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D 50

검색결과 744건 처리시간 0.023초

STUDIES ON CYTOTOXICITY AND ANTITUMOR ACTIVITY OF KOREAN PHARMACEUTICAL HERBS

  • Ryeom, Kon;Lee, Young-Kee;Shin, Suck-Woo;Jung, Byung-Ki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2-62
    • /
    • 1995
  • 한국산 천연자원중 한방이나 민간요법에서 항종양제로 빈번히 사용되어온 생약들 중에서 103종을 선정하여 이들 성분들을 추출하고 시험관내에서 항종양성이 우수하고 정상세포에 손상을 적게 주는 생약 6종을 선별하여 암세포주에 대한 독성능 (in vitro)과 항종양성 면역감시기구(in vivo)및 LD$_{50}$등을 측정하여 항종양제로의 신약개발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방법: 선별된 6종의 생약유효성분을 METHANOL로 추출하여 조추출물을 얻었으며 이물질들을 순차적으로 각각의 유기용매로 추출, column chromatography법으로 분획하였으며 분획분에 대한 암세포독성능은 MTT colorimetric 검정법을 이용하여 IC$_{50}$값을 구하였다. 면역감시기구 측정방범으로는 Balb/c mouae암,수 각 10수씩에 P388암세포주를 접종한군과 접종하지 않은 실험군에 생약추출분획물 8.6mg/0.2ml씩 20일간 매일 경구 투여시키고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 0.2ml씩을 매일 경구 투여시켜 NK cell의 활성 MIF Recombinant IL-2로 유도시킨 NK cell활성능, chemotaxis등을 측정하였다. 생체내 항종양능 시험은 tumor panel system에 따라 mouse leukemia cell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분획성분의 투여용량은 실험동물에서 독성실험결과로 LD$_{50}$량을 구해 항암효과 평가시에 Maximum dose로 하였고 최고용량을 기준으로 일정한 공비를 적응하여 3단계의 투여량을 설정하였다. (중략)

  • PDF

Trihalomethane을 경구투여한 흰쥐조직에서 LDH의 활성도 및 Isozyme양상의 변화 (Alteration of Lactic Dehydrogenase Activity and Isozyme of Rat Tissues Treated with Trihalomethanes)

  • 신동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6권1호
    • /
    • pp.79-88
    • /
    • 1983
  • There has been some evidence concerning the fact that trihalomethanes(THMs), toxic chlorinated compounds, may be present in drinking water. One of the important methodologies to evaluate the toxicity of THMs is to determine enzyme alteration in experimental animal tissues after treatmen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how lactic dehydrogenase(LDH) of rat tissues is affected by administration of chloroform($CHCl_3$) and dichloromonobromomethane($CHCl_2\;Br$). THMs, high dose(1/10 LD50) or low dose(1/50 LD50) of $CHCl_3$ or $CHCl_{2}Br$ were administered orally to experimental rats for 4 or 8 weeks. The treated groups of rats were sacrificed to determine LDH specific activity and isozyme pattern in various organs which were liver, thigh muscle, kidney and brain. The conclusions were obtained as follows: 1. Alteration of LDH activities and isozyme patterns were revealed before morphologic changes in tissues. 2. The LDH specific activitie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liver and brain after administration of high concentrations of $CHCl_3$ and $CHCl_{2}Br$ for 4 weeks respectively. Otherwise, they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liver, muscle and kidney after administration for 8 weeks. 3. The isozyme activities of LDH-4 and LDH-5 were increased in muscle, brain, and especially the liver. 4. It was more distinct for the decrement of LDH H-type isozyme than the increment of M-type isozyme in muscle.

