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D

검색결과 1,687건 처리시간 0.033초

편광 또는 무편광 패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의 활성층 및 주입 잠금 동작 특성 모델링 (Modeling of Active Layer and Injection-locking Characteristics in Polarized and Unpolarized Fabry-Perot Laser Diodes)

  • 정영철;이종창;조호성
    • 한국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2-5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패브리 페롯 레이저 다이오드(FP-LD : Fabry-Perot LD)에서 활성층 구조에 따른 주입 잠금 특성을 비교하였다. 편광 및 무편광 다중양자우물 구조와 무편광 벌크 구조의 이득 스펙트럼 및 주입 캐리어 밀도에 따른 최대 이득 특성을 TE, TM 편광에 대하여 계산하였다. 계산된 이득 파라미터를 시영역 대신호 모델에 적용하여 FP-LD의 주입 잠금 특성을 확인한 결과, 무편광 FP-LD가 편광 FP-LD 에 비하여 RIN(Relative Intensity Noise) 특성 면에서 약 3 dB 정도 우수하고, 2.5 Gbps 변조시에 아이 특성이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광통신용 1.55 ${\mu}m$ PBH-DFB-LD 스펙트럼 특성 (Spectrum Characteristics of 1.55 ${\mu}m$ PBH-DFB-LD)

  • 장동훈;이중기;이승원;박경현;김정수;김홍만;황인덕;박형무
    • 한국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20-124
    • /
    • 1994
  • LPE와 간섭노광법을 이용하여 $1.55\mu\textrm{m}$ 파장의 InGaAsP/InP PBH-DFB-LD를 제작하여 스펙트럼 특성을 평가하였다. 제작된 PBH-DFB-LD의 발진 임계전류는 15mA 이하이며, $1.55\mu\textrm{m}$ 파장에서 광출력 7mW 이상까지도 단일 종모우드로 동작하였으며 측모우드 억제율 35dB 이상을 얻었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PBH-DFB-LD 발진파장의 온도 의존 특성은 $0.9\AA/^{\circ}C$ 이며, 금지대역폭 측정에 의한 회절격자의 결합계수(k)는 97cm-1로 평가되었다.

  • PDF

플립 칩 본딩으로 패키징한 레이저 다이오우드 어레이의 열적 특성 변화 분석 (Analysis of thermal characteristic variations in LD arrays packaged by flip-chip solder-bump bonding technique)

  • 서종화;정종민;지윤규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3A권3호
    • /
    • pp.140-151
    • /
    • 1996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variations of thermal characteristics of LD (laser diode) arrays packaged by a flip-chip bonding method. When we simulat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LD arrays with a BEM (boundary element method) program coded in this paper, we find that thermal crosstalks in LD arrays packaged by the flip-chip bonding method increases by 250-340% compared to that in LD arrays packaged by previous methods. In the LD array module packaged by the flip-chip bonding technique without TEC (thermo-electric cooler), the important parameter is the absolute temperature of the active layer increased due cooler), the important parameter is the absolute temperature of th eactiv elayers of LD arrays to thermal crosstalk. And we fin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active layers of LD arrays increases up to 125$^{\circ}C$ whenall four LDs, without a carefully designed heatsink, are turned on, assuming the power consumption of 100mW from each LD. In order to reduce thermal crosstalk we propose a heatsink sturcture which can decrease the temeprature at the active layer by 40%.

