-drug-phase), but showed no effect when administered prior to allo-TA(drug-antigen-phase). Change of doses of VLB and VCR(20% $LD_{50}$, 60% $LD_{50}$) caused quantitative or qualitative variations in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these two drugs. Neither VLB nor VCR had any immunomodulating effect on the secondary CMI. Lastly, the results support that the four parameters (type of drug, sensitization status, time of drug treatment in relation to antigen injection, and drug dosis) are significant for the effects of the VLB and VCR on the CMI, and that VLB and VCR may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antigen-stimulated T effector lymphocytes but not memory-cytotoxic T lymphocytes.

  • PDF

Sweet BV의 함량분석과 시술 부위별 LD50 관찰 (Expermental Studies of quantitative evaluation using HPLC and safety of Sweet Bee Venom)

  • 곡경승;박희수;김민기;차배천;이은;권기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0권2호통권23호
    • /
    • pp.81-86
    • /
    • 2007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arry out quantitative evaluation and safety of Sweet Bee Venom. Methods : Content analysis was done using HPLC, measurement of LD$^{50}$ was conducted intravenous, subcutaneous, and intramuscular injection to the ICR mice. Results : 1. According to HPLC analysis, removal of the enzymes containing phospholipase A2 was successfully rendered on Sweet Bee Venom. And analyzing melittin content, Sweet Bee Venom contained 12% more melittin than Bee Venom. 2. LD$^{50}$ of ICR mice with Sweet Bee Venom was more than 20mg/kg in subcutaneous injection and intravenous injection, between 15mg/kg and 20mg/kg in muscular injection. 3. LD$^{50}$ of ICR mice with Bee Venom was between 6 and 9mg/kg in subcutaneous injection and intravenous injection, and more than 9mg/kg in muscular injection. Conclusion : Above results indicate that Sweet Bee Venom was more safe than Bee Venom and the process of removing enzymes was well rendered in Sweet Bee Venom.

청색과 녹색 GaN계 LED 및 LD소자를 이용한 자발 발광 시 효율 감소 현상에 대한 연구

  • 정규재;이재환;한상현;이성남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11-311
    • /
    • 2014
  • III-N계 물질로 이루어진 GaN 기반의 광 반도체는 직접 천이형 넓은 밴드갭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적외선부터 가시광선 및 자외선까지를 포함한 폭 넓은 발광파장 조절이 가능하여 조명 및 디스플레이 관련 차세대 광원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GaN기반의 발광 다이오드는 많은 연구기관들의 오랜 연구에도 불구하고 고출력을 내는데 있어 여전히 많은 문제들이 존재한다. 그 중, 주입전류 증가에 따른 효율감소 현상은 출력을 저해하는 대표적인 요소로 알려져 있는데, 이전의 연구 결과에서 알려진 효율감소 현상의 원인으로 결정결함에 의한 누설전류, Auger 재결합, 이송자 넘침 현상 그리고 p-n접합부의 온도 상승 등의 현상이 알려져 있다 [1-2]. 하지만 여전히 주입 전류 증가에 따른 효율 감소 현상의 원인에 대해 명확한 해답은 없으며 아직도 많은 논의가 이루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aN기반의 청색 및 녹색 LD와 LED소자를 이용하여 주입전류 밀도의 변화에 따른 자발 발광 영역에서의 효율감소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고 한다. 유기금속화학증착법(MOCVD)를 이용하여 c면 사파이어 위에 서로 다른 발광파장을 가지는 InGaN/GaN 다중양자우물구조의 질화물계 LED와 LD 박막을 제작하였으며 성장 구조에 의한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효율 저하 현상을 방지하고자 InGaN/GaN으로 이루어진 다중양자우물층의 조성만 제어하여 청색과 녹색으로 발광하도록 하였다. 청색 및 녹색 LD 웨이퍼들을 이용하여 주입전류 증가에 따른 발광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LD와 LED는 표준 팹 공정에 의해 제작되었다. 전계 발광 측정을 위해 상온에서 직류 전류를 주입하여 GaN계 청색 및 녹색 LED와 LD에 각 5 mA/cm2에서 50 mA/cm2까지 전류밀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LD 및 LED칩 형태에 상관없이 청색 LD와 LED의 파장은 약 465nm에서 약 458nm로 감소하였고 녹색 LD와 LED의 파장은 약 521nm에서 약 511~513 nm까지 단파장화가 발생했다. 이는 동일한 웨이퍼에 동일한 전류 밀도를 주입하였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청색 LED의 효율은 50 mA/cm2에서 약 70%정도로 감소하고 반면 녹색 LED의 경우 동일한 전류밀도 하에 약 52%정도로 감소하였지만, 청색과 녹색 LD의 경우 동일한 전류 밀도의 범위 내에서 더욱 낮은 효율저하 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접합 온도를 측정한 바 청색소자가 녹색 소자에 비하여 낮은 접합 온도를 나타낼 뿐아니라, 청색 및 녹색 LD의 경우 LED 보다 낮은 접합 온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InGaN 활성층의 In 조성이 증가할수록 비발광 센터에 의한 접합온도 상승 뿐 아니라, LD ridge 구조에서 더 많은 열이 방출되어 접합 온도가 감소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는 동일한 웨이퍼에 LED와 LD를 제작하였고, 동일한 전류 주입밀도를 인가하였기 때문에 LD와 LED의 효율 감소 현상의 차이는 이송자 넘침 현상, 결정 결함, 오제 재결합 등이 원인보다 활성층의 접합 온도 상승이 가장 큰 영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대웅세파(DWC-751)의 일반독성 및 특수독성연구

