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CEOLATA1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3초

야산 재배 더덕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Fresh Codonopsis lanceolata cultivated on a wild hill)

  • 김준호;최무영;오혜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6호통권96호
    • /
    • pp.774-782
    • /
    • 2006
  • 갓 채취한 야산재배 더덕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Head space sampling 방법으로 추출하고 GC/MS로 분석한 결과 terpene 및 terpene alcohol류 28종, hydrocarbon류 34종, alcohol류 31종, aldehyde 및 ketone류 13종, ester류 25종, acid류 6종, ether류 10종 등 총 167 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확인하였다. 크로마토그램 상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큰 10대 주요 휘발성 성분은 dl-limonene(10.2%), ${\alpha}$-guaiene(9.0%), 2,2,6-trimethyl-octane(8.6%), hexadecane(8.0%), isolongifolan-8-ol(4.2%), 2,4,4-trimethyl-1,3-pentanediol diisobutyrate(4.1%), ${\beta}$-selinene(3.9%), 2,2,3-trimethylnonane(3.6%), 3-methyl-5-propyl-nonane(3.1%), 및 ledene(3.1%) 등으로 주로 20분 이내와 40${\sim}$60분 범위에서 나타났으며, 전체의 58%를 차지하였다. 식품의 향기는 기계적 분석 결과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우므로 전문 조향사들의 도움을 받아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신선 더덕의 향기 특성으로 풋냄새, 흙냄새, 우유발효 냄새 및 장뇌냄새 등이 묘사되었다. 이러한 향기 특성을 GC/MS에서 확인된 20대 주요 휘발성 성분들과 관련시켜 보면, dl-limonene은 풋냄새 성분이며, ${\alpha}$-guaiene과 isolongifolan-8-ol은 흙냄새를, 우유발효취를 내는 성분들에는 2,2,6-trimethyloctane, hexadecane, 3-methyl-5-propylnonane, 2,2,3-trimethylnonane 등이 속하였다. 이 외에 과일향을 내는 2,4,4-trimethyl-1,3-pentanediol diisobutyrate와 쓴냄새 성분인 ${\beta}$-selinene, ledene, isoledene, ${\delta}$-cadinene 및 나무 냄새를 갖는 ${\alpha}$-humulene, dihydro-${\beta}$-agarofuran 등도 식품의 향기와 관련이 있는 것들이다. 이에 반해 풋냄새와 관련 있는 성분들 즉, 1-hexanol, 2-methylhexan-3-ol, 3-hexen-1-ol, cis-3-hexenyl butyrate, ethylhexanol, hexyl acetate, trans-2-hexen-1-ol이나 camphor, longiborneol, menthol 등 장뇌냄새의 원인 물질은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적은데도 불구하고 전문조향사들은 신선 더덕의 특징적인 향기로 풋냄새와 장뇌취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유통업자를 중심으로 향기 특성 및 강도를 판정할 수 있는 훈련이이루어진다면 향기는 더덕의 신선도를 판정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야생 및 재배더덕의 재배장소에 따른 생육 및 향기성분 (Growth and Aromatic Constituents of Wild and Domesticated Codonopsis lanceolata Grown at Two Different Regions)

  • 이승필;김상국;최부술;이상철;김길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87-593
    • /
    • 1995
  • 야생더덕과 재배더덕의 재배장소에 따른 생육특성, 품질 및 향기성분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생지의 기상환경은 재배지에 비해 기온이 4∼8 낮고 지온도 3 낮았으며 조도량은 재배지의 1.7% 정도였다. 2. 자생지 토양의 환경조건은 재배지 토양에 비하여 pH는 낮았으나 유기물함량은 3배 이상 높았다. 3. 야생더덕과 재배더덕의 염색체 수는 2n =16으로 같았고 자방수도 3개로 동일하였으나, 종자수는 재배더덕이 62개, 야생더덕이 132개로 야생더덕 이 2배 정도 많았다. 4. 야생더덕과 재배더덕의 생육은 재배지보다 자생지에서 저조하였으나 야생더덕은 재배지에서도 재배더덕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졌다. 5. 재배장소에 따른 더덕의 방향성분의 extract수율은 야생더덕은 재배지보다 자생지에서 높았으나 재배더덕은 재배장소에 따른 변화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extract수율도 50% 정도 낮았다. 6. 재배지에 따른 주요 무기성분함량은 자생지보다 재배지에서 많았으며 야생더덕보다 재배더덕에서 많았다 7. 더덕의 재배장소에 따른 주요 방향성분의 변화는 dimethylbenzene, 3-ethyl-5-2- ( ethylbutyl ) -octadecane, benzaldehyde, 14, 14-dimethyl -hexadecanoate, methylhexadecenoate등이 재배더덕에서는 없는 향기성분이 야생더덕에서 검출되었으며 더덕의 향을 내는 성분은 단일성분이 작용하기 보다는 peak면적이 높게 나타난 성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향기를 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더덕순 채취가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nching times on Root Yield and Quality of Codonopsis lanceolata (S.et Z.) Trautv.)

