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C$_50$

검색결과 892건 처리시간 0.03초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Pimobendan-Pentoxifylline Liquid Mixture After Oral Administration in Dogs

  • Ro, Woong-bin;Song, Doo-won;Kim, Ki-hun;Jeong, Sang-hee;Kang, Min-hee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59-165
    • /
    • 2019
  • Pimobendan is an inodilator used to treat canine heart failure, and pentoxifylline is reported to be beneficial for microcirculation and heart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profiles of a novel pimobendan-pentoxifylline liquid mixture after oral administration to dogs. Eight healthy Beagle dog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dogs were divided into the control group (orally administered water; n = 4) and experimental group (orally administered pimobendan-pentoxifylline liquid mixture [pimobendan 0.25 mg/kg, pentoxifylline 15 mg/kg]; n = 4). Plasma samples were obtained and echocardiographic indices were measured for 24 hours after administration. The concentrations of pimobendan and pentoxifylline were quantified by using a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LC-MS). The elimination half-life ($T_{1/2}$) was $32.96{\pm}9.80mins$ for pimobendan and $29.49{\pm}6.67mins$ for pentoxifylline. The time to reach maximum concentration ($T_{max}$) were $52.50{\pm}31.22mins$ for pimobendan and $41.25{\pm}18.87mins$ for pentoxifylline. The maximum blood concentration ($C_{max}$) was $96.92{\pm}75.64ng/mL$ for pimobendan and $7074.07{\pm}3261.1ng/mL$ for pentoxifylline. Of the echocardiographic indices, fractional shortening (FS) and left ventricular internal diameter at end systole (LVIDs) were significantly altered at 1-3 hour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pimobendan-pentoxifylline liquid mixture. The pimobendan-pentoxifylline liquid mixture was well tolerated by the dogs, with no adverse effects observed during the study.

Anti-Aging Activity of Lavandula angustifolia Extract Fermented with Pediococcus pentosaceus DK1 Isolated from Diospyros kaki Fruit in UVB-Irradiated Human Skin Fibroblasts and Analysis of Principal Components

  • Ha, Ji Hoon;Kim, A Rang;Lee, Keon-Soo;Xuan, Song Hua;Kang, Hee Cheol;Lee, Dong Hwan;Cha, Mi Yeon;Kim, Hye Jin;An, Mi;Park, Soo Na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21-29
    • /
    • 2019
  • The effects of Lavandula angustifolia extract fermented with Pediococcus pentosaceus DK1 on UVB-mediated MMP-1 expression and collagen decrease in human skin fibroblasts were determined, and the conversion of its components was also analyzed. Fermentation was performed at varying L. angustifolia extract and MRS medium concentrations, and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s were selected. L. angustifolia extracts showed decreased cytotoxicity after fermentation in the fibroblasts. UVB-irradiated fibroblasts treated with fermented L. angustifolia extract showed MMP-1 expression 8.2-14.0% lower than that in UVB-irradiated fibroblasts treated with non-fermented extract. This was observed even at fermented extract concentrations lower than those of non-fermented extracts. Fibroblasts treated with fermented L. angustifolia extract showed 20% less reduction in collagen production upon UVB irradiation than those treated with non-fermented extracts. UVB-irradiated fibroblasts treated with fermented L. angustifolia extracts showed 50% higher inhibition of ROS generation than those treated with non-fermented extract. Luteolin and apigenin glycosides of L. angustifolia were converted during fermentation, and identified using RP-HPLC and LC/ESI-MS. Therefore, the effects of L. angustifolia extract on MMP-1 expression and collagen decrease in UVB-irradiated human skin fibroblasts were increased through fermentation by P. pentosaceus.

Effect of the Single Oral Combination Treatment of Tamoxifen with Gamisoyo-san on the Pharmacokinetics Profiles of Tamoxifen

  • Kim, Joo-Ik;Ku, Sae-Kwang;Lee, Young-Joo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01-208
    • /
    • 2020
  • The effects of Gamisoyo-san (GMSYS) co-administration within 5 min on the pharmacokinetics (PK) of tamoxifen were observed. After 50 mg/kg of tamoxifen oral treatment, GMSYS 100 mg/kg was orally administered within 5 min to 7-wk old male SPF.VAF Outbred Crl:CD [Sprague-Dawley (SD)] rats. The plasma were collected at 30 min before administration, 30 min, 1, 2, 3, 4, 6, 8 and 24 hrs after end of GMSYS treatment, and plasma concentrations of tamoxifen were analyzed using LC-MS/MS methods. Tmax, Cmax, AUC, t1/2 and MRTinf of tamoxifen were analysis as compared with tamoxifen single administered rats. Although co-administration with GMSYS did not critically influenced on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oral tamoxifen, they induced increased trends of plasma tamoxifen concentrations, especially significant (p<0.05) increases of plasma tamoxifen concentrations were demonstrated at 0.5 hr after end of co-administration with GMSYS as compared with tamoxifen single formula treated rats, at dosage levels of tamoxifen 10 mg/kg and GMSYS 100 mg/kg within 5 min. It is considered that pharmacokinetic studies should be tested like the effects of GMSYS on the pharmacokinetics of tamoxifen, when they were co-administered with prolonger intervals than Tmax of tamoxifen oral administration (about 2.5 hr-intervals), to achieve the optimal dosing regimen of GMSYS and tamoxifen co-administration.

