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BS 기반

검색결과 548건 처리시간 0.032초

LBS 기술 표준화 동향

  • 한기준
    • 전기의세계
    • /
    • 제53권5호
    • /
    • pp.41-47
    • /
    • 2004
  • 최근 들어 무선 인터넷 시장이 형성되면서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그리고, 휴대폰, PDA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된 가운데 GPS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들도 점차적으로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이동성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기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GIS 환경에서의 위치 정보 활용은 크나큰 관심을 불러들이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의 기술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되었다.(중략)

  • PDF

XML Web service를 이용한 OpenLS Core Services 구현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OpenLS Core Services using XML Web Service)

  • 허태욱;박종현;나일한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 /
    • pp.79-84
    • /
    • 2005
  • LBS 플랫폼은 이동통신망과 LBS 사이에서 필요한 기반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으로서, 망과의 접속 및 위치 정보 서비스, 사용자 정보 서비스, 망 관리 등의 기술을 제공하는 LBS 포털 서버 기술, 다양한 LBS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응용 서버 기술, 실시간 대용량 위치정보를 처리하는 위치데이터 서버 기술로 구분된다. 본 연구는 다양한 LBS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응용서버기술로써 OpenLS Core Service 사양의 'Presentation Service', 'Location Utility Service', 'Directory Service'를 W3C 웹 서비스 표준을 준수하도록 구현하였다.

  • PDF

위치기반서비스(LBS)의 규제와 시장 활성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gulations and Market of Location Based Service(LBS))

  • 남선미;박민수;김경신;김승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41-152
    • /
    • 2014
  • 스마트폰의 확산과 위치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확대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위치기반서비스(LBS) 시장이 활성화 되고있다. 하지만, 개인 위치정보 침해사례에 대한 논란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라 규제 정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위치정보 규제는 이용자의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으나, 다양한 서비스의 개발과 산업 활성화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양면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위치정보 관련 독립적인 '위치정보보호법'을 제정하여 높은 위치 정보 규제를 적용하고 있어 LBS 산업이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과 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국내외 LBS 시장 성장과 관련 규제를 비교 분석하여 LBS의 규제가 산업 활성화와 음(-)의 관계 즉, 규제가 강화 될수록 시장 진입 및 사업 활동에 제약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프라이버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규제를 완화함으로써 LBS 산업을 활성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치기반 응용 서비스(항법, 디렉토리, 위치추적)를 지원하는 LBS 표준 참조 시스템 (Reference System for LBS supported Location Based Value added Service)

  • 이낙훈;박주훈;안병익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4년도 국내 LBS 기술개발 및 표준화 동향세미나
    • /
    • pp.33-38
    • /
    • 2004
  • 최근 들어 무선인터넷 및 모바일 컴퓨팅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향후 그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가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기술이다. 위치기반 서비스는 이동 중인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여러 가지 부가 서비스와 결합시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와 무선 네트워크, 위치 측위 기술, 각종 응용 어플리케이션 등이 총체적으로 합쳐져 제공되는 서비스로 이동성, 개인성, 적시성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GIS의 차세대 핵심기술로 발전이 예상되는 분야이다[2][3]. 현재 미국, 유럽 등을 중심으로 3GPP/3GPP2, OMA, OGC, ISO, MAGIC 등의 국제 표준화 기구 및 단체에서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표준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그 중요성을 인지하고 LBS 표준화에 정보, 업체, 학계 및 연구기관의 LBS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LBS 표준화 포럼을 중심으로 국내 LBS 기술 표준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LBS 표준들을 기반으로 위치기반 서비스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이 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표준 참조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하고자 하는 표준 참조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확인할 수 있는 위치추적 서비스와 주변 시설물 검색을 위한 디렉토리 서비스,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항법 서비스를 위한 기능 인터페이스 표준을 제공한다.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표준 창조 시스템은 위치기반 응용 서비스의 기능 규격과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위치기반 서비스 및 시스템 개발의 중복을 방지하고 상호 호환성을 확보 할 수 있다.문제에 적용이 가능한 창조 모델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94,\;29.4{\pm}30.3,\;45.1{\pm}44$로 Mel 10군과 Mel 30군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p<0.05) 이들 두 군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랫트에서 복강수술 후 melatonin 10mg/kg투여가 복강 내 유착 방지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1}{\cdot}yr^{-1}$로서 두 생태계에 축적되었다.여한 3,5,7군에서 PUFA 함량이 증가한 반면, SFA 함량은 감소하여 P/S 비율, n-3P/n-6P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이는 간장의 인지질,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총 지질의 지방산조성에서도 같은 경향을 볼 수 있었다.X>$(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야생 돌복숭아 과육 중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6.74%, 단불포화지방산 17.5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65.73%의 함유 비율을 보였는데, 이 중 다불포화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지질 구성 총 지방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함유 비율을 나타내었다.했다. 하강하는 약 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

  • PDF

위치기반서비스에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프라이버시-신뢰-행동의도 모형을 중심으로 (Effect of Purchase Intention of Location-Based Services: Focused on Privacy-Trust-Behavioral Intention Model)

  • 장성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75-18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위치기반서비스에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프라이버시-신뢰-행동의도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위치기반서비스, 프라이버시-신뢰-행동의도 모형, 프라이버시 염려의 측정모형(CFIP)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기간은 2014년 1월 21부터 3월 20일까지이며, 위치기반서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는 231개가 회수되었고,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21개를 제외한 210개의 설문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위치인지는 프라이버시 염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라이버시 염려는 신뢰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신뢰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위치기반서비스에서 프라이버시 염려 및 구매의도에 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LBS 플랫폼에서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하이브리드 저장 관리자 설계 (Design of Hybrid Storage Manager for Realtime Services in LBS Platform)