  • 최시동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68-275
    • /
    • 1996
  • 봄철 더덕순 채취(採取)가 더덕의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92년부터 1994년까지 3년간 시험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더덕순 채취별(採取別) 생육(生育)은 채취회수(採取回數)가 많을수록 생육은 부진하였으며, 종자에서도 중량(重量)이 가벼워지는 경향이었다. 2. 더덕순 채취수량(採取收量)은 3회(回) 채취구(採取區)에서 3년간 29.5MT/ha으로 가장 높았고, 가식률(可食率)은 1회 채취구(採取區)가 1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더덕뿌리에 있어서 더덕순 채취(採取)는 무채취(無採取)에 비(比)하여 오히려 품질(品質) 및 수량(收量)의 감소(減少)를 나타내었으며, 채취가능(採取可能) 회수(回數)는 1회(回) 채취(採取)정도였고 그 이상(以上)은 수량(收量) 및 품질저하(品質低下)로 채취(채취)가 불가능하였다.

  • PDF

Screening of Extracts from Red Algae in Jeju for Potentials MarineAngiotensin - 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 차선희;이기완;전유진
    • ALGAE
    • /
    • 제21권3호
    • /
    • pp.343-348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creen in vitro angiotensin - 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ies of methanol (MeOH) and aqueous extracts at 20°C and 70°C, respectively, prepared from twenty-six red algae obtained from the coast of Jeju Island in Korea. Among aqueous extracts at 20°C (20AE) from red algae Lomentaria catenata showed the strongest ACE inhibitory activity and Lithophyllum okamurae recorded the second highest activity. From MeOH extract at 20°C (20ME) Ahnfeltiopsis flabelliformis possessed the strongest ACE inhibitory activity. Remarkable activities from MeOH extracts at 70°C (70ME) were observed in Grateloupia filicina, Sinkoraena lancifolia and Grateloupia lanceolata. However, no significant activity was found in aqueous extracts at 70°C (70AE). The IC50 values, which are concentrations required to inhibit 50% activity of ACE, for ACE inhibitory activities of 20AE from Lithophyllum okamurae and L. catenata were 13.78 and 12.21 μg mL–1, respectively. The IC50 values of 20ME from A. flabelliformis and Laurencia okamurae were 13.84 and 106.15 μg mL–1. Those of the 70ME from Bonnemaisonia hamifera, Grateloupia filicina, Sinkoraena lancifolia, G. lanceolata, Gracilaria vermiculophylla and L. okamurae ranged from 25.82 to 124.69 μg mL–1.

LPS로 유도된 RAW264.7 염증모델에서 MAPK 조절에 의한 양유(羊乳)의 항염증효과 (Codonopsis Lanceolata Inhibits Inflammation through Regulation of MAPK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 김범회;이용태;강경화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0-84
    • /
    • 2010
  • Codonopsis Lanceolata (CL) has been widely used in Oriental medicine for treatment of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bronchitis, cough, and spasm; however, the mechanism of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has not been clarified. In this study,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CL on LPS-induced inflammation. The effect of CL was analyzed by ELISA, RT-PCR and Western blotting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We found that CL suppressed not only the mRNA expression of pre-inflammatory cytokine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 (COX)-2, but also the phosphorylation of ERK1/2, JNK1/2 and p38 MAPK. These results suggest that CL exerts an anti-inflammatory effect through the regulation of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 pathway, thereby decreasing production of pre-inflammatory cytokines, NO, and PGE2.

차광처리가 더덕의 광합성율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ading Treatments on Photosynthetic rate and Growth in Codonopsis lanceloata Trautv.)

  • 원준연;이충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2-156
    • /
    • 2007
  • 차광처리가 더덕의 생육 및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차광처리에 의하여 만장과 엽면적은 증가하였으나, 덩굴 및 잎의 건물증은 감소하였다. 2. 차광처리에 의하여 엽록소함량 및 비엽면적은 증가하였으나, 엽위별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상위엽보다는 하위엽에서그 증가 정도가 컸다. 3. 광합성속도와 기공전도도는 광 강도가 강할수록 또 차광일수가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그 증가 정도는 대체로 하위엽에서 크게 나타났다.