Protective effects of Panax ginseng berry extract on blue light-induced retinal damage in ARPE-19 cells and mouse retina

  • Hye Mi Cho;Sang Jun Lee;Se-Young Chou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1호
    • /
    • pp.65-73
    • /
    • 2023
  • Background: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is a significant visual disease that induces impaired vision and irreversible blindness in the elderly. However, the effects of ginseng berry extract (GBE) on the retina have not been studi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GBE on blue light (BL)-induced retinal damage and elucidate its underlying mechanisms in human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ARPE-19 cells) and Balb/c retina. Methods: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underlying mechanisms of GBE on retinal damage in vitro, we performed cell viability assay, pre-and post-treatment of sampl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ssay, quantitative real-time PCR (qRT-PCR), and western immunoblotting using A2E-laden ARPE-19 cells with BL exposure. In addition, Balb/c mice were irradiated with BL to induce retinal degeneration and orally administrated with GBE (50, 100, 200 mg/kg). Using the harvested retina, we performed histological analysis (thickness of retinal layers), qRT-PCR, and western immunoblotting to elucidate the effects and mechanisms of GBE against retinal damage in vivo. Results: GBE significantly inhibited BL-induced cell damage in ARPE-19 cells by activating the SIRT1/PGC-1α pathway, regulating NF-kB translocation, caspase 3 activation, PARP cleavage, expressions of apoptosis-related factors (BAX/BCL-2, LC3-II, and p62), and ROS production. Furthermore, GBE prevented BL-induced retinal degeneration by restoring the thickness of retinal layers and suppressed inflammation and apoptosis via regulation of NF-kB and SIRT1/PGC-1α pathway, cleavage of caspase 3 and PARP, and expressions of apoptosis-related factors in vivo. Conclusions: GBE could be a potential agent to prevent dry AMD and progression to wet AMD.

뷰타클로르의 송사리에 대한 독성시험 (Toxicity Test of butachlor to Medaka)

  • 박연기;김병석;신진섭;배철한;박경훈;이제봉;홍순성;조경원;이규승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54-260
    • /
    • 2007
  • 우리나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제초제인 뷰타클로르의 어류에 대한 독성영향을 알아보고자 송사리(Oryzias latipes, Medaka)의 생육단계별 급성 독성시험(acute toxicity test)과 송사리 수정란을 이용하여 초기생활사 독성시험(early-life stage toxicity test)을 수행하였다. 급성 독성시험결과 부화 후 1일, 1주, 2주, 2개월 그리고 5개월 된 송사리의 96시간 반수치 농도($LC_{50}$)는 각각 0.68, 0.52, 0.38, 1.09 그리고 $0.45\;mg\;L^{-1}$으로 부화 후 2주된 치어가 가장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초기생활사 독성시험결과, 부화기간은 $7{\sim}8$일, 부화율은 87%이상으로 모든 시험구에서 통계적으로 대조구와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나 부화후 생존율은 0.05와 $0.1\;mg\;L^{-1}$ 농도에서 90% 유의수준(p<0.1)에서 통계적으로 대조구와 유의성이 있었다. 이상어 발생율은 0.025, 0.05 그리고 $0.1\;mg\;L^{-1}$ 농도에서 각각 2.1, 2.3 그리고 10%이었고 척추기형과 안면이상 및 난황 흡수가 지연되는 비정상적인 형태를 보였다. 시험 종료 후 생존한 송사리의 전장 및 무게 감소는 농도 상관성을 보였으며, 특히 송사리의 무게는 $0.05\;mg\;L^{-1}$ 농도에서는 90% 유의수준(p<0.1)에서 통계적으로 대조구와 유의성이 있었고, $0.1\;mg\;L^{-1}$ 농도에서는 95% 유의수준(p<.0.05)에서 통계적으로 대조구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여 송사리 성장 인자 중 전장보다는 무게가 민감한 독성지표로 판단되었다. 이런 결과를 근거로 하여 최저영향농도(LDEC), 무영향농도(NOEC) 그리고 최대허용농도(MATC)는 각각 0.025, 0.013, $0.018\;mg\;L^{-1}$로 산출하였다.