  • 정규찬;박정식;하광원;유영호;연재덕;이제원;강진석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05-105
    • /
    • 1993
  • 랫드 및 마우스에 1회 경구 및 정맥투여하였을때의 급성독성을 관찰한 결과 랫드에서 급성경구 시험결과의 LD$_{60}$치는 암수 각각 5,000mg/kg 이상이었으며, 급성정맥시험 결과의 LD$_{50}$치는 수컷에서 1,151mg/kg, 암컷에서 1,184mg/kg이었다. 마우스에서 급성경구시험 결과의 LD$_{60}$치는 암수 각각 5,000mg/kg 이상이었으며 급성정맥시험 결과의 LD$_{50}$치는 수컷에서 2,698mg/kg, 암컷에서 2,833mg/kg이었다. Sal. typhimurium을 이용한 돌연변이시험, 마우스를 이용한 소핵시험, 배양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 시험을 실시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왔으므로 DWC-751의 돌연변이 유발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타났다.

  • PDF

분포반사기 레이저 다이오드와 광흡수 변조기가 집적된 소자의 제안 및 해석 (Proposan and Analysis of DR(Distributed Reflector)-LD/EA(electro-absorption)­Modulator Integrated Device)

  • 권오기;심종인
    • 한국광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333-341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분포궤환형 레이저 다이오드와 광흡수 변조기(DFB-LD/EA­ MOD.)가 집적된 소자의 낮은 광효율과 수율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동시에 우수한 chirp특성을 나타내는 분포반사기 레이저 다이오드와 광흡수 변조기 (DR-LD/EA­MOD.)가 집적된 소자를 제안하였다. DR-LD/EA­MOD. 집적소자는 제작상으로 DR-LD/EA­MOD. 소자와 비교해서 선택 MOVPE성장시 SiO2 마스크 폭만 조절하는 것 외엔 거의 동일하므로 실용적 측면에서도 우수한다. 집적소자의 정특성 및 동특성을 해석하기 위하여 시간의존성을 갖는 전달 메트릭스방법, 활성층내의 비율 방정식, 변조기의 QCSE효과를 고려한 Schrodinger 방정식을 동시에 풀이하였다. 1.55$\mu\textrm{m}$ DR-LD/EA­MOD. 집적소자와 종래 사용중인 1.55$\mu\textrm{m}$ DR-LD/EA­MOD. 집적소자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LD에 동일전류를 주입할 경우 광변조기의 on상태의 광출력이 약 30%이상 향상되고, 동일 광변조기의 잔류단면반사율에 대해 광출력의 ripple이 적고, 동적파장 천이량이 약 50%이상 줄어듦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R-LD/EA­MOD. 소자는 시분할 파장특성은 광 펄스의 leading edge에서 blue-shift, falling edge에서 red-shift 특성이 기대되었다. 이는 일반적인 단일모드 광섬유를 사용하여 광 펄스를 전송할 경우 전송시 펄스 폭이 좁아지는 효과를 주어 이로 인해 전송대역폭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대신호 시영역 모델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외부 공진 레이저 다이오드의 해석 (Analysis of Fiber-grating External-cavity Laser Diode Using Large-signal Time-domain Model)

  • 김재성;정영철;조호성
    • 한국광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227-23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RLD (Reflective Laser Diode)와 FBG (Fiber Bragg Grating)가 하이브리드 집적된 LD (이하 FG-LD)의 정적 및 동적 특성을 해석하기 위하여 대신호 시영역 모델링 방법을 구현하였다. FBG의 유효길이 2.1 mm를 포함한 외부 집적 공진기의 길이가 8 m인 경우에 0.44GHz의 동적 주파수 요동과 6.4 GHz 정도의 동적 주파수 요동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10 Gbps NRZ 신호의 아이가 크게 오픈된 상태를 잘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FG-LD는 50 km 정도의 길이를 커버하는 10 Gbps 급 단일파장 레이저로서의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ral Single Dose Toxicity Study of Low Molecular Fucoidan in Mice

  • Jung, Young-Mi;Yoo, Kang-Min;Park, Dong-Chan;Kim, Tae-Kwon;Lee, Hyeung-Sik;Ku, Sae-Kwa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79-86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information of the oral dose toxicity of low molecular fucoidan (LMF) in male and female mice. In order to calculate 50% lethal dose ($LD_{50}$) and approximate lethal dose (LD), test material was once orally administered to male and female ICR mice at dose levels of 2000, 1000, 500, 250, 125 and 0 (vehicle control) mg/kg (body wt.). The mortality and the changes on body weight, clinical signs, gross observation and organ weight and histopathology of principle organs were monitored 14 days after LMF treatment. We could not find any mortalities, clinical signs, body weight changes and gross findings. In addition, significant changes in the organ weight and histopathology of principal organs were not observed except for some sporadic finding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LMF may not be toxic in mice and may be therefore safe for clinical use. The $LD_{50}$ and approximate LD in mice after single oral dose of LMF were considered over 2000 mg/kg in both female and male m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