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 plantarum

검색결과 565건 처리시간 0.046초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Probiotic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49 Derived from Korean Homemade Diced-Radish Kimchi

  • Han, Kyoung Jun;Lee, Ji-Eun;Lee, Na-Kyoung;Paik, Hyun-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591-598
    • /
    • 2020
  •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49 was demonstrated to have probiotic behavior and functions, including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L. plantarum KU15149 obtained from homemade diced-radish kimchi has a high survival rate under artificial gastric acid (pH 2.5, 0.3% pepsin) and bile salt (0.3% oxgall) conditions. However, L. plantarum KU15149 did not produce β-glucuronidase, which is known to be a carcinogenic enzyme with resistance to several antibiotics, such as gentamycin, kanamycin, streptomycin, tetracycline, and ciprofloxacin. L. plantarum KU15149 strongly adhered to HT-29 cells and had high antioxidant activity in terms of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scavenging and β-carotene bleaching assays. L. plantarum KU15149 also exhibited a pronounced inhibition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along with ex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 -2 (COX-2) as well as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α, IL-1β, and IL-6, when RAW 264.7 cells were stimulated with LPS. Therefore, L. plantarum KU15149 exhibited pharmaceutical functionality as a potential probiotic.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Immunopotentiating Factor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in Kimchi: Assessment of Immunostimulatory Activities

  • Lee, Jong-Hwa;Kweon, Dae-Hyuk;Lee, Seung-Cheo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6호
    • /
    • pp.877-883
    • /
    • 2006
  • The immunostimulatory activities of Lactobacillus plantarum, the major microorganism in kimchi fermentations were investigated. Five strains of L. plantarum exhibited weak immunopotentiating activity, but L. plantarum PS-21 showed as strong a mitogenic activity as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M101-4, a known positive strain. It is of interest that, L. plantarum PS-21 stimulated proliferation of Peyer's patch cells, one of the most important tissues in the gut-associated lymphoreticular system. Cell' wall fractions from L. plantarum PS-21 also showed strong mitogenic activity compared with the soluble cytoplasmic fraction. A peptidoglycan fraction (PG) extracted from the cell wall of L. plantarum PS-21 was identified as an active mitogenic component when used in murine lymph node and spleen cell test systems. PG showed dose-dependent mitogenic activity and significantly enhanced antibody production in lymph node cells when studied in vitro. The lysosomal enzyme activity of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was increased when analyzed following injection of PG to the host animal. Furthermore, PG enhanced the production of cytokines such ($TNF-{\alpha}$ and IL-6) in the in vitro culture of RAW 264.7 macrophage cells.

하향주 누룩으로부터 분리한 젖산균의 동정 및 발효 특성 (Identifica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Hahyangju Nuruk)

  • 박치덕;정희경;박환희;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8-193
    • /
    • 2007
  • 하향주의 제조에 이용되는 누룩으로부터 젖산균을 분리하고, 배양학적 특성과 생리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분리된 총 11균주를 이용하여 알코올 10%와 pH 4.0에서 생육이 억제되는 양조학적으로 적합한 5균주의 젖산균을 분리하였고, 16S r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1균주, Lactobacillus sakei 1균주 및 Lactobacillus curvatus 3균주로 나타났으며 모두 젖산 간균으로 확인되었고, 이들을 각각 L. plantarum L-3, L. sakei L-10 그리고 L. curvantus L-8, 11, 12로 명명하였다. L plantarum L-3이 배양 초기 pH 4.0일 때 0.78%의 산도를 나타내어 나머지 4균주에 비해 약 10배정도 높은 산을 생성하였다. 분리된 5균주는 모두 $30^{\circ}C$에서 가장 산생성능이 우수하였고, L. sakei L-10을 제외한 모든 균주는 $45^{\circ}C$에서 생육이 정지되었으나, L. sakei L-10은 $40^{\circ}C$에서 생육이 저해되었다. 그리고 에탄을 농도가 6%일 때 산의 생성이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L. curvatus L-8, 11, 12는 8% 에탄올에서 거의 생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에탄올에 대한 내성이 낮았으며, L. plantarum L-3과 L sakei L-10은 10% 에탄올에서 생육이 정지되었다.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K74의 GABA 생산 및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ABA Produc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K74 isolated from Kimchi)