  • PDF

청색과 녹색 GaN계 LED 및 LD소자를 이용한 자발 발광 시 효율 감소 현상에 대한 연구

  • 정규재;이재환;한상현;이성남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11-311
    • /
    • 2014
  • III-N계 물질로 이루어진 GaN 기반의 광 반도체는 직접 천이형 넓은 밴드갭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적외선부터 가시광선 및 자외선까지를 포함한 폭 넓은 발광파장 조절이 가능하여 조명 및 디스플레이 관련 차세대 광원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GaN기반의 발광 다이오드는 많은 연구기관들의 오랜 연구에도 불구하고 고출력을 내는데 있어 여전히 많은 문제들이 존재한다. 그 중, 주입전류 증가에 따른 효율감소 현상은 출력을 저해하는 대표적인 요소로 알려져 있는데, 이전의 연구 결과에서 알려진 효율감소 현상의 원인으로 결정결함에 의한 누설전류, Auger 재결합, 이송자 넘침 현상 그리고 p-n접합부의 온도 상승 등의 현상이 알려져 있다 [1-2]. 하지만 여전히 주입 전류 증가에 따른 효율 감소 현상의 원인에 대해 명확한 해답은 없으며 아직도 많은 논의가 이루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aN기반의 청색 및 녹색 LD와 LED소자를 이용하여 주입전류 밀도의 변화에 따른 자발 발광 영역에서의 효율감소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고 한다. 유기금속화학증착법(MOCVD)를 이용하여 c면 사파이어 위에 서로 다른 발광파장을 가지는 InGaN/GaN 다중양자우물구조의 질화물계 LED와 LD 박막을 제작하였으며 성장 구조에 의한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효율 저하 현상을 방지하고자 InGaN/GaN으로 이루어진 다중양자우물층의 조성만 제어하여 청색과 녹색으로 발광하도록 하였다. 청색 및 녹색 LD 웨이퍼들을 이용하여 주입전류 증가에 따른 발광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LD와 LED는 표준 팹 공정에 의해 제작되었다. 전계 발광 측정을 위해 상온에서 직류 전류를 주입하여 GaN계 청색 및 녹색 LED와 LD에 각 5 mA/cm2에서 50 mA/cm2까지 전류밀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LD 및 LED칩 형태에 상관없이 청색 LD와 LED의 파장은 약 465nm에서 약 458nm로 감소하였고 녹색 LD와 LED의 파장은 약 521nm에서 약 511~513 nm까지 단파장화가 발생했다. 이는 동일한 웨이퍼에 동일한 전류 밀도를 주입하였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청색 LED의 효율은 50 mA/cm2에서 약 70%정도로 감소하고 반면 녹색 LED의 경우 동일한 전류밀도 하에 약 52%정도로 감소하였지만, 청색과 녹색 LD의 경우 동일한 전류 밀도의 범위 내에서 더욱 낮은 효율저하 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접합 온도를 측정한 바 청색소자가 녹색 소자에 비하여 낮은 접합 온도를 나타낼 뿐아니라, 청색 및 녹색 LD의 경우 LED 보다 낮은 접합 온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InGaN 활성층의 In 조성이 증가할수록 비발광 센터에 의한 접합온도 상승 뿐 아니라, LD ridge 구조에서 더 많은 열이 방출되어 접합 온도가 감소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는 동일한 웨이퍼에 LED와 LD를 제작하였고, 동일한 전류 주입밀도를 인가하였기 때문에 LD와 LED의 효율 감소 현상의 차이는 이송자 넘침 현상, 결정 결함, 오제 재결합 등이 원인보다 활성층의 접합 온도 상승이 가장 큰 영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심근 손상에 있어서 Lactate Dehydrogenase, Creatine Kimase 및 Troponin T 진단적 유용성 비교 (Diagnostic Efficiency of Lactate Dehydrogenase, Creatine Kinase and Troponin T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이채훈;김경동;김정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48-55
    • /
    • 1995
  • 1995년 1월에서 1995년 3월까지 심근 손상이 의심되는 환자 및 정상대조군에 대한 TnT, 총 LD, 총 CK 및 각 동위효소에 대한 고찰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Tropohin T는 정상인에서 $0.01{\pm}0.02{\mu}g/L$, 급성심근경색환자에서 최고치는 4.7-24.2 ${\mu}g/L$로 나타났으며, 초기검사에서 정상범위에 속한 환자에서 6시간 후 추적조사에서는 모든 증례에서 1.0 ${\mu}g/L$이상으로 나타났다. 총 LD는 1-3일경에 최고치를 보인 후 점차적으로 감소되었으나, LD1/LD2 비율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10일 이상 1.0이상으로 유지되므로, 상대적으로 늦은 시간에 내원한 경우 총 LD와 LD1/LD2 비율이 진단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총 CK 및 CK-MB인 경우 대부분의 환자에서 3-4일 후 정상 범위로 떨어지므로, 조기진단에는 도움이 되나, 장기간의 추적조사에는 유용성이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총 Lactate Dehydrogenase, LD1/LD2 비율, 총 Creatine Kinase, CK-MB와 Troponin T의 상호비교에서 Troponin T가 상대적으로 초기 혹은 장기간 경과된 경우에도 유용한 지표로 사료되었다.