  • PDF

Fenvalerate의 독성에 미치는 Carbaryl의 영향 (Effect of Carbaryl on the Toxicity of Fenvalerate in Rats)

  • 이상기;홍사욱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6권3_4호
    • /
    • pp.105-121
    • /
    • 1991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oxicity of fenvalerate [(RS)-$\alpha$-cyano-3 -phonoxybenzyl-(RS)-2-(4-ch1orophenyl)-3-methylbutyrate] and the effect of carbaryl on the toxicity of fenvalerate. Rats were treated with fenvalerate (50 mg/kg, 100 mg/kg), carbaryl (50 mg/kg, 100 mg/kg) or mixtures of the two compounds (fenvalerate+carbaryl: 50 mg/kg+50 mg/kg, 50 mg/kg+100 mg/kg) by oral administration for 1~3 weeks. Control groups were treated with corn oil.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LD$_{50}$ values of fenvalerate and carbaryl in male rats were 385 mg/kg and 625 mg/kg respectively. When 50 mg/kg and 100 mg/kg of carbaryl were administratrd, LD$_{50}$values of fenvalerate were 265 mg/kg and 225 mg/kg respectively. 2. Biochemical parameters such as ALT, LDH and glucose in serum were much more increased in the groups treated with mixture than the groups treated with either one of fenvalerate or carbaryl. 3. The groups treated with carbaryl and mixture for 3 weeks, the contents of cytochrome P-450 in the live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nal microsomal fractions,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of drug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were observed. 4. The activities of aniline hydroxylase in hepatic microsomal fractions were increased in the groups treated with fenvalerate and mixture and activity was much more increased in the groups treated with mixture. 5. The activities of ATPase in the groups treated with fenvalerate were decreased than that of groups treated with mixture. TBA values and the activity of glucose-6 -phosphatase in the liver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6. In mixture treated groups, the activities of cholinesterase in serum and in the liver were more decreased than those of carbaryl treated groups. The activities of carboxylesterase in serum in the liver were slightly increased in mixture treated groups, but in fenvalerate treated groups, the activities of carboxylesterase were much more increased than those of control groups. 7. As a result of this study, when carbaryl was as the synergist of fenvalerate, carbaryl inhibited the activities of esterases, so the toxicity of fenvalerate was increased.sed.

  • PDF

Cholinesterase 저해 활성을 이용한 유기인계 농약의 효소적 분석 (Enzymatic Analysis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Using Cholinesterase Inhibition Activities)

  • 김정호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2-18
    • /
    • 2001
  • 유기인계 농약에 대한 cholinesterase(ChE)활성저해 관계를 규명 하고자 in vivo와 in vitro 실험을 하였다. 병아리 혈장의 ChE 활성은 $23{\mu}mol$/min/g protein이었다. in vivo에서 terbufos의 투여량을 $LD_{50}$의 0.2배(0.362 mg/kg)와 0.5배(0.905 mg/kg)로 투여하였을 경우, 투여 15분 후에 ChE 활성이 각각 36%와 96%까지 저해되었으며 그 후 회복이 일어난다. in vitro에서 유기인계의 P에 S가 결합된 P=S구조의 phosphorodithioate와 phosphorothioate의 Ki는 $74{\sim}322\;mole^{-1}min^{-1}$로 낮았다. 그러나 P에 S가 산화되어 O가 결합된 P=O구조의 phosphate와 phosphorothiolate의 Ki는 $13898{\sim}79610\;mole^{-1}min^{-1}$로 높았다. 따라서 P=S가 P=O로 산화됨으로서 ChE의 저해도가 커져서 독성이 강해짐을 확인하였다. phosphorodithioate와 phosphorothioate형의 $pI_{50}$값은 $21{\sim}102 mg/L(ppm)$ 이었다. 그러나 phosphate와 phosphorothiolate형의 $pI_{50}$값은 $0.519{\sim}0.071$ mg/L(ppm)이었다. 즉 ChE을 이용한 enzyme-inhibition(EI)법을 유기인계 농약의 정성적 검출에 이용한다면, P=O구조인 phosphate와 phosphorothiolate형은 1ppm이하 즉 ppb단위까지 정성적 검출이 가능하다.