  • 박선영;심혜영;김기성;임상동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143-152
    • /
    • 2013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GABA 생성능이 우수한 젖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고, 이 균주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여 상업적으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MSG 2%가 첨가된 MRS broth에 $37^{\circ}C$에서 18시간 배양한 후 GABA 함량이 $50{\mu}g/mL$ 이상 생산하는 75개의 균주를 1차로 선별하였으며, $90{\mu}g/mL$ 이상 생산하는 5 균주를 2차로 선별하였고, 선발된 5 균주를 MSG 1%, 2% 및 3% 함유된 MRS 배지에 각각 배양한 결과, K74 균주가 최종 선발되었다. K74 균주는 MSG 1%가 첨가된 MRS broth에서 GABA 함량이 $134.52{\mu}g/mL$이었고, MSG 2%와 3%가 첨가된 MRS broth에서GABA 함량이 각각 $212.27{\mu}g/mL$$234.63{\mu}g/mL$이었으며, 동정 결과 L. plantarum K74라고 명명되었다. L. plantarum K74의 최적 생장 온도는 $34^{\circ}C$이었으며, pH 4.4에 도달하기까지 18시간이 소요되었다. L. plantarum K74는 또한 답즙산과 산성의 pH에서 모두 우수한 생존력을 나타냈으며, 발암효소인 ${\beta}$-glucuronidase를 생성하지 않고 유당분해효소인 ${\beta}$-galactosidase를 약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생제 내성 실험 결과 Kanamycin, Polymyxin B, Streptomycin에 내성을 Novobiocin, Bacitracin, Penicillin-G, Methicillin에감수성을나타냈으며, Escherichia coli와Salmonella typhimurium에 각각 54.9%와 46.3%의 억제 효과를 지니고 있고, Staphyloccous aureus에 대해서는 거의 억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생체친화성 균주에 의한 인삼열매증포 추출물의 최적발효조건 및 항산화활성 (Establishment of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s for Steam-dried Ginseng Berry via Friendly Bacteria and Its Antioxidant Activities)

  • 김승태;김희정;장수길;이도익;주성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7-8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뿌리보다 활성성분의 함량 및 종류가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인삼열매를 7증7포 증숙처리 후 확보한 열수추출물에 대한 발효에 적합한 발효균주의 선발과 발효의 조건을 탐색하여 효능이 개선된 기능성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5종의 생체친화형 세균(L. fermentarum, L. plantarum, L. brevis, L. casei, B. subtillis) 중 L. plantarum에서 우수한 발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특히 L. plantarum 으로 증포인삼열매 추출물을 발효 시 효과적인 항산화활성이 관찰되었다. 더욱이, L. plantarum으로 발효 시 인삼의 중요 활성성분인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및 성분의 변화가 관찰되었고 비발효시 관찰되지 않았던 높은 수준의 Rg3를 포함한 Rh1, Rg2, Rd, 및 Rh2가 관찰되어 발효물의 약리학적 적용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증포인삼열매추출물은 L. plantarum에 의해 효과적으로 발효가 되며, 발효 후 나타나는 항산화활성 및 진세노사이드의 성분/함량의 변화가 치료적 수준에 적합한 후보물질로의 개발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판김치로부터 젖산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Commercial Kimchi)