  • PDF

Intracranial Meningioma with Leptomeningeal Dissemination : Retrospective Study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 Park, Ki-Su;Kim, Ki-Hong;Park, Seong-Hyun;Hwang, Jeong-Hyun;Lee, Dong-Hy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7권4호
    • /
    • pp.258-265
    • /
    • 2015
  • Objective :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present 5 cases of intracranial meningioma with leptomeningeal dissemination (LD)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disease. Methods : We present a retrospective case series of 5 females at our institutions (age ranged 21-72 years, mean 54.6 years) diagnosed with LD of an intracranial meningioma after surgery between 1998 and 2013. A database search revealed 45 cases with LD of meningioma in the English literature. Characteristic featur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Results : The incidence rate at our institutions of LD of meningioma was 0.9% (5/534).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rade was distributed as follows: I : 2, II : 2, and III : 1. Time to LD ranged from 2.5 months to 6.9 years; the patient with WHO grade III had the shortest interval to LD. The patient with an intraventricular meningioma (WHO grade II) had the second shortest interval to LD (1.7 years), and simultaneously revealed both LD and extraneuronal metastases. Four of 5 patients showed a disease progression, with the survival ranging from 1 month to 3.8 years after LD. Based on the literature, the initial tumor was an intraventricular meningioma in 9 patients, and their time to LD was shorter on average (mean 1.9 years). Histologically, 26 of 45 (58%) were initially diagnosed with a WHO grade II or III meningioma, and 6 of 19 patients (32%) with WHO grade I revealed malignant transformation.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at intraventricular location and histologically aggressive features seem to increase the chance of LD of meningioma.

Comparison of linkage disequilibrium levels in Iranian indigenous cattle using whole genome SNPs data

  • Karimi, Karim;Koshkoiyeh, Ali Esmailizadeh;Gondro, Cedric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7권12호
    • /
    • pp.47.1-47.10
    • /
    • 2015
  • Background: Knowledge of linkage disequilibrium (LD) levels among different populations can be used to detect genetic diversity and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changes in population sizes. Availability of large numbers of SNP through new sequencing technologies has provided opportunities for extensive researches in quantifying LD patterns in cattle bree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xtent of linkage disequilibrium among Iranian cattle breeds using high density SNP genotyping data. Results: A total of 70 samples, representing seven Iranian indigenous cattle breeds, were genotyped for 777962 SNPs. The average values of LD based on the $r^2$ criterion were computed by grouping all syntenic SNP pairwises for intermarker distances from 0 Kb up to 1 Mb using three distance sets. Average $r^2$ above 0.3 was observed at distances less than 30 Kb for Sistani and Kermani, 20 Kb for Najdi, Taleshi, Kurdi and Sarabi, and 10 Kb for Mazandarani. The LD levels were considerably different among the Iranian cattle breeds and the difference in LD extent was more detectable between the studied breeds at longer distances. Lower level of LD was observed for Mazandarani breed as compared to other breeds indicating larger ancestral population size in this breed. Kermani breed continued to have more slowly LD decay than all of the other breeds after 3 Kb distances. More slowly LD decay was observed in Kurdi and Sarabi breeds at larger distances (>100 Kb) showing that population decline has been more intense in more recent generations for these populations. Conclusions: A wide genetic diversity and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 were well reflected in the LD levels among Iranian cattle breeds. More LD fluctuation was observed in the shorter distances (less than 10 Kb) in different cattle populations. Despite of the sample size effects, High LD levels found in this study we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f inbreeding and population decline in Iranian cattle breeds.