  • PDF

수도용 살충제의 아치사량이 벼멸구 (Nilaparvata lugens Stal)와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Cyrtorhinus livikipennis Reuter)의 생물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blethal Doses of Insecticides on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 l (Homoptera : Delphacidae) and Mirid predator, Cyrtorhinus lividipennis Reuter (Hemiptera : Miridae)

  • 최병렬;;이정운;유재기;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2-57
    • /
    • 1996
  • 수도용 약제들 (BPMC, buprofezin, ethofenprox)의 아치사약량을 처리한 벼멸구와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생물학적 특성 및 약제별 선택독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Buprofezin의 벼멸구에 대한 반수치사약량은 0.5$\mu\textrm{g}$/g으로 가장 독성이 높았으며,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에 대하여서는 가장 안전한 독성을 보였다. 또한 벼멸구와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간의 선택독성은 Buprofezin이 2703.3으로 아주 높은 선택성을 보였다. Buprofezin을 {TEX}$LD_{10}${/TEX}, {TEX}$LD_{40}${/TEX}약량으로 처리한 벼멸구 암컷성충의 산란력 및 수명은 무처리와 비교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BPMC를 {TEX}$LD_{40}${/TEX}으로 처리한 벼멸구는 총산란수가 171.5개로서 다른 약제처리보다 산란력이 낮았다. Buprofezin 및 BPMC의 {TEX}$LD_{40}${/TEX}으로 처리한 벼멸구가 낳은 알의 부화억제율은 각각 17.7, 6.8%로써 아치사약량이 증가함에 따라 난부화 억제율도 높았다. 각 약제별 아치사약량으로 처리한 벼멸구 암컷성층의 산란양상은 산란기간 후기에 산란 peak를 보인 반면, 무처리에서는 산란전기(6~9일)에 peak를 보며 BMPC와 Buprofezin은 벼멸구의 산란을 지연시킴을 추측할 수 있었다. BPMC를 {TEX}$LD_{10}${/TEX}, {TEX}$LD_{40}${/TEX}으로 처리한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수명은 각각 16.1, 15.5일로 무처리의 18.8일보다 짧았으며 Etofenprox의 경우에는 각각 18.9, 18.0일로서 무처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두약제의 아치사약량으로 처리된 노린재의 산란 억제율은 19%이상으로 현저하게 억제효과를 보였으나, Buprofezin은 수명과 산란력에 영향이 적었다.

  • PDF

Padan 입제(4G)의 벼멸구 방제효과 및 살충효과에 미치는 몇가지 요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trol of brown planthoppers with Padan 4G and several factors governing the insect mortality)