  • 고정림;오창경;오명철;김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32-74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시판 김치로부터 분리된 젖산균을 동정하였다. 제조 후 4일 동안 실온에서 배양된 배추김치에서 12주, 2일 동안 실온에서 배양한 총각김치에서 6주, 5일 동안 실온에서 배양한 깍두기에서 15주, 그리고 4일 동안 배양한 파김치에서 23주의 젖산균이 분리되었다. 배추김치에서 분리된 12주의 젖산균 중 8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로, 1주는 Leuconostoc lactis로, 2주는 Lactobacillus casei subsp. pseudoplantarum으로, 그리고 1주는 Lactobacillus sake로 동정되었다. 총각김치에서 분리된 6주의 젖산균 중 3주는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로, 2주는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로, 그리고 1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로 동정되었다. 깍두기에서 분리된 15주 중 2주는 Leuconostoc lactis로, 3주는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dextricum로, 4주는 Lactobacillus casei subsp. pseudoplantarum로, 그리고 4주는 Lactobacillus coryniformis subsp. torquens로 동정되었다. 파김치에서 분리된 23주 중 22주는 L. plantarum으로 그리고 1주는 Lactobacillus sake로 동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배추김치에서는 L. plantarum이, 총각김치에서는 L. paramesenteroides이, 깍두기에서는 L. casei subsp. pseudoplantarum과 L. coryniformis subsp. torquens이, 그리고 파김치에서는 L. plantarum이 가장 많이 동정되었다. 특히 파김치에서는 선발된 23주 중 1주를 제외하고는 모두 L. plantarum으로 동정되었다.

Prebiotic Potential of Xylooligosaccharides Derived from Corn Cobs and Their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When Combined with Lactobacillus

  • Yu, Xiuhua;Yin, Jianyuan;Li, Lin;Luan, Chang;Zhang, Jian;Zhao, Chunfang;Li, Shengy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7호
    • /
    • pp.1084-1092
    • /
    • 2015
  • In the present work, the in vitro prebiotic activity of xylooligosaccharides (XOS) derived from corn cobs combin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a probiotic microorganism, was determined. These probiotics exhibited different growth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strain specificity. L. plantarum S2 cells were denser and their growth rates were higher when cultured on XOS. Acetate was found to be the major short-chain fatty acid produced as the end-product of fermentation, and its amount varied from 1.50 to 1.78 mg/ml.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XOS combined with L. plantarum S2 was determined against gastrointestinal pathogens. The results showed that XOS proved to be an effective substrate, enhancing antimicrobial activity for L. plantarum S2. In vivo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XOS and L. plantarum S2, used both alone and together, on the intestinal microbiota in a mouse model showed that XOS combined with L. plantarum S2 could increase the viable lactobacilli and bifidobacteria in mice feces and decrease the viable Enterococcus, Enterobacter, and Clostridia spp. Furthermore, in the in vitro antioxidant assay, XOS combined with L. plantarum S2 possessed significant 2,2-diphenyl-1-picrylhydrazyl, 2,2'-azino-bis, and superoxide anion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and the combinations showed better antioxidant activity than either XOS or L. plantarum S2 alone.

Effect of Coating Method on the Survival Rate of L. plantarum for Chicken Feed

  • Lee, Sang-Yoon;Jo, Yeon-Ji;Choi, Mi-Jung;Lee, Boo-Yong;Han, Jong-Kwon;Lim, Jae Kag;Oh, Jae-Woo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30-237
    • /
    • 201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the most suitable method and wall material for microencapsulation of the Lactobacillus plantarum to maintain cell viability in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To improve the stability of L. plantarum, we developed an encapsulation system of L. plantarum, using water-in-oil emulsion system. For the encapsulation of L. plantarum, corn starch and glyceryl monostearate were selected to form gel beads. Then 10% (w/v) of starch was gelatinized by autoclaving to transit gel state, and cooled down at $60^{\circ}C$ and mixed with L. plantarum to encapsulate it. The encapsulated L. plantarum was tested for the tolerance of acidic conditions at different temperatures to investigate the encapsulation ability.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survival rate of the microencapsulated cells in starch matrix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ree cells in low pH conditions with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The results showed that corn starch as a wall material and glycerol monostearate as a gelling agent in encapsulation could play a role in the vi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in extreme conditions. Using the current study, it would be possible to formulate a new water-in-oil system as applied in the protection of L. plantarum from the gastric conditions for the encapsulation system used in chicken feed industry.