라이시미터를 이용한 시설하우스 내에 살포한 농약의 휘산 양상 (Volatilization of Sprayed Pesticides in Greenhouse using a Lysimeter)

  • 김단비;김택겸;권혜영;홍수명;박병준;임성진;이효섭;문병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05-311
    • /
    • 2016
  • 본 연구는 시설하우스에 살포된 농약의 공기 중 시간에 따른 분포 양상을 파악하여 농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위해 수행하였다. 농작물에 많이 사용하는 물리화학적 성질이 다른 농약 10가지 성분을 선정하였으며 라이시미터 밭토양에 살포 후 공기 중으로 휘산된 양상을 720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PUF 흡착제와 low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하여 공기 중 농약을 포집한 후 LC-MS/MS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농약을 분석하였다. 720시간 동안 대부분의 농약이 24-48시간 사이에 최대 잔류를 보였다. 증기압이 1 mPa 이상의 농약은 살포 후 120-192시간까지도 공기 중 높은 농도가 지속되는 양상을 보인 반면 증기압이 1 mPa 이하인 경우에는 살포 후 첫 포집 시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이고 그 후로 계속해서 낮아지는 농도를 보였다. 공기 중의 최대 농도는 ethoprophos, diazinon, pendimethalin, chlorpyrifos, alachlor, metolachlor, carbaryl, napropamide, tebuconazole, imidacloprid 순으로 증기압의 높낮음 순서와 거의 일치하여 증기압과 휘산량의 상관관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 유통 농산물의 농약 잔류실태 모니터링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 김희연;박형준;이진하;곽인신;문형실;송미혜;장영미;이명숙;박종석;이광호;윤상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37-245
    • /
    • 2007
  •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북지역에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중 다소비 농산물 및 잔류농약 부적합 이력이 높은 참나물, 취나물, 쪽파 등 23종(488건)의 농산물을 대상으로, GC/MS, GC-NPD 및 LC/MS/MS를 사용하여 동시 다성분 검사대상 농약 231종 및 methamidophos, acephate, pymetrozine 등 234종의 농약에 대해서 모니터링 검사를 실시하였다. 488건의 농산물 중 92건(18.9%)의 시료에서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그중 9건(1.9%)은 국내 농약잔류 허용기준을 초과하였으며, 고춧잎과 쪽파는 50% 이상의 검출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쪽파에서는 30건의 시료 중 16건에서 농약이 검출되어 53.3%의 검출율을 나타내었으며 이 중 4건에서 농약잔류허용기준 이상의 농약이 검출되었다. 그 외에 숙갓, 취나물, 신선초, 깻잎, 적겨자 등에서 20% 이상의 농약 검출율을 나타내었으나 검출량은 대부분 농약 잔류허용기준 이하였다. 총 234종의 농약 중 42종의 농약이 1회 이상 검출되었으며, 그 중 21종의 농약은 2회 이상 검출되었다.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농약은 iprodione, fludioxonil, cypermethrin, ethoprophos, flutolanil, lufenuron 등 6종이었으며, 초과 대상농산물은 쪽파 4건 및 취나물, 신선초, 고춧잎, 쑥갓, 팥 각 1건 등 9건이었다. 전체 검사대상 시료의 81.1%인 394건에서는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고, 농약이 검출된 92건 중 83건이 농약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검출되는 등 98.1%가 적합한 수준이었다.

담배거세미나방과 파밤나방에 활성이 있는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CAB109 균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CAB109 isolate with bioactivities to Spodoptera litura and Spodoptera exigua (Lepidoptera: Noctuidae))