  • 장영덕;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21-232
    • /
    • 1984
  • Padan (Cartap) 4G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효과, 방제효과 및 이들에 관여하는 몇가지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내시험, 폿트시험을 수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벼멸구에 대한 Padan의 $LD_{50}$치는 암컷은 $0.2021\;{\mu}g$(24시간)$\~$$0.0032\;{\mu}g$(48시간)/충이었고, 수컷은 $0.215\;{\mu}g$(24시간)$\~$$0.0008\;{\mu}g$ (48시간)충/ 이었다. 2. 벼멸구 암컷에 대한 Padan의 $LD_{50}$치는 온도수준에 따라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즉 $25^{\circ}C$에서는 $0.1076\;{\mu}g$/충, $30^{\circ}C$에서는 $0.0072\;{\mu}g$/충, $35^{\circ}C$에서는 $0.0031\;{\mu}g$/충 이었다. 3. 벼멸구 암컷에 대한 Padan의 $LC_{50}$치(ppm)는 칩엽처리에서는 낮았다. 즉, 침근처리에서 살충효과가 훨씬 높았다. 4. Padan의 처리를 받은 벼멸구의 감로배치량은 $458mm^2$로서 $LD_{30}$ 약량수준에서는 무처리 $935mm^2$에 비하며 낮았으나 $LD_{50}$ 약량수준에서는 무처리와 비등하였다. 5. 벼멸구에 대한 Padan 4G의 살충효과는 성충에 대해서는 낮았고 약충에 대해서는 높았다. 6. 폿트시험에 있어서 벼멸구에 대한 Padan 4G의 살충효과는 Broadcasting와 Top-dressing 처리간에 별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7. 폿트시험에 있어서 Padan 4G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효과는 담수상태에 비하여 배수상태에서 높았다. 8. Padan의 처리를 받은 벼멸구의 차세대의 밀도는 총 513마리로서 무처리구 550마리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으나 Furadan 처리구의 3.0마리에 비하여는 현저히 높았다. 그리고 Diazinon 처리에서 370.7 마리 비해서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9. 수원지방에 있어서 Padan 4 G의 벼멸구 방제효과는 $94.3\~100\%$인데 비하여 Diazinon $47.0\~99.8\%$, Furadan $63.3\~99.8\%$로서 월등히 높았다. 그리고 담수상태에 비하여 배수상태에서 벼멸구 방제효과가 높았는데 그 현상은 Diazinon, Furadan 처리에서 더욱 뚜렷하다. 10. 해남지방에 있어서 Padan 4G의 벼멸구 방제효과는 $62.3\~94.1\%$ 인데 비하여 Diazinon처리구 $3.5\~80.4\%$. Furadan 처리구 $0\~50.6\%$로서 월등히 높았다. 그러나 수원의 방제효과에 비하면 좀 낮은 편이었다. 담수조건과 배수조건에 따른 방제효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현상은 Diazinon과 Furadan 처리에서도 마찬가지였다. 11. 포장시험결과 Padan 4G는 4kg/10a 수준에서 벼멸구 방제효과 발현은 충분하였다. 12. 폿트시험과 포장시험 결과가 일치하지 않았던 이유에 대해서는 금후에 연구검토가 요망된다.

  • PDF

Microorganism lipid droplets and biofuel development

  • Liu, Yingmei;Zhang, Congyan;Shen, Xipeng;Zhang, Xuelin;Cichello, Simon;Guan, Hongbin;Liu, Pingsheng
    • BMB Reports
    • /
    • 제46권12호
    • /
    • pp.575-581
    • /
    • 2013
  • Lipid droplet (LD) is a cellular organelle that stores neutral lipids as a source of energy and carbon. However, recent research has emerged that the organelle is involved in lipid synthesis, transportation, and metabolism, as well as mediating cellular protein storage and degradation. With the exception of multi-cellular organisms, some unicellular microorganisms have been observed to contain LDs. The organelle has been isolated and characterized from numerous organisms. Triacylglycerol (TAG) accumulation in LDs can be in excess of 50% of the dry weight in some microorganisms, and a maximum of 87% in some instances. These microorganisms include eukaryotes such as yeast and green algae as well as prokaryotes such as bacteria. Some organisms obtain carbon from $CO_2$ via photosynthesis, while the majority utilizes carbon from various types of biomass. Therefore, high TAG content generated by utilizing waste or cheap biomass, coupled with an efficient conversion rate, present these organisms as bio-tech 'factories' to produce biodiesel. This review summarizes LD research in these organisms and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further LD biological research and microorganism biodiesel development.

옥수수 수염의 물 추출물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Extract of Maydis Stigma on Blood Pressure)