  • 박준용;김호석;김명근;배해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153-156
    • /
    • 2004
  •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주 요구사항은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 검색과 질의에 대한 빠른 응답시간이다. 그러나 기존의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에서 저장장치로 사용하는 디스크 기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빈번한 디스크 I/O로 인해 발생하는 질의응답에 대한 시간지연으로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또한 주기억장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한번에 주기억장치에 적재할 수 있는 양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하여 위치 정보 데이터의 다단계 저장 관리를 통해 LBS 플랫폼에서 실시간 서비스를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저장 관리자를 제안한다. 하이브리드 저장 관리 시스템은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대용량의 이동체 데이터의 효과적인 저장 및 관리를 위해 주기억장치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과 디스크 기반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을 통합한 구조를 가진다. LBS 플랫폼에서 빠른 응답을 필요로 하고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는 메모리 기반의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를 하고, 사용 빈도가 적은 데이터는 디스크 기반의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는 하이브리드 저장 관리자를 제시한다.

  • PDF

위치기반 지식정보를 활용한 맛집 추천 앱의 효과: 프라이버시 계산을 중심으로 (The Effectiveness of Apps Recommending Best Restaurant through Location-based Knowledge Information: Privacy Calculus Perspective)

  • 장택붕;임현아;최재원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9-106
    • /
    • 2017
  •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기의 확산으로 세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 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LBS)가 새로운 서비스로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LBS 앱 관련 제도와 법규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LBS 앱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개인 사생활 침해 가능성 및 개인 정보유출과 같은 프라이버시 염려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 사용자가 사용하는 맛집 앱을 대상으로 LBS 앱 사용자의 인지된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맛집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개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얻게 되는 인지된 가치와 그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비자가 정보의 유용성을 인지하며 정보에 대한 통제능력이 높을수록 정보에 대한 인지된 가치가 증가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위치기반서비스 앱 활용능력이 프라이버시 이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정보에 지각된 취약성이 프라이버시 위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와 달리 위치기반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가치는 프라이버시 계산에 구성되는 프라이버시 이익과 위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LBS 기반의 수도정보서비스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LBS-based Water Servi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 황의호;이근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4D호
    • /
    • pp.535-544
    • /
    • 2009
  • 1995년 이후 국가 GIS사업 및 지하시설물 관련 GIS DB가 구축되었으나,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부족으로 인해 활용성 극대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또한, 수도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지원하기 위하여 수도GIS 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영 중에 있으나, 시스템 운용에 있어 현장업무 지원 및 활용체계가 미진하여 관로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신기술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 구축된 수도GIS DB의 활성화 및 정보제공 체계의 수도관리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기반의 수도 관리 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 구축된 수도GIS 추진현황 및 GIS DB를 분석하여 최신 IT기술 적용방안을 검토하고, 최신 기술 동향 분석을 통하여 수도GIS의 활용성 극대화를 위한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기술을 선정하여 수도관리용 모바일 단말기 개발 및 LBS 시스템을 설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관로의 효율적 관리 및 운영을 위하여 신기술 도입을 통한 업무지원의 체계성 확보가 가능하며, 현장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것으로 판단된다.

위치 기반 광고를 위한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플랫폼의 설계 (Design of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Platform for Location-Based Advertising)

  • 유재준;최혜옥;이종훈;박덕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531-534
    • /
    • 2002
  • 위치 기반 광고란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PC 등 위치 획득이 가능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를 하는 것으로 위치 추적이 가능한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부가정보를 서비스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LBS, Location Based Services)의 한 종류이다. 최근의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과 휴대폰, PDA 등 모바일 단말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하여 LBS 는 유무선 인터넷의 응용 및 그를 이용한 부가 가치 창출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며, 특히 위치 기반 광고는 LBS 시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광고는 광고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광고 ASP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플랫폼에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LBS 플랫폼을 참조하여 위치 및 시간에 따라 광고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 목록을 얻고,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SMS, Short Message Services)를 사용하여 위치 기반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 ASP 플랫폼을 설계한다. 이를 위해 광고 ASP 플랫폼이 제공하여야 하는 기능과 위치 기반 광고의 처리 흐름을 분석한다.

  • PDF

모바일 위치기반 서비스 표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mobile Location-Based Services)

  • 한은영;최혜옥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3년도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6-260
    • /
    • 2003
  •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d)는 이동통신기술, 인터넷기술, 휴대 단말 기술, 공간정보기술 및 다양한 컨텐츠 기술과의 통합 기술로 향후 폭발적인 수요가 예상되는 무선인터넷상의 핵심 서비스이다. LBS표준화는 위치서비스 활성화를 높여 시장성을 갖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정확한 기술 분석 및 예측을 통해 표준화를 수행하여, 산업체의 동종 기술 중복 투자를 배제하고 산업계에 유망 기술개발을 유도하여 집중함으로써 국가기술경쟁력, 산업경쟁력, 세계 시장경쟁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진행 중인 LBS 표준화 동향을 살펴보고, 현재의 LBS 기술 현황 및 차후 진행될 위치기반 서비스 표준화의 방향과 앞으로의 기술개발 추진 사항에 대해서 논의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