다전극 DFB-LD의 광 쌍안정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cal Bistable Characteristic of a Multi-Section DFB-LD)

  • 김근철;정영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9권8호
    • /
    • pp.1-11
    • /
    • 2002
  • 다전극 DFB-LD는 외부에서 주입되는 광의 파워에 따라서 발진하는 광출력이 쌍안정성을 보임에 따라, 이를 파장 변환에 활용하거나, 광논리 소자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산자 분리 시영역 모델을 이용하여 다전극 DFB-LD에서의 광 쌍안정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다전극 DFB-LD에 불균등하게 전류를 인가하여 쌍안정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하고, 흡수 영역으로 입력광을 입사하였을 때 발생하는 출력광 파워의 쌍안정 현상도 확인하였다. 그리고 수 ns의 스위칭 시간과 수 pj의 스위칭 에너지를 가진 set 또는 reset 광 펄스의 인가에 의하여 flip-flop 특성을 보임에 따라 광 메모리 소자로서의 동작도 확인하였다. 또한 캐리어 생존시간과 이득 곡선 기울기 등의 조절로서 LD 광 출력의 반응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기능성 MA 포장재가 #후지# 사과의 신선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unctional MA Packaging Film on Freshness Extension of #Fuji# Apples)

  • 박형우;김동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0-84
    • /
    • 2000
  • 기능성 필름을 코팅한 골판지 상자에 사과를 저장하면서 품질유지 상태를 조사하고자 대조구로 기존에 유통 중인 골판지 상자와 두께 0.03, 0.05 mm의 LDPE필름(30LD와 50LD)과, 두께 0.03 mm, 0.05 mm의 기능성MA 필름을 골판지 상자에 코팅한(30CE와 50CE) 후 이 상자에 후지사과를 15 kg씩 포장하여 $5^{\circ}C$에 75일간 저장하면서 신선도 변화를 비교 연구하였다. 중량 감소는 저장 75일 후 대조구는 2.7%, LD와 CE 포장구들은 0.2~0.5% 감소했다. 경도는 대조구보다는 필름포장구들에서 변화가 적었고 LD보다는 CE 포장구에서 변화가 더 적게 나타났다. 비타민 C 함량은 초기의 3.67 mg%에서 대조구는 42%, LD 포장구들은 31~29%, CE 포장구들은 24~22%가 감소하였다. 산도 및 가용성 고형분의 경우 대조구가 필름포장구들에서 변화가 심했으며, 필름포장구들 중에서는 LD 포장구보다 CE 포장구에서 변화가 적게 나타났으며, 부패도 대조구보다는 LD와 CE 포장구에서 적게 나타났다.

  • PDF

Rate equation을 이용한 광송신용 LD의 등가회로 분석 (Analysis of Laser Diode Equivalent Circuit using Rate Equation)

  • 김도균;윤영설;이준재;최영완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6-49
    • /
    • 2004
  • 레이저 다이오드 (LD)의 광 직접 변조시 광자와 전자의 동역학에 의하여 입출력 관계가 결정된다. 이는 LD의 직접 변조 시 대역폭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높은 대역폭을 가지는 광송신기 설계를 위하여 LD의 등가회로 분석은 필수적이다. LD의 등가회로는 E/O response를 이용하여 소신호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E/O response는 rate equation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LD의 등가회로는 직렬 저항값, 기생 커패시턴스, 외부 회로와의 연결을 위한 와이어에 기인하는 인덕턴스 성분 등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rate equation을 사용하여 계산된 결과를 이용하여, LD의 등가회로를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