  • 김태환;김다아;김기수;서미자;윤영남;유용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09-517
    • /
    • 2009
  • 국내에서 분리된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CAB109균주가 난방제 해충으로 알려진 담배거세미나방과 파밤나방에 동시에 높은 독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B.t. CAB109 균주의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혈청형이 aizawai이면서 미생물농약으로 시판중인 TB-WP제품 및 SC제품과의 살충활성을 비교한 결과, B.t. CAB109균주, TB-WP제품, SC제품은 담배거세미나방 2령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C_{50}$)가 각각 $1.3{\times}10^5cfu/ml$, $2.3{\times}10^6cfu/ml$, $5.2{\times}10^5cfu/ml$으로 나타났고 파밤나방 2령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는 $1.8{\times}10^4cfu/ml$, $1.3{\times}10^6cfu/ml$, $1.5{\times}10^6cfu/ml$으로 나타나 두 종 해충 모두에서 B.t. CAB109 균주가 독성이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B.t. CAB109균주가 이미 알려져 있는 aizawai와 비교해 차이가 나는 새로운 유전자를 소유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Plasmid DNA를 추출하여 전기영동 한 결과 B.t. subsp. aizawai HD-133과 다른 패턴을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Cry1-Cry5의 primer를 사용하여 PCR을 진행한 결과 B.t. subsp. aizawai CAB109균주는 Cry1Aa, 1Ab, 1C, 1D를 B.t. subsp. aizawai HD-133은 Cry1Aa, 1Ab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Carbosulfan과 Phenthoate의 송사리(Oryzias latipes, Medaka)에 대한 독성시험 (Toxicity Test of Carbosulfan and Phenthoate on Killifish)

  • 배철한;이정석;조경원;박현주;조동훈;신관섭;정창국;박연기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09-318
    • /
    • 2004
  • 우리나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벼재배용 살충제인 carbosulfan과 phenthoate의 담수어에 미치는 급 만성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송사리(Oryzias latipes, Medaka)에 대한 급성독성시험(Acute Toxicity Test)과 생육초기 독성시험(Early-life Stage Toxicity Test)을 실시하였다. 급성독성시험 결과 carbosulfan과 phenthoate의 송사리에 대한 96시간 $LC_{50}$은 0.102, 0.167 mg/L로 비슷한 감수성을 보였다. 생육초기 독성시험 결과 carbosulfan의 경우 부화율은 80%이상, 부화기간은 $9\sim10$일로 나타나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다. 처리농도 0.042 mg/L이상에서는 부화후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p<0.05) 차이를 보였으며, 척추가 휘어지는 형태적으로 비정상적인 결과가 관찰되었다. 시험 종료후 생존한 송사리의 전장 및 체중 변화는 농도 상관성을 보였으며, 특히 0.017 mg/L이상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한(p<0.05)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런 결과를 근거로 한 무영향농도(NOEC), 최저영향농도(LOEC), 그리고 최대허용농도(MATC)는 각각 0.0067, 0.017, 0.011 mg/L으로 산출하였다. phenthoate 처리구의 부화율과 부화기간은 처리 농도간 유의성이 없었으나, 부화후 생존율은 처리농도 0.076 mg/L 이상에서 유의한(p<0.05) 차이를 보였다. 또한 처리농도 0.076 mg/L 이상에서는 척추기형과 유영이상을 보이는 이상어가 나타났다. 그러나 시험 종료후 송사리 전장 및 체중의 변화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농도 상관성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이런 결과를 종합하여 NOEC, LOEC, 그리고 MATC는 각각 0.011, 0.029, 0.018 mg/L으로 결정되었다.

HPLC-UVD/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Cyromazine의 잔류분석법 (Determination of cyromazine residues in agricultural commodities using HPLC-UVD/MS)

  • 송이슬;김영학;이수진;황영선;권찬혁;도정아;오재호;임무혁;장우석;이영득;정명근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2-208
    • /
    • 2012
  • HPLC-UVD/MS를 이용하여 triazine계 살충제인 cyromazine의 농산물 중 잔류분석법을 확립하였다. 현미, 참외, 수박, 느타리버섯 및 배추 등 농산물 시료로부터 cyromazine을 90% methanol로 추출한 후 산성화에 의하여 이온화시킨 후 dichloromethane으로 세척함으로써 대부분의 비극성 간섭물질을 분배과정에서 제거할 수 있었다. 추출액은 최종적으로 양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방해물질을 최소화하였다. 극성 화합물에 대하여 긴 머무름 특성을 나타내는 $C_{18}$ 칼럼을 선정, 이용함으로써 간섭물질과의 최적 분리조건을 확립하였다. 농산물 중 cyromazine의 정량한계(LOQ)는 0.04 mg/kg이었으며 정량한계, 정량한계의 10배 및 50배 수준으로 처리한 농산물 시료로부터의 회수율은 80.2~103.3% 범위였다. 농산물 시료의 종류 및 처리수준에 관계없이 분석오차는 6% 미만이었다. 또한 LC/MS SIM을 이용한 잔류분의 재확인법을 추가로 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triazine계 살충제인 cyromazine의 잔류분석법은 검출한계, 회수율 및 분석오차 면에서 국제적 잔류분석기준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분석과정의 편이성을 고려할 때 일상적 잔류량 정량 및 검사를 위한 공정분석법으로 충분히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