국내산 더덕의 Tangshenoside I과 Lobetyolin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angshenoside I and Lobetyolin from Korean Deoduk (Codonopsis lanceolata))

  • 황병순;김지영;장미;김기창;박영희;황인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57-963
    • /
    • 2018
  • Deoduk (Codonopsis lanceolata) has a complex chemical composition that includes polyphenols, saponins, amino acids, and other unidentified compounds. The contents of tangshenoside and lobetyolin are considered as standard of quality evaluation of Deoduk. In this study, an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the two marker constituents, tangshenoside and lobetyolin. The methods for determining the standards of quality were validated by measuring their linearity, specificity,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precision, and accuracy using UPLC. Reversed-phase UPLC analysis was conducted quantitatively to identify individual tangshenoside and lobetyolin in Deoduk extracted with 50% (v/v) aqueous ethanol. We used 21 samples to carry out quantitative analysis of tangshenoside and lobetyolin. Based on their dry weights, the levels of tangshenoside and lobetyolin were 0.36~3.54 mg/g, 0.24~1.29 mg/g, respectively. These results will be valuable as basic data for standardization of Korean Deoduk.

Comparison of Saponin Content and Antioxidant Effect depending on the Processing Method of Codonopsis lanceolata

  • Kim, Eun Young;Jeon, Jeong Wook;Hyun, Kyung-Ya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1-297
    • /
    • 2021
  • Codonopsis lanceolata, called deodeok in Korean, has been verified for various effects, including anti-ag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insomnia improvement, and is one of the healthy foods that Koreans enjoy eating. In this study, the saponin content, lansemaside A content, and total saponin content of deodeok were analyzed using high-pressure sterilization and solid fermentation by mixed lactic acid bacteria. The antioxidant effect was compared to determine improved processing methods of deodeok. The lansemaside A content of deodeok samples depending on the preprocessing methods was analyzed: 2,594.10 mg/kg for dried deodeok, 2,100.93 mg/kg for steamed deodeok, and 1,151.31mg/kg for fermented deodeok. The total saponin content was found to be 7,209 mg/kg for dried deodeok and 8,605 mg/kg for steamed deodeok, showing a high saponin conten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st for dried deodeok, steamed deodeok, and fermented deodeok. As for the antioxidant effect, it wa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dried deodeok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teamed deodeok and fermented deodeok; Dried deodeok had the highest value in total polyphenol content, not in total saponin content, which is consider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ts antioxidant effect. The content of lansemaside A was the highest for dried deodeok. When fermented deodeok is consumed, more beneficial effects on health can be expected by ingesting it with lactic acid bacteria cultured using saponins and polyphenol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manufacturing products suitable for the needs of consumers, such as the flavor of deodeok, according to the processing methods.

배지 종류에 따른 더덕과 황기의 발아와 육묘기 생육 (Germination and Growth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Astragalus membranaceus as Affected by Different Media Types during Seedling Period)

  • 정현우;김현민;김혜민;이혜리;황승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19
    • /
    • 2018
  • 본 연구는 배지의 종류에 따른 더덕과 황기의 발아와 육묘기의 생육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종자는 상업적 상토(토실이), 코이어, 암면, 우레탄스펀지에 파종하였다. 파종 후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22일간 발아하였으며, 경상대학교 벤로형 유리온실에서 파종 후 35일간 육묘 하였다. 양액은 EC $1.0dS{\cdot}m^{-1}$, pH 6.5로 맞추어 2일 간격으로 저면관수 하였다. 더덕의 최종발아율은 코이어와 암면 배지에서 각각 68.5%와 67.9%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평균발아수 역시 코이어와 암면 배지에서 4.2립과 4.1립으로 가장 높았다. 황기의 경우 배지 종류에 따른 황기의 발아율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더덕의 초장과 엽면적은 암면 배지에서 각각 11.5cm와 $11.3cm^2$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최대근장과 뿌리의 생체중은 코이어 배지에서 5.8cm와 0.07g으로 가장 우수했다. 황기의 초장과 엽면적은 코이어 배지에서 14.0cm와 $16.9cm^2$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0.34g과 0.03g으로 우레탄스펀지 배지에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서 더덕과 황기의 발아와 육묘기의 생육을 위해 암면과 코이어 배지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