Enhancing the Viability Rate of Probiotic by Co-Encapsulating with Prebiotic in Alginate Microcapsules Supplemented to Cupcake Production

  • Dong, Lieu My;Luan, Nguyen Thien;Thuy, Dang Thi Ki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13-120
    • /
    • 2020
  •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survival of microencapsulated Lactobacillus plantarum ATCC8014 produced using the emulsion technique in alginate gel combined with pectin and maltodextrin components. The microcapsules were then added to cupcake dough that was further baked at 200℃ for 12 min. The viability of L. plantarum was assessed during baking and the 10 days of storage at 4℃ as well as in simulated gastrointestinal conditions. In addition, yeast-mold and water activity were investigated. After baking, the samples with microencapsulated L. plantarum contained more than 5 log CFU/g, which was higher compared to the bacterial concentration of the control samples. The concentration of L. plantarum was more than 6 logs CFU/g after the end of the storage; therefore, the probiotic functioned as a biopreservative in the cake. The prebiotic component strengthened the microcapsules network and helped protect the viability of L. plantarum in simulated gastric fluid (SGF) and simulated intestinal fluid (SIF) media. The results show that the addition of L. plantarum microencapsules did not affect the sensory scores of the cupcake while ensuring the viability of the probiotic during baking and storing.

물김치 서식 미생물,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Kluyveromyces marxianus 생육에 Ethanol과 유기산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and/or Organic Acids on the Growth of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Kluyveromyces marxianus Identified from Mul-kimchi)

  • 한영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25-43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ethanol 과 일부 유기산(adipic acid, citric acid, acetic acid)을 첨가하였을 때 물김치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 생육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Ethanol 및 유기산의 첨가가 물김치 서식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pH 4.3 의 buffer 용액에 ethanol 과 유기산을 농도별로 첨가하고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Kluyveromyces marxianus을 접종하여 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L. plantarum 와 Leu. mesenteroides에서는 ethanol 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유기산 종류에서는 adipic acid를 첨가했을 때 성장 억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비교 균주에서는 L. plantarum이 Leu. mesenteroides보다 유기산과 에탄올에 영향을 받아 생육이 더욱 억제되었다. Ethanol에 대해서는 L. plantarum이 Leu. mesenteroides보다 숙성 72 시간째에 40.0% 정도 생육이 억제되었으나 유기산의 경우에는 종류에 따라 생육억제 정도가 달랐다. Acetic acid의 경우 L. plantarumol 약 40.0% 정도, citric acid의 경우는 L. plantarum이 약 15.0% 정도 생육이 억제되었지만 adipic acid의 경우는 L. plantarum 와 Leu. mesenteroides 모두에게 억제 효과가 있어 무첨가군에 비해 50.0∼60.0% 정도 생육이 감소되었다. K. marxianus에서도 ethanol 농도가 높을수록 성장 억제에 효과적이나 유기산에 대해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Ethanol 및 유기산이 각 균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을 알기 위해 균체내 물질의 누출을 26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관찰한 결과 L. plantarum 에서는 ethanol 2.0% 첨가 에서와 adipic acid 0.1 를 첨가한 실험군에서 24 시간 후의 흡광도가 가장 많이 증가되었다. Leu. mesenteroides에서는 ethanol 첨가시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고 유기산 중 adipic acid 첨가시 흡광도가 많이 증가되었다. K. marxianus 에서는 ethanol 농도가 높을수록 흡광도가 증가되었고 유기산 중 citric acid 에서 많이 증가되었다.

  • PDF