  • 박철훈;하병국;백운상;한시준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1-26
    • /
    • 1972
  • Zea mays Linne, which belongs to Graminae family, has been ordinarily used as edibles and fodder. Its stigma, Maydis Stigma, has been discarded without any special application with the exception of being used as diuretic in the sphere of Chinese medicine. Moreover, the pharmacological research toward Maydis Stigma as a medicinal herb has not been regretfully undertaken at all. The authors hereby paid attention to this point of view and made experiment to find out whether the water extract of Maydis Stigma might possess some pharmacological effect on the blood pressure of the rats or not. $LD_{50}$ to the mice was determined an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making the use of several agents related to the blood pressure such as atropine, Avil, dichloroisoproterenol and hexamethonium. The blood pressure of the rats and rabbits was recorded with the equipment of polygraph (Grass model 7 DAB) and its accessory, Statham pressure transducer.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1. $LD_{50}$ to the mice weighing 20g is determined 1,125 mg/kg. 2. The blood pressure manifests the gradual decrease by the rate of $-15.50{\pm}3.32,\;-22.14{\pm}8.73$ and $-46.25{\pm}5.17\;mmHg$ in proportion to ZW 25, 50 and 150mg/kg administered to the rats. 3. The blood pressure also manifests the same gradual decrease in proportion to ZW administered to the rabbits. 4. It is of significant difference to manifest the increase of $+5.14{\pm}4.65\;mmHg$ in the rats pretreated with atropine as compared with $-22.14{\pm}8.73\;mmHg$ of control group when administered each ZW 50mg/kg. 5. The administration of ZW 50 mg/kg to the rats pretreated with Avil, dichloroisoproterenol and hexamethonium does not manifest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 PDF

잔디류 돌연변이 유기를 위한 적정 방사선 선량범위의 결정 (Determination of the Optimum Dose Range for a Mutation Induction of Turfgrasses by a Gamma-Ray)

  • 이혜정;이긍주;김동섭;김진백;구자형;강시용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5-34
    • /
    • 2008
  • 본 연구는 잔디종자에 감마선을 조사하였을 때 종자 발아율 및 초기 생육을 관찰하여 잔디 종류에 따른 방사선 감수성을 관찰하고 돌연변이 유기를 위한 적정 방사선 선량을 결정하고자 수행되었다. 난지형 잔디인 zoysiagrass, bermudagrass, seashore paspalum과 한지형 잔디인 Kentucky bluegrass, tall fescue, perennial ryegrass, creeping bentgrass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다양한 방사선 선량으로 24시간 처리한 후 발아율 및 신초, 뿌리 길이와 생체중을 조사한 결과 방사선 선량이 증가할수록 발아율 및 초기 생육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마선에 의해 생육이 50% 억제되는 반치사선량을 조사한 결과 잔디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관찰됨을 알 수 있었다. 잔디 종류별 반치사선량 ($LD_{50}$)은 zoysiagrass, seashore paspalum, bermudagrass, Kentucky bluegrass, perennial ryegrass, tall fescue, creeping bentgrass 각각 300, 150, 600, 150, 200, 100, 200 Gy로 bermudagrass가 가장 높고, tall fescue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감마선 조사가 귀리(Avena sativa)의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ray Irradiation on Radio Sensitivity in Oat (Avena sativa))

  • 류재혁;권순재;임승빈;정상욱;안준우;김진백;최기춘;김원호;강시용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8-135
    • /
    • 2016
  • 귀리 종자에 감마선을 조사한 후 발아율과 생존율 및 초기 생장 특성을 조사하여 돌연변이 유도를 위한 적정 방사선량을 구명하고, DNA 손상 정도를 평가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발아율은 500 Gy 이상의 선량에서 급격히 감소하였고, 단순회귀분석으로 평가한 LD50 선량은 392 Gy였다. 감마선 조사 30일 후 초장, 생체중, 근장, 분얼수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와 100∼200 Gy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며, RD50 선량은 초장과 생체중은 411 Gy로 동일하였고, 근장 403 Gy, 분얼수 394 Gy였다. LD50과 RD50 선량을 바탕으로 결정한 귀리의 적정 조사선량은 300~400 Gy였다. Comet assay로 DNA 손상 정도를 측정한 결과, 파종 7일 후에는 모든 감마선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DNA 손상이 크게 나타났으며, 파종 30일 후에는 300 Gy 이상의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성 있는 DNA 손상이 관찰되어 생육형질과 동일한 경향이었다. 선량과 생장, 코멧분석 결과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머리의 비율을 제외한 다른 조사 항목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M2 세대의 생육특성은 400 Gy 이상에서 생육이 감소하였고, 돌연변이 양상은 주로 고선량에서 단간, 불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