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AT TM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23초

Landsat TM/+ETM 위성영상을 이용한 몽골 Tuv지역의 토지피복변화 및 광산지역확대 추이분석 (Temporal Analysis on the Transition of Land Cover Change and Growth of Mining Area Using Landsat TM/+ETM Satellite Imagery in Tuv, Mongolia)

  • 에르뎅솜베술드;조미수;조기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51-457
    • /
    • 2014
  • 최근 몽골 수도 울란바타르를 둘러싸고 있는 Tuv지역의 토지 황폐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광산업의 발달과 인구 밀집으로 인하여 기존의 목초지가 파괴됨으로써 더욱 더 가속화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uv지역의 도심지역과 광산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토지피복의 변화 탐지와 토지황폐화에 대한 추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2001년부터 2009년까지의 Landsat TM과 +ETM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정규식생지수와 무감독분류(Unsupervised Classification)의 K-Mean 알고리즘과 감독분류(Supervised Classification)의 MLC 등의 디지털 영상 분류기법을 적용하여 몽골 Tuv지역의 다중시기별 토지피복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산지역의 확장과 더불어 기후변화 및 인구밀집 등으로 인하여 토지가 황폐화되어 사막지역으로 변화되어가는 추이를 알 수 있었다.

OBSERVATION OF MICROPHYTOBENTHIC BIOMASS IN HAMPYEONG BAY USING LANDSAT TM IMAGERY

  • Choi, Jae-Won;Won, Joon-Sun;Lee, Yoon-Kyung;Kwon, Bong-Oh;Koh, Chul-Hwa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441-444
    • /
    • 2005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phytobenthic biomass and normalized vegetation index obtained from Landsat TM images. Monitoring a seasonal change of microphytobenthic biomass in the sand bar is specifically focused. Since the study area, Hampyeong Bay, was difficult to approach, we failed to obtain ground truths simultaneously on satellite image acquisition. Instead, chlorophyll-a concentration in surface top layer was measured on different dates for microphytobenthic biomass. Although data were acquired on different dates, a correlation between the field and satellite images was calculated for investigating general trends of seasonal change. NDVI and tasseled cap transformed images were also used to review the variation of microphytobenthic biomass by using Landsat TM and ETM+ images. Atmosphere effects were corrected by applying COST model. Seaweeds were also flouring in the same season of microphytobentic blooming. Songseok-ri area was minimally affected by seaweeds from February to May, and selected as a test site. NDVI value was classified into high-, moderate-, and low-grade. It was well developed over fme-grained sediments and rapidly reduced from May to November over sand bar. In this bay, correlation between grain size and microphytobenthic biomass was clearly seen. From the classified NDVI and tasseled cap transformed data, we finally constructed spatial distribution and seasonal variation maps of microphytobenthic biomass.

  • PDF

Landsat TM 자료와 표충퇴적물 분석을 통한 천수만 간석지 퇴적물 분류 (Classification of Tidal Flat Deposits in the Cheonsu-bay using Landsat TM Data and Surface Sediment Analysis)

  • 장동호;지광훈;이현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11권4호
    • /
    • pp.247-258
    • /
    • 2002
  • This study aimed at verifying the grain-sized distribution of surface deposits in a tidal flat using multi-spectral Landsat TM. In this study, we employed the grain-sized analysis, PCA and unsupervised classification techniques for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deposits. As a result in this study, the un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 using PCA image was found to be most useful in classifying tidal flat deposits using satellite data. This method is considerably effective in analyzing not only the aspects of distribution in terms of accumulated deposits and erosion, but also the changes in seaside topography and shoreline. The grain-sized distribut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mud flat inside the Cheonsu-bay tidal flat is distributed, the mixed flat located in the middle, and the sand flat distributed near the sea. The sand flat is dominant around the southern part of Seomot isle and its beach. On the other hand, the mud and mixed flat is dominant on the western part. Likewise, the western coast of Seomot isle and its beach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waves facing the offshore. However, the eastern side of the bay could be a site for the evolution of tidal flat made of fine materials where it is less affected by ocean waves. These results show that multi-spectral satellite data are effective for the classification of distribution materials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continuous monitoring. In particular, the research on environmental deposits can provide important decision-supporting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on seaside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progress of deposits and environmental changes.

