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Aboveground Biomass Carbon Stock Using Landsat TM and Ratio Images - $k$NN algorithm and Regression Model Priority

Landsat TM 위성영상과 비율영상을 적용한 지상부 탄소 저장량 추정 - $k$NN 알고리즘 및 회귀 모델을 중점적으로

  • 유수홍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허준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정재훈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한수희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경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Received : 2011.03.24
  • Accepted : 2011.04.27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Global warming causes the climate change and makes severe damage to ecosystem and civilization Carbon dioxide greatly contributes to global warming, thu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stimate the forest biomass carbon stock as an important carbon storage. However, more studies are required for the selection and use of technique and remotely sensed data suitable for the carbon stock estimation in Korea In this study, the aboveground forest biomass carbon stocks of Danyang-Gun in South Korea was estimated using $k$NN($k$-Nearest Neighbor) algorithm and regression model, then the results were compared. The Landsat TM and 5th NFI(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were prepared, and ratio images, which are effective in topographic effect correction and distinction of forest biomass, were also used.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k$NN algorithm was better than regression model to estimate the forest carbon stocks in Danyang-Gu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erms of accuracy for the use of ratio images.

대기 중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각종 자연 재해가 증가하면서, 온실가스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이산화탄소의 자연 포집지인 산림이 저장하고 있는 탄소량을 추정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국내 지역의 환경에 적합한 탄소저장량 추정 기법 및 자료 선정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황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탄소저장량 추정에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회귀 모델과 $k$NN($k$-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충청북도 단양군을 대상으로 산림이 저장하고 있는 탄소 저장량을 추정하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로써 Landsat TM 영상과 제5차 NFI(National Forest Inventory)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지형효과 보정 및 식생 구분에 특화된 다양한 비율영상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단양군의 탄소저장량 추정에는 회귀 모델보다 $k$NN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며, 비율영상의 경우 정확도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산림과학원, 2009, "제 5차 국가산림자원조사-현지조사 지침서", Vol.1, pp.1-6.
  2. 두산, 2001, 두피디아, 대한민국, http://www. 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 =view&MAS_IDX=101013000788700
  3. 임종수, 한원성, 황주호, 정상영, 조현국, 신만용, 2009, "위성영상자료 및 국가 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한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 대한원격탐사학회, Vol.25, No.4, pp.311-320. https://doi.org/10.7780/kjrs.2009.25.4.311
  4. 정상영, 임종수, 조현국, 정진현, 김성호, 신만용, 2009, "산림 바이오매스 변환표와 위성영상을 이용한 무주군의 산림 바이오매스추정", 한국임학회지, Vol.98, No. 4, pp.409-416.
  5. 정재훈, 허준, 유수홍, 김경민, 이정빈, 2010, "kNN 알고리즘과 계절별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한 단양군 지역의 지상부 바이오매스 탄소저장량 추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Vol.18, No.4, pp.119-129.
  6. 허철, 강성길, 최종수, 홍섭, 2008, "국내외 이산화탄소 육상/해양지중저장 연구 현황 및 비교 분석", 대한기계학회 에너지 및 동력공학부문 춘계학술대회, pp.141-148.
  7. Fuchs, H., Magdon, P., Kleinn, C., Flessa, H., 2009, "Estimating aboveground carbon in a catchment of the Siberian forest tundra: Combining satellite imagery and field invento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113, pp.518-531. https://doi.org/10.1016/j.rse.2008.07.017
  8. Jensen, R. J., 2007, "원격탐사와 디지털 영상처리", 시그마 프레스, Vol.3, pp.338-352.
  9. Labrecque, S., Fournier, R. A., Luther, J. E., Piercey, D., 2006, "A comparison of four methods to map biomass from Landsat-TM and inventory data in western Newfoundland",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Vol.226, pp.129-144. https://doi.org/10.1016/j.foreco.2006.01.030
  10. Lillesand, T. M., Kiefer, R. W., 1994, "Remote sensing and image interpretation", John Wiley & Sons Inc., pp.567-572.
  11. Tomppo, E., Halme, M., 2004, "Using coarse scale forest variables as ancillary information and weighting of variables in k-NN estimation: A genetic algorithm approach",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92, No.1, pp.1-20. https://doi.org/10.1016/j.rse.2004.04.003
  12. Portland State University, 2001, Offic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http://web.pdx .edu/-emch/ip1/ bandcombinations.html
  13. Reese, H,, Nilsson, M., Sandstrom, P., and Olsson, H., 2002, "Applications using estimates of forest parameters derived from satellite and forest inventory data",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Vol.37, No.1, pp.37-55. https://doi.org/10.1016/S0168-1699(02)001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