Landsat TM 위성영상과 비율영상을 적용한 지상부 탄소 저장량 추정 - $k$NN 알고리즘 및 회귀 모델을 중점적으로 (Estimation of Aboveground Biomass Carbon Stock Using Landsat TM and Ratio Images - $k$NN algorithm and Regression Model Priority)

  • 유수홍;허준;정재훈;한수희;김경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9-48
    • /
    • 2011
  • 대기 중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각종 자연 재해가 증가하면서, 온실가스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이산화탄소의 자연 포집지인 산림이 저장하고 있는 탄소량을 추정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국내 지역의 환경에 적합한 탄소저장량 추정 기법 및 자료 선정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황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탄소저장량 추정에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회귀 모델과 $k$NN($k$-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충청북도 단양군을 대상으로 산림이 저장하고 있는 탄소 저장량을 추정하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로써 Landsat TM 영상과 제5차 NFI(National Forest Inventory)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지형효과 보정 및 식생 구분에 특화된 다양한 비율영상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단양군의 탄소저장량 추정에는 회귀 모델보다 $k$NN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며, 비율영상의 경우 정확도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LANDSAT TM을 이용한 홍수지역의 변화탐지 : Change Vector Analysis 방법을 중심으로 (Change Vector Analysis : Change detection of flood area using LANDSAT TM Data)

  • 윤근원;윤영보;박종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47-52
    • /
    • 2003
  • 변화탐지 기법은 지표상의 중요하거나 시간에 따른 작은 변화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인지를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원격탐사 기술을 이용하는 중요한 응용 분야 중에 하나이다. 현장 조사 자료와 원격탐사 자료를 복합적으로 활용을 하면 주기적이며 장기적인 관측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탐지 기법을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홍수지역의 침수에 따른 변화지역 인지에 적용하였다. 연구지역은 한반도 낙동강 하류 지역이며, 여러 가지 변화탐지 기법 중에 change vector analysis(CVA)를 중심으로 하여 주성분분석, 화상 대차법을 각각 적용하였으며, 이를 비교하였다. CVA는 영상의 여러 밴드를 이용하여 변화에 대한 크기와 방향의 정보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각각의 변화탐지 기법을 정확도 평가를 통하여 비교한 결과, CVA에 의한 방법이 overall accuracy 97.27%, Kappa 계수 94.45%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홍수지역의 변화탐지에 대하여 효율적인 변화탐지 기법을 제안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 PDF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한 과수재배 분포도 작성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Method of Fruit Cropping Distribution Map using Satellite Images and GIS)

  • 조명희;부기동;이정협;이광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73-8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다시기 위성영상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하여 과수재배분포도 작성에 있어 다양한 분류기법을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기법도출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다시기별 Landsat TM영상과 현지 조사자료 및 기존 과수재배 면적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각 분류기법에 대한 시기별 및 과수별 분포 특성과 비교 분석함으로서 과수재배분포도 작성에 있어 효과적인 분류기법을 도출하였다. 다시기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과수재배 분포도작성을 위해서는 초가을 영상으로 MLC(maximum likelihood classification)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IS를 통한 공간분석으로 행정별 과수재배의 면적을 효과적으로 추출함과 동시에 과수재배분포의 형태를 효율적으로 파악 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 PDF

LANDSAT-5 TM 영상의 대기보정에 따른 클래스별 화소값 분포 변화 비교 (Comparison of Digital Number Distribution Changes of Each Class according to Atmospheric Correction in LANDSAT-5 TM)

  • 정태웅;어양담;김태렬;임상범;박두열;박황수;박명학;박완용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20
    • /
    • 2009
  • 우리나라는 황사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특히 하절기에 강우 및 구름 발생이 잦아 위성원격탐사영상의 대기보정처리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보정 전후의 클래스별 화소값 분포 변화를 비교하여 대기보정이 영상화소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영상은 LANDSAT-5 TM이고, 대기보정 모듈로는 상용 소프트웨어인 ATCOR, FLAASH와 인터넷에 공개된 COST 모델 3가지를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건물밀집 지역 영역에서 클래스 분리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줄포만 간석지의 미지형 분류와 지형적특성 (Micro-Landform Classification and Topographic Property of Tidal Flat in Julpo-Bay Using Satellite Image)

  • 조명희;조화룡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7-225
    • /
    • 1999
  •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전라북도 줄포만 간석지의 미지형을 무감독분류의 ISODATA 기법으로서 분석한 결과 mudflat, mixed flat, sandflat 의 3지형으로 분류되었다. 각각의 미지형들은 퇴적물 입도와 지형에 있어서 상이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mudflat은 내만쪽에 위치하고 snadflat은 만의 입구 그리고 mixedflat은 그 사이에 각각 분포하였다. 각 지역의 지형특성으로는 2m 내외의 갯골이 평탄면 사이에 분포하는 mudflat과 평균기복이 10cm 이하로서 아주 평탄한 지형으로 물결무늬가 발달한 sandflat 그리고 이 양자의 중간형태를 취하는 mixedflat 으로 구분되었다. 아울러 Landsat TM의 7개의 밴드중에서 밴드 5와 7이 간석지의 미지형분류, 밴드4는 육지와 간석지의 분류 그리고 밴드 3은 해면과 간석지의 분류에 각각 효율적임이 밝혀졌다.

지형도, 해도 및 위성영상을 이용한 방조제 축조 후의 간석지 면적 변화 추정 (Estimating the Variations of Tidal Flat Areas after the Seawall Construction from Topographic Maps, Hydrographic Charts, and Satellite Images)

  • 강문성;박승우;김상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597-60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지형도, 해도,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하여 아산만과 천수만 지구를 대상으로 방조제 축조 후 의 간석지 면적을 추정하였다. 지형도를 이용한 방조제 축조 후의 간석지 면적의 산정 결과는 아산만 지구와 천수 만 지구 모두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이는 지형도의 제작시 항공사진 촬영시간의 조위를 감안하지 않은 결과로 평가된다. 해도의 분석 결과, 아산만 지구와 천수만 지구의 방조제 준공후 연평균 간석지면적은 각각 22.2 ha/yr, 55.6 ha/yr 만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기 Landsat-5 TM 영상을 이용하여 무감독분휴의 ISODATA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방조제 축조후 간석지 면적은 아산만 지구가 21.33 ha/yr, 천수만 지구가 47.3 ha/yr의 증가를 보였다. 해도 분석에 의한 간석지 면적의 증가 양상은 방조제 축조 후의 증가 비율이 축조 전의 증가 비율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방조제 축조 후의 위성영상 자료에 의한 간석지 면적의 증가 추세는 해도에 의한 분석 결과 의 경향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

Landsat TM/ETM+ 위성영상을 활용한 칠레 Southern Volcanic Zone의 화산과 적설변화와의 상관성 연구 (Application of Landsat TM/ETM+ Images to Snow Variations Detection by Volcanic Activities at Southern Volcanic Zone, Chile)

  • 김정철;정형섭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87-299
    • /
    • 2017
  • 칠레에 위치한 남부화산지역(SVZ, Southern Volcanic Zone)에는 화산활동이 매우 활발한 Mt. Villarrica와 Mt. Llaima 화산 있으며, 두 화산은Stratovolcano 형태이고 정상부에 만년설이 존재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적으로 활용 가능한 위성영상자료를 활용하여 25년간 두 화산의 만년설의 변화와 화산활동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1986년 9월부터 2011년 2월까지 총 60장의 Landsat-5 TM 및 Landsat-7 ETM+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위성영상 기반의 NDSI(Normalized Difference Snow Index) 알고리즘과 SRTM DEM을 활용하여 각 영상의 적설 면적 및 설선고도를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화산활동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적설변화양상의 정량적 지표가 되는 적설면적, lower-snowline, upper-snowline을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하여 각각의 비교 분석을 통해 화산활동 유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Villarrica화산은 Llaima 화산에서 적설면적이 20 이하일 때, lower-snowline이 1,880m을 이상일 때 55%이상의 확률로 화산 활동이 있었음을 확인 가능하였다. 또한 두 화산의 upper-snowline이 -170m 이하 일 때, 90% 이상의 확률로 화산이 분화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산의 적설 변화는 화산활동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으며, 적설을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화산활동을 간접